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SELECT * FROM News WHERE Del_Code='0' AND MainCate_ID='6' AND SubCate_ID='69' AND NewsState = 'Publish' AND ViewNews='V' ORDER BY Publish_date DESC , ID DESC Limit 0 , 15

독감 고위험 노인엔 고용량 백신 적합…입원 위험 더 낮춰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고용량 불활성화 인플루엔자 백신(HD-IIV)이 표준용량 백신(SD-IIV) 대비 폐렴·독감 입원 위험을 8.8% 낮추고, PCR 등 실험실 검사 기반의 확진 독감 입원도 31.9%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감 백신 접종 대상이 광범위하고 폐렴과 입원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고위험군에선 고용량 백신 접종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덴마크 코펜하겐 대학병원 심장내과 니클러스 더비 요한센 등 연구진이 진행한 노인 입원에 대한 고용량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과(FLUNITY-HD) 임상 시험 결과가 국제학술지 란셋에 22일 게재됐다(DOI: 10.1016/S0140-6736(25)01742-8).고용량 불활성화 인플루엔자 백신이 표준용량 백신 대비 확진 독감 입원을 31.9%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번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설계됐다. 앞서 유럽에서 시행된 두 개의 무작위 비교 임상이 있었지만, 시즌·국가·대상 인구·자료 수집 체계 차이로 인해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제한적이었다.또한 고령층에서 실제 임상 현장에서 발생하는 입원·사망을 중심으로 효과를 명확히 도출하기 위해서는 일관되게 설계된 대규모 개별 환자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진 바 있다.이에 연구팀은 두 임상을 사전에 조율해 동일한 방법론으로 진행하고, 이후 개별 자료를 통합 분석하도록 기획했다.연구 설계는 덴마크의 DANFLU-2(2022~23, 2023~24, 2024~25 시즌)와 스페인 갈리시아 지역의 GALFLU(2023~24, 2024~25 시즌) 두 임상으로 이뤄졌다.두 연구 모두 65세 이상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HD-IIV(각 균주당 HA 60㎍)와 SD-IIV(각 균주당 HA 15㎍)를 1:1 무작위 배정했다.백신 접종 14일 후부터 각 시즌 종료 시점까지 추적했고, 모든 결과는 각국 의료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수집했다. 일차 평가변수는 인플루엔자 또는 폐렴으로 인한 입원이었다.총 46만 6320명이 분석에 포함됐으며, 평균 연령은 73.3세였다.일차 평가변수인 '인플루엔자 또는 폐렴 입원'은 고용량군 0.56%, 표준용량군 0.62%에서 발생했으며 상대백신효과(rVE)는 8.8%였다.주요 2차 평가변수에서도 고용량 백신의 우월성이 확인됐다.심폐질환 입원은 6.3% 감소했고, PCR 등 실험실 검사 기반의 확진 독감 입원은 31.9% 감소, 전체 입원도 2.2%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다만 전체 사망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rVE 1.2%), 인플루엔자 ICD-10 코드 기반 입원은 39.6% 감소했지만 폐렴 입원 단독으로 보면 두 군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연구팀은 "고용량 백신은 표준 백신 대비 인플루엔자 또는 폐렴 입원에 대한 우수한 보호 효과를 보였다"며 "또한 심폐소생술 입원, 실험실에서 확인된 인플루엔자 입원 및 모든 원인으로 인한 입원의 발생률을 감소시켜 고용량 투약이 상당한 공중 보건 혜택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나타냈다"고 결론내렸다.
2025-11-24 12:14:46연구・저널

스타틴, 당뇨병 유발 누명 벗나…"저 LDL-C 주 원인"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LDL-C가 낮을수록 제2형 당뇨병(T2D)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장기 추적 결과가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처음 제시됐다.특히 이 연관성은 스타틴 복용 여부와 무관하게 나타나, 기존에 '스타틴의 부작용'으로만 해석되던 당뇨 발생 증가 현상이 LDL-C 감소 자체와 연결된 현상일 수 있다는 해석의 발판을 마련했다.이탈리아 페데리코 II 마리아 렘보 등 연구진이 진행한 저 LDL-C와 제2형 당뇨병 위험 사이의 연관성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BMC에 11일 게재됐다(doi.org/10.1186/s12933-025-02964-6).스타틴의 신규 당뇨병(NODM) 위험 증가와 관련해 대다수 연구의 위험 상승 폭은 10% 안팎으로 정리된다.메타분석에서는 스타틴 복용 시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평균 9~12%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됐고, 주요 무작위 임상시험의 데이터를 통합한 분석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상대위험 증가가 확인됐다.스타틴의 부작용으로만 해석되던 당뇨 발생 증가 현상이 LDL-C 감소 자체와 연결된 현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특히 고강도 스타틴은 저·중강도 제제에 비해 약 12% 추가적인 당뇨 위험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로수바스타틴을 평가한 JUPITER 연구에서는 신규 당뇨가 약 25% 증가하는 등 제제와 강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앞선 연구에서는 스타틴이 T2D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결과가 반복됐지만, 그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LDL-C 저하 자체가 문제인지, 약제 특성 때문인지 판단이 어려웠다.또 LDL-C를 낮추는 유전 변이가 T2D 위험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었음에도, 실제 혈중 LDL-C 농도와 T2D 발생을 장기간 추적한 대규모 연구는 부재한 상태라는 점에 착안, 연구진은 20만 2,545명 가운데 기준 시점에서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이 없는 1만 3,674명을 선별해 추적 관찰했다.참가자의 52%는 스타틴을 복용 중이었고, 중앙값 71.6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1,819명(13%)에서 신규 T2D가 발생했다.LDL-C는 ▲84mg/dL 미만 ▲84~107mg/dL ▲107~131mg/dL ▲131mg/dL 이상 네 구간으로 분류해 사건 위험을 비교했다.Cox 회귀 분석 결과 LDL-C 수치와 T2D 발생 위험은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84mg/dL 미만군에서 T2D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즉 LDL-C가 낮을수록 당뇨 위험은 증가했다.스타틴 사용 여부를 고려한 하위 분석에서도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가 나왔다.LDL-C가 매우 높은 131mg/dL 이상군에서는 스타틴 복용자의 T2D 위험이 비복용자보다 높았으나, 나머지 세 구간에서는 스타틴 복용 여부가 LDL-C와 T2D 위험의 관계에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지 않았다.이는 LDL-C 저수치와 T2D 위험 증가 간의 연관성이 스타틴 노출과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나타내는 결과다.즉 스타틴 부작용으로 여겨졌던 T2D 증가 현상이 사실은 LDL-C 감소라는 생물학적 변화와 연결돼 있을 수 있다는 것. LDL-C 자체가 당대사 조절에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연구진은 "종합적으로 볼 때 이번 연구 결과는 LDL-C와 T2D 발생 사이에 강한 역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며 "낮은 LDL-C 수치에서 T2D의 위험 증가는 스타틴 사용과 무관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T2D의 잠재적 바이오마커로서 LDL-C의 역할을 뒷받침한다"고 결론내렸다.
2025-11-24 05:10:00연구・저널
인터뷰

"건강강좌 대상은 환자만? 폐고혈압, 의료진들도 몰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보통의 건강 강좌는 환자나 가족 같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대한폐고혈압학회가 11월 한 달간 전국에서 진행하는 ‘폐미리 희망 캠페인’은 성격이 좀 다르다. 강좌를 통한 인식 개선, 인지도 향상 대상에 의료진까지 포함한 것. 의료진조차 잘 모르는 병, 폐고혈압의 조기 인지율을 높이겠다는 목적 때문이다.그런 까닭에 학회가 건강강좌를 개최하고자 하는 기관에 신청서를 받아 강연료부터 인쇄, 대관료, 배너 제작비 등을 지원키로 했다. 건강강좌 결과 보고서를 기반으로 '캠페인 우수 진행 기관'에 시상한다는 점 역시 강좌의 성격이 특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전국 강좌를 기획한 폐고혈압학회 정욱진 회장을 만나 강좌 진행의 배경과 기대 효과 등에 대해 물었다.■"의료진들조차 모른다…진단까지 평균 3년"폐고혈압은 폐동맥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으로, 초기에 숨참, 피로감 같은 비특이적 증상만 나타난다. 감기, 천식, 심장질환 등으로 오인되기 쉽고 이는 진단 지연으로 이어진다.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심초음파나 우심도자 같은 정밀검사가 필요한데, 이런 검사까지 연결되지 못해 진단은 수년씩 늦어져 '골든타임'을 허무하게 날려버린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일부 환자는 계단을 오르기 어려울 정도의 호흡곤란을 겪으면서도 심장검사·폐기능검사에서 정상이라는 말만 반복해 들으며 1~2년을 허비하는 경우도 흔하다.정욱진 대한폐고혈압학회 회장(가천대길병원 심장내과)정욱진 대한폐고혈압학회 회장(가천대길병원 심장내과)은 이번 캠페인의 출발점을 '인지도 부족'으로 꼽았다.그는 "폐동맥고혈압 환자는 증상 발생 후 진단까지 평균 3년이 걸리고 병원을 찾아간 뒤에도 1년 반 이상 지나서야 제대로 진단된다는 미국의 보고가 있다"며 "국내 상황도 미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그는 "가장 큰 문제는 환자뿐 아니라 의료진도 폐고혈압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라며 "증상은 있는데 진단이 이뤄지지 않는 구조적 문제를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폐고혈압은 진단 과정 자체가 까다롭다. 흉부 X-ray나 폐기능검사 같은 기본 검사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혈액검사만으로도 단서를 찾기 어렵다.결국 심초음파나 우심도자처럼 보다 고난도의 심폐 순환 평가까지 이어져야 진단이 가능한데, 1·2차 의료기관에서는 이러한 정밀검사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의료진이 초기 단계에서 질환을 떠올리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가 존재한다.정욱진 회장은 "환자가 계속 숨이 찬다고 해도 심장도 괜찮고 폐도 괜찮아 보이면 의사가 폐고혈압을 떠올리지 못한다"며 "이유 없이 숨이 차는 환자를 보면 심장질환, 폐질환, 빈혈 등이 아니면 폐고혈압을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의료진들의 진단 프로세스에 폐고혈압 가능성을 추가하기 위한 기제가 이번 전국 건강강좌"라며 "일반 강좌가 대중을 대상으로 한다면 이번 강좌는 의료진 주도의 강좌를 통해 의사들의 인식 개선을 촉구한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했다.의료진의 인식 변화가 곧 조기 발견으로 연결되고, 조기 발견이 난치성 질환의 예후를 바꾸는 핵심이라는 것.■질환 인지율 개선→조기 진단·치료→예후 개선 선순환 폐동맥고혈압은 치료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최근 치료 옵션이 늘며 생존율이 크게 개선돼 왔다. 한국 등록 연구에서는 PAH 환자의 1년 생존율이 약 93%, 3년 생존율은 80%대, 5년 생존율은 약 71% 수준으로 유럽 대규모 레지스트리(COMPERA)의 5년 생존율(약 71%)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일본(95%)와는 격차를 보인다.정 회장은 "폐고혈압은 조기진단과 환자 아형 평가, 적절한 초기 치료 전략 선택이 예후를 좌우하는 대표적 질환"이라며 "의료진의 인식 개선과 이를 통한 조기 진단, 초기 적절한 치료가 이어진다면 생존율 제고는 어렵지 않다"고 자신했다.그는 "이번 캠페인을 대학병원 중심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전국 주요 의료기관으로부터 건강강좌 신청을 받아 15개 기관을 선정했다"며 "선정 기관에는 강의 자료와 함께 강연료 및 실비를 최대 150만 원까지 지원한다"고 밝혔다.그는 "강좌가 끝난 뒤에는 결과 보고서를 기반으로 우수 기관을 선정해 시상해 의료진들의 참여 열기를 고조시킬 계획"이라며 "11월은 세계 폐고혈압의 달로 지정돼 있어 이번 한 달을 집중 강좌 진행의 달로 기획했다"고 설명했다.실제로 폐고혈압 조기 진단이 환자의 예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증거는 최근 학계에서도 점점 명확해지고 있다.진단이 지연된 환자 집단은 진단이 빠른 환자에 비해 이벤트 발생율(event-free survival)이 유의하게 낮았고, 통계적으로 보정한 뒤에도 진단 지연이 불리한 예후와 독립적으로 연관된다는 연구에 이어 조기 치료의 타당성을 뒷받치는 유럽 및 기타 레지스트리 데이터도 존재한다. 비침습적 진단 및 선별을 기반으로 한 조기 개입이 장기 생존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내용이 여러 문헌에서 반복된다. 조기 기능 상태(WHO 기능 등급 I/II)의 환자들은 후기 등급(III/IV)에 비해 장기 생존율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 프랑스과학자들이 참여한 레지스트리 코호트 역시 WHO 기능 등급 I 또는 II 환자의 사망률이 더 낮았음을 보여, 이는 조기 발견 후 적절한 치료가 생존에 유의미한 차이를 만든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이번 캠페인은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니라, 국내 폐고혈압 진단 지연을 평균 3년에서 단축시키는 데 직접적으로 목적을 둔 사실상 '조기진단 개입 프로젝트'에 가깝다는 게 그의 판단.정 회장은 "폐고혈압을 미리 찾고 제대로 치료하면 환자뿐 아니라 가족의 행복을 지킬 수 있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의료진과 대중 모두의 인식 수준을 끌어올리고, 그 결과로 더 많은 환자가 골든타임 안에 진단 받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2025-11-21 05:30:00연구・저널

독감백신 판도 흔들까? mRNA 방식, 기존 대비 예방효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변형 뉴클레오사이드 기반 mRNA 독감백신이 성인 대상 3상 임상에서 기존의 불활화 사가백신보다 34.5% 높은 예방효과를 나타내며 우월성을 입증했다. 면역반응은 A형 두 주요 계통에서 더 강했지만 B형은 기존 백신에 미치지 못했고, 이상반응은 더 잦은 것으로 확인됐다.호놀룰루 이스트-웨스턴 메디컬연구소 데이비드 피츠패트릭 박사 등이 진행한 mRNA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능, 면역원성 및 안전성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EJM에 19일 게재됐다(DOI: 10.1056/NEJMoa2416779).독감은 매년 반복적으로 부담을 주는 대표적 호흡기 감염병이지만 기존 불활화 백신은 계절 변화 속 바이러스 항원성과 항체 반응의 변동성, 면역반응의 제한성 등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었다.mRNA 독감백신이 성인 대상 3상 임상에서 기존의 불활화 사가백신보다 34.5% 높은 예방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mRNA는 항원을 세포 내에서 직접 만들어내기 때문에 항원량이 많고 면역반응이 강하게 유도되고, 생산량·생산 속도에 이점이 있어 mRNA 코로나19 백신의 개발 성공 이후 타 감염 영역으로 확장이 시도되고 있는 상황.modRNA 독감백신은 초기 1·2상에서 우수한 면역원성과 수용 가능한 안전성을 보이며 3상 진입의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이번 3상 연구는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에서 18~64세 성인 1만 8,476명을 무작위 배정해 modRNA 사가백신과 기존 허가된 불활화 사가백신을 비교했다.1차 평가변수는 접종 14일 이후 발생한 인플루엔자 유사질환(ILI) 중 실험실 확진 사례의 상대적 발생률 차이를 비열등성과 우월성 기준에 따라 판단하는 방식이었다.면역원성은 HAI(혈구응집억제) 분석으로 평가했고, 안전성은 접종 7일 이내 반응원성, 1개월 이내 이상반응, 6개월 이내 중대한 이상반응을 추적해 분석했다.전체 1만 8,476명 중 modRNA군 9225명, 대조군 9251명이 접종을 완료했다.ILI 확진 사례는 modRNA군 57건, 대조군 87건으로, modRNA 백신의 상대적 효능은 34.5% 증가로 계산됐으며 이는 비열등성과 우월성 기준 모두 충족했다.확인된 독감 사례는 A/H3N2, A/H1N1이 대부분이었고 B형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HAI 분석에서는 A형 두 계통 모두에서 비열등성을 충족하고 기존 백신 대비 더 높은 항체가를 보였지만, B형에서는 비열등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점이 명확히 제시됐다.이상반응은 두 군 모두 대체로 경증 또는 중등도였으나 modRNA군에서 더 흔했다.국소 반응은 70.1% vs 43.1%, 전신반응은 65.8% vs 48.7%였으며 발열 또한 5.6% vs 1.7%로 modRNA군이 더 높았다다. 중대한 이상반응은 두 군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modRNA 백신이 기존 백신보다 실제 임상 예방효과와 A형 면역반응 모두에서 개선된 성적표를 내놨고, 매년 우세종으로 부상하고 변이가 잦아 예측이 어려운 A/H3N2에서 강한 면역성을 확인한 점은 플랫폼의 잠재력을 뒷받침한 것으로 평가된다.연구진은 "modRNA 백신은 대조군 백신에 비해 통계적으로 우수한 효능을 보였으며, A/H3N2 및 A/H1N1에 대한 면역 반응이 더 높았다"며 "다만 더 많은 반응성 이벤트와 관련이 있었다"고 결론 내렸다.
2025-11-20 12:10:21연구・저널

"사망 2위인데 지원 전무…심장질환, 구조적으로 차별받아"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19일 대한심장학회는 국회의원회관에서 심장질환 법 제도 공백 해소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2016년 제정된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심뇌법)의 현황 및 개선 방향에 대해 모색했다."붕어빵에 붕어가 없고 심뇌법에는 심장병이 없습니다."심장질환이 구조적으로 배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암에 이어 사망률 2위에 달하지만 암, 말기 신장병 등에서 적용되는 산정특례, 전문질환군에 배제돼 사망 시까지 별다른 보장을 받지 못한다는 것.특히 해외 주요 선진국들은 심장질환을 독립된 법 체계로 관리하며 초기부터 적극적인 예방-치료-재활-돌봄이 이어지는 구조를 갖췄다는 점에서 한국의 법 체계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목소리다.19일 대한심장학회는 국회의원회관에서 심장질환 법 제도 공백 해소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2016년 제정된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심뇌법)의 현황 및 개선 방향에 대해 모색했다.WHO에 따르면 심장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며, 우리나라에서도 고령화 추세에서 암에 이어 높은 사망 원인으로 자리할 뿐더러 심부전, 심방세동, 판막질환, 폐동맥고혈압 등 순환계통 질환자의 증가세도 두드러지고 있다.문제는 심부전, 부정맥, 판막질환, 폐고혈압 등은 지속적인 관리와 다학제 협력이 필수적이지만 건강보험 보장과 산정 특례 적용치 충분치 않다는 점. 급성기 중심으로 설계된 현재의 체계는 장기적, 복합적 관리의 필요성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해 심뇌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이해영 심부전학회 정책이사(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심뇌법 개정, 왜 바뀌어야 하나?'를 발표한 이해영 심부전학회 정책이사(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는 2020년 개정 과정에서 대상 질환의 범위와 수행 주체에 대한 법 해석의 모호성이 발생, 이에 따라 현장의 적용고 정책 실행에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이해영 이사는 "심뇌법의 2020년 개정 과정에서 법안 수행 주체가 보건복지부 장관 단독에서 질병관리청이 포함되며 문제가 발생했다"며 "특히 심부전, 부정맥, 뇌동맥류를 규정한 제2조 '그 밖에 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질환'이 이원화 과정에서 삭제됐다"고 지적했다.그는 "개정 이후 심뇌혈관질환연구 사업은 복지부 장관, 심뇌혈관질환조사통계사업은 질병관리청장으로 분담됐다"며 "통계사업의 중요 기관인 중앙권역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는 복지부 소속으로 어그러졌다"고 했다.2022년 개정도 심뇌법의 범위를 축소시키는 결과는 낳았다. '심부전, 부정맥, 뇌동맥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질환을 말한다'는 항목이 삭제되면서 사실상 붕어빵에는 붕어가 없고 심뇌법에는 심장병이 없는 기형적 상황이 초래됐다는 것이 그의 판단.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부전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두배 높은 8%에 이르고, 퇴원 이후 심부전 발생 유무에 따른 사망률 격차는 더 커져 초기부터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이 이사는 "표준 치료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경우 사망, 재입원율을 60% 줄일 수 있다"며 "심부전 환자의 45%가 매년 한번 이상 입원하는데 입원하지 않고 외래에서 치료받으면 의료비의 96%가 절감된다"고 법적 테두리에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한편 심뇌법 제정 이후 신설 조직 및 당면 과제에 대한 보완 필요성도 제기됐다.2023년 12월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 2024년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새로 지정돼 이의 역할 규정이 필요하게 됐다. 중앙 권역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간의 업무 협조 체계 내에서 권역 및 지역센터에서 진료가 어려운 중증 심뇌혈관질환 및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환자 전원, 진료 지원 수요가 제기된다.심뇌법 개정을 통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임상 현장의 필요를 반영한 대상 질환 명시 및 확장 가능성 복구 ▲복지부-질병청 이원화 역할 분담으로 발생한 혼선 해소 ▲심뇌혈관질환센터, 119구급대의 유기적 협업 등 관리 과정의 지자체 참여 의무 규정 신설과 예산 확충 근거 확보가 제시됐다.해외 주요 제도 사례 비교를 통해 개선 방향 모색도 이뤄졌다.'국내외 심장질환 법제 대응체계 비교'를 발표한 정욱진 심장학회 정책이사(가천대 의과대학장)는 "심장질환은 국내 사망률 2위 질환임에도 암, 말기 신장, 응급, 외상 질환에 비해 보장 제도에서 격차를 보인다"며 "중증 심부전, 난치성 부정맥, 중증 판막질환, 난치성 폐고혈압 질환자는 산정특례, 전문질환군에 배제돼 사망시까지 별다른 보장을 받지 못한다"고 지적했다.암, 자살, 치매는 개별법과 지원 체계가 존재하지만 사망 원인 2위인 심장질환은 개별법이 없고 보장성도 후순위로 밀려있어, 법적·정책적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는 것.배장환 좋은삼성병원 심혈관중재시술연구소장정 이사는 "21대에서 심장질환 단독 법률은 0건, 관련 개정안 1건을 제외하면 심장질환에 대한 국회의 입법은 부재했다"며 "22대 역시 현재까지 단독 법안이 전문해 정책 이행력과 보장성 제도의 불균형을 초래, 지속시키고 있다"고 판단했다.2025년 기준 국민건강증진기금 예산은 3조 2517억원에 달하지만 이 중 심혈관질환에 대한 투자 비중은 0.6%에 불과하고 심혈관질환이 포함된 만성질환 분야 사업비 역시 3.6%에 그친다. 기금 사용도 구조상 소외돼 있지만 해외 상황은 다르다.정 이사는 "미국은 Affordable Care Act에 기반한 밀리언 하트 전략을 사용한다"며 "호주는 Medical Research Future Fund Act에 기반한 Cardiovascular Health Mission 전략으로 총 10년간 2.2억 호주달러가 지원되는 등 독립 기금 기반의 전략적 연구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일본의 경우 순환기병 대책 기본법에 기반해 2020년 순환기병 대책 추진 기본계획을 수립, 예방-치료-재활-돌봄이 이어지는 전주기 관리 모델을 운영한다"며 "국가법, 지방 계획, 의료 인프라가 연계된 다층 정책 구조를 갖췄다는 점을 참고할만 하다"고 강조했다.그는 "해외 사례를 참고해 심뇌법에 심부전, 부정맥, 심장판막증, 폐고혈압 등 중증난치성 심장질환 범위를 명시하고 정책 수립, 자원 배분의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며 "보장성 사각지대 해소 및 산정특례, 전문질환군 지정 확대도 필요하다"고 했다.이외에도 중증도에 기반한 심뇌혈관센터 이원화, 2차 전문병원까지 지정 대상 확대, 심장중환자실 법적 근거 마련, 병상·인력 확보 지원 체계 구축, 특정 질환에 편중된 기금 배분, 심장질환 예방·연구 등 사용처 명시가 해법으로 제시됐다.이와 관련 배장환 좋은삼성병원 심혈관중재시술연구소장은 "2000년 들어 심근경색증, 뇌졸중의 치명률과 사망률이 높자 정부는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설립해 지원했다"며 "이제는 심근경색증 환자의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환자군의 일부가 심부전으로 이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이전에는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환자가 90% 이상이던 심장계중환자실이 중증 심부전이나 구조심질환자가 30% 정도로 상승했지만 중증-경증심부전을 구분하지 않는 지불 체계 때문에 심부전 전체가 일반질환군으로 묶여있다"며 "정부가 심근경색증에 적절히 대응한 것처럼 지금은 심부전의 파도에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할 때"라고 법 개정을 촉구했다.
2025-11-20 05:30:00연구・저널

심장재활 지침 개정 들어간 재활의학회…DTx 마중물 될까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대한재활의학회가 심장재활 진료 지침의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현재 국내의 심장재활 참여율은 6% 안팎에 그쳐 미국의 50%, 유럽의 30~40%와 격차가 벌어진 상황.외국은 디지털 기반의 가정 재활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달성한 만큼 디지털 치료기기(DTx) 처방에 대한 근거 제시 및 가정 재활의 중요성에 대한 반영이 이뤄질지 관심사로 떠오른다.19일 재활의학회에 따르면 최근 학회는 심장학회, 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심장호흡재활의학회를 포함한 유관 학회와 함께 심장재활 임상진료지침의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18일 재활의학회에 따르면 최근 학회는 심장학회, 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심장호흡재활의학회를 포함한 유관 학회와 함께 심장재활 임상진료지침의 개정 작업에 착수했다.지침은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으로 입원해 급성기 치료를 받고 생존한 환자를 위한 심장재활 및 이차예방에 대한 것으로 문헌적 근거에 바탕을 두고 있다.학회 관계자는 "2019년 국내 심장재활 진료지침은 최초로 개발돼 발간된 바 있다"며 "6년이 지나면서 디지털 기술, ICT, 디지털 치료제 등의 다양한 변화가 있어 이를 반영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초판 지침은 심장재활의 개념과 기반이 부족한 국내 상황에서 이의 활성화를 위해 개발됐지만 여전히 해외 상황과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국내 심장재활 참여율은 5.8%에 그치는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50% 참여율을 기록하는 미국은 참여율 목표를 70%로 상향하는 등 점점 더 격차가 벌어질 조짐이다.학회 관계자는 "유럽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가정 재활이 널리 활성화 돼 있고 이를 기반으로 30~40%에 달하는 높은 참여율을 기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아무래도 개정 작업에서 ICT 기반의 DTx에 대한 근거 반영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해외에선 심장재활 분야에서 DTx 사용에 대한 근거가 축적돼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가정 재활도 널리 활성화돼 있다. 현재 허가받은 국내 DTx 품목은 주로 불면증, 시야 장애, 호흡재활, 경도인지장애로 심장재활은 없지만 지침이 선제적으로 심장재활 DTx 활용의 근거를 반영하면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것.그는 "임상 진료 지침은 먼저 임상 현장에서 풀어야 할 핵심 의사결정 지점을 정의하는 핵심 질문을 설정하고 그에 알맞는 근거 문헌을 체계적으로 찾는 방식으로 진행한다"며 "현재 2019년 이후 나온 논문들을 리뷰해서 반영할 연구를 선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해당 질문에 맞춘 체계적 문헌 검색 전략 수립 이후 문헌 선정과 질 평가, 근거 요약과 권고안 초안 작성, 합의 과정 등을 거쳐 빠르면 내년 중순에 완성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침에서 DTx, 가정 재활에 대한 근거를 반영하면 국내의 심장재활 참여율도 숨통이 틔일 것으로 본다"고 했다.ICT 기반으로 환자가 집에서 운동을 하더라도 의료진이 운동 횟수부터 운동 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상담 및 교육을 통해 적절한 재활 습관을 만들면 이는 환자의 예후에 도움이 돼 향후 수가 신설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그는 "DTx 중 호흡재활만 허가를 받았는데 현재 의료진들이 심장재활 관련 제품을 연구하고 있고 내년 봄쯤 식약처 허가가 기대된다"며 "의료진이 DTx를 처방하고 수가를 받을 수 있다면 국내 심장재활 참여율도 상승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5-11-19 12:00:54연구・저널

SGLT2i, 당뇨·알부민뇨 무관…신장·입원·사망 감소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SGLT2 억제제가 당뇨 유무와 상관없이 신장질환 진행을 줄이고, 입원과 사망 위험까지 낮춘다는 대규모 메타분석 결과가 제시됐다.특히 알부민뇨가 높은 환자일수록 절대적인 신장 보호효과가 더 컸고, 알부민뇨가 낮은 환자군에서도 입원 감소와 같은 임상적 이득이 명확하게 나타나 임상적 적용 범위를 확장시킬 전망이다.영국 옥스퍼드대 나탈리 스테이플린 등 연구진이 진행한 당뇨병 상태와 알부민뇨 수준에 따른 SGLT2 억제제의 효과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JAMA Network에 7일 게재됐다(doi: 10.1001/jama.2025.20835).그동안 SGLT2 억제제는 당뇨병성 만성콩팥병(CKD) 환자 중심으로 근거가 축적돼 왔고, 알부민뇨가 높은 환자에서 효과가 두드러진다는 인식이 강했다.SGLT2 억제제가 당뇨 유무와 상관없이 신장질환 진행을 줄이고, 입원과 사망 위험까지 낮춘다는 대규모 메타분석 결과가 제시됐다.반면 당뇨가 없는 CKD 환자나 UACR 200 mg/g 미만의 저알부민뇨 환자에서는 효과 추정이 제한적이었다.실제로 임상진료지침마다 권고의 강도가 일관되지 않은 이유도 이 때문으로 연구진은 이 같은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SGLT2 억제제의 '상대적 효과'와 '절대적 임상이득'을 환자 아형별로 재정리했다.연구는 신장질환을 대상으로 적응증을 가진 SGLT2 억제제 8개 무작위 임상시험을 통합 분석한 메타분석 설계로 이뤄졌다.총 5만 8816명이 포함됐으며, 이 중 4만8946명이 당뇨병 환자였고 9870명은 당뇨병이 없었다.연구진은 사전 정의한 주요 신장·안전성 결과에 대해 통합 분석을 진행했으며, 각 하위군의 절대효과는 위약군 사건률에 해당 HR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산출했다.분석 결과 SGLT2 억제제는 당뇨병 유무에 상관없이 신장질환 진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당뇨병 환자에서 신장질환 진행은 연간 환자 1000명당 33명으로, 위약군의 48명 대비 HR 0.65로 감소했다.당뇨가 없는 환자에서도 32명 대 46명으로 HR 0.74를 보였다. 급성 신손상 위험 역시 당뇨병 환자 HR 0.77, 비당뇨군 HR 0.72로 일관된 보호효과를 보였다.입원 감소 효과는 특히 두드러져, 당뇨병 환자 HR 0.90, 비당뇨군 HR 0.89로 확인됐고, 사망 위험 역시 각각 HR 0.86, HR 0.91 수준으로 감소했다.UACR에 따른 하위 분석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HR 자체는 고알부민뇨군과 저알부민뇨군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UACR 200 mg/g 이상 고위험군은 기저 사건률이 높아 절대이득이 더 크게 나타났다.반면 UACR 200 mg/g 미만 환자는 신장질환 진행 사건률 자체가 낮은 대신 입원 감소, 전체적 임상이득 측면에서 뚜렷한 이점을 보였다.특히 연구진은 심부전 병력이 없는 환자군에서도 순이득이 유지됐고, eGFR 60 mL/min/1.73m² 미만의 중등도 신기능 저하군에서도 효과가 일관됐다고 해석했다.즉 SGLT2 억제제의 적용 기준을 당뇨병 중심 혹은 고알부민뇨 중심으로 제한할 이유가 약해졌다는 것.연구진은 "참가자들의 당뇨병 상태와 UACR 수치에 관계없이 SGLT2 억제제가 신장, 입원, 사망률 결과에 미치는 절대적인 이점이 분명했다"고 결론내렸다.
2025-11-19 11:59:23연구・저널

약물용출스텐트 시술 AF 환자, NOAC 단독이 더 안전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약물 용출 스텐트 삽입 1년 이상 지난 심방세동(AF) 환자에서 NOAC 단독요법이 NOAC+클로피도그렐 병용요법보다 임상적 위해 사건을 유의하게 줄인다는 국내 대규모 무작위 임상 결과가 나왔다.주요 복합 사건 발생 위험이 약 절반으로 단독요법이 우월성을 입증했고, 출혈 발생 또한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세브란스심장혈관병원 이승준 교수 등인 진행한 약물 용출 스텐트 환자의 심방세동 치료법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EJM에 8일 게재됐다(DOI: 10.1056/NEJMoa2512091).심방세동 환자에서 경구 항응고요법은 표준 치료이지만,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 병력이 있을 경우 항혈소판 치료 여부가 오랫동안 논쟁이 돼왔다.약물 용출 스텐트 삽입 1년 이상 지난 심방세동 환자에서는 NOAC 단독요법이 NOAC+클로피도그렐 병용요법보다  더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기존 연구들은 표본 규모가 작거나 단일 기관 중심이었고, NOAC 단독전략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명확히 검증하지 못했고 특히 스텐트 삽입 후 1년이 지났을 때 항혈소판제를 지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는 제한적이었다.이번 연구는 국내 여러 기관이 참여, 무작위·개방형·비열등성 임상으로 진행됐다.약물용출스텐트를 삽입한 지 최소 1년이 지난 심방세동 환자를 NOAC 단독군(n=482)과 NOAC+클로피도그렐 병용군(n=478)으로 1:1 배정했다.주요 평가변수는 12개월 시점의 순불리 사건으로,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전신 색전증·주요출혈·임상적 의미가 있는 비주요출혈을 모두 포함한 복합지표로 설정했고, 비열등성 마진은 3.0%p였다.총 960명에서 12개월 시점 주요 복합 사건은 단독군 46명(9.6%), 병용군 82명(17.2%)으로 나타났고(절대 차이 –7.6%p), HR은 0.54로 비열등성을 넘어 우월성까지 확보됐다.출혈 역시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주요 또는 임상적 비주요출혈은 단독군 5.2%, 병용군 13.2%로 절반 이하 수준(HR 0.38)으로 낮았다.즉 이번 결과는 스텐트 삽입 후 1년이 지난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혈소판제를 지속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강하게 뒷받침한 것. 병용요법은 출혈 위험 증가뿐 아니라 오히려 전체 임상 위해사건 발생을 높여, 장기 관리에서 불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연구진은 "약물 용출 스텐트를 최소 1년 전에 이식한 심방세동 환자 중 NOAC 단독 요법은 순 임상 부작용에 대해서 병용 요법보다 열등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
2025-11-18 12:03:16연구・저널

"무제한 대 1년…한국 편두통 급여 기준 세계 흐름과 괴리"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옆나라 일본만 해도 우리나라와 보험 기준에서 큰 격차를 보입니다."대한두통학회가 국내 편두통의 치료 흐름이 세계적 표준과는 거리감을 보인다며 개선안을 제시했다.일본만 해도 한 가지 기존 약물 실패만으로도 CGRP 단클론항체 약제가 기간 제한이 없이 급여가 적용되지만 한국은 까다로운 규정으로 인해 실제 필요한 환자의 5%만 급여가 된다는 것. 특히 세계적인 치료의 흐름이 초기 적극적인 약제 사용을 통한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도 국내 제도 개선 필요성의 목소리로 이어지고 있다.주민경 회장(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16일 대한두통학회는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편두통 치료 급여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국내에서 편두통 치료를 위해 전통적인 경구 예방약과 함께 CGRP(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를 표적으로 한 최신 치료법이 도입돼 있다.전통적인 치료로는 베타차단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 다른 목적으로 개발된 약물들이 예방치료에 활용되지만 항-CGRP 단클론항체 주사제 갈카네주맙, 프레마네주맙 등이 개발되면서 주목받고 있다.한국 편두통 치료는 과거 비특이적 예방약과 급성기 약물 중심에서 CGRP를 겨냥한 예방 치료제로 변화하는 중이지만 문제는 보험 급여 조건이 여전히 까다로워 많은 환자가 실제로 신약의 혜택을 받기 어렵다는 점. 학회 역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주민경 회장(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은 "최근 한일두통심포지엄에서 한국과 일본 모두 CGRP 단클론항체의 효과와 부작용은 유사하게 나타났고 삽화 편두통의 약 반응률은 약 50%, 만성 편두통은 40~50% 수준으로 비슷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 환경은 극명하게 달랐다"고 설명했다.그는 "일본의 경우 한 가지 기존 약물 실패만으로도 CGRP 단클론항체 약제가 보험 급여 대상이 되고, 만성 편두통이면 제한 없이 장기 투약이 가능하다"며 "반면 한국은 세 가지 이상 약제를 최대 용량으로 6개월 이상 사용한 만성 편두통 환자에게 1년간만 급여가 허용된다"고 지적했다.1년 사용 후에는 다시 6개월간 치료를 중단해야 보험이 재적용되는 등 까다로운 규정 때문에 실제로 건강보험으로 CGRP 치료를 받는 환자는 전체의 약 5%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 이같은 제도적 장벽은 세계적인 두통 치료 흐름과도 동떨어져 있다는 게 학회 측 판단이다.주 회장은 "올해 국제두통학회는 예방 치료의 목표를 종전의 '두통을 절반 줄이는 것'에서 한 단계 나아가 '두통 없는 날을 월 4일 이하로 유지하는 것'으로 조정했다"며 "또한 두통이 악화되는 과정을 막기 위해 조기에 적극적인 예방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선언을 채택했다"고 했다.그는 "최근 연구에서는 예방 치료가 단순히 두통 빈도를 줄이는 수준을 넘어 뇌의 통증 경로 변화를 억제해 질병 악화를 막는 효과가 처음으로 확인되면서 예방 치료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며 "여러 국가들도 이 같은 흐름에 맞춰 CGRP 약제의 급여 기준을 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영국, 호주, EU 국가들은 이미 고빈도 삽화 편두통이나 초기 단계 환자에게도 폭넓게 약제를 적용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가장 엄격하고 오래된 기준을 유지하고 있어 이런 격차가 결국 환자의 치료 기회를 제한 및 사회적 부담 가중으로 이어지고 있다.학회는 3가지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시했다.첫째 6개월로 규정된 단약 기간을 3개월로 줄여 치료 공백을 최소화, 둘째 난치성 고빈도 삽화 편두통에도 급여를 적용해 만성화 이전 단계에서 적극적인 치료, 셋째 3개월 내 반응이 없으면 약제의 바로 중단 대신 연장 가능이다.주 회장은 "최신 연구에서 늦게 반응하는 환자들이 확인된 만큼 최소 6개월까지 평가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며 "약제의 효과와 부작용은 세계 어디서나 비슷하지만 한국만 특히 접근성이 낮다는 특이성이 있어 두통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선 CGRP 치료제의 급여 확대는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2025-11-16 17:02:15연구・저널

지질은 기본 췌장염까지 잡아…돌파구 부상한 올레자르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LDL 콜레스테롤 강하를 목적으로 개발된 아포지단백 C-III 억제제 올레자르센이 중성지방을 대폭 낮출 뿐 아니라 급성췌장염 발생 위험까지 유의하게 줄였다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서 췌장염 위험을 직접 줄인 무작위 대조 임상 근거는 이번이 사실상 처음이다.미국 보스턴 브리검 여성병원 니콜라스 마스톤 등 연구진이 진행한 중증 고중성지방혈증 및 췌장염 위험 관리를 위한 올레자르센 투약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EJM에 8일 게재됐다(DOI: 10.1056/NEJMoa2512761).올레자르센은 LDL-C 조절을 위해 설계된 약물로, 간에서 아포지단백 C-III mRNA를 억제해 VLDL 및 중성지방 운반을 차단하는 기전을 갖는다.LDL 콜레스테롤 강하를 목적으로 개발된 올레자르센이 급성췌장염 발생 위험까지 유의하게 줄였다는 임상 결과가 나오면서 췌장염의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부상할 전망이다.이번 연구는 중증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의 췌장염 예방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평가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 CORE-TIMI 72a와 CORE2-TIMI 72b의 통합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소규모 코호트나 단기간 관찰, 서열적 설계 또는 지표 중심 결과에 그쳐 췌장염 발생 감소 같은 임상적 사건에 대한 증거가 부족했던 한계를 지녔다.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연구진은 아포지단백 C-III를 억제하는 항감수성(antisense) 기전 약물 올레자르센의 임상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연구는 각 시험에서 환자들을 1:1:1 비율로 올레자르센 50 mg, 80 mg, 또는 위약군에 배정해 매월 12개월간 투여했다.주요 종점은 치료 6개월 시점의 중성지방 변화율(기저 대비 백분율)로 설정했으며, 12개월 시점의 중성지방 변화와 아포지단백 C-III, 잔여콜레스테롤, 비HDL 콜레스테롤 수준 변화를 부종점으로 삼았다. 또한 두 시험을 통합해 급성췌장염 발생을 평가했다.총 1061명의 환자(CORE-TIMI 72a 617명, CORE2-TIMI 72b 444명)가 주 분석에 포함됐다. 6개월 시점에서 CORE-TIMI 72a에서는 올레자르센 50 mg군이 위약 대비 중성지방이 장소평균으로 62.9%p, 80 mg군이 72.2%p 감소했다.CORE2-TIMI 72b에서는 50 mg군이 49.2%p, 80 mg군이 54.5%p 감소해 모든 비교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했다.이와 함께 아포지단백 C-III, 잔여콜레스테롤, 비HDL 콜레스테롤도 올레자르센 투여군에서 위약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했다.급성췌장염 발생은 올레자르센군에서 현저히 낮았다. 평균 발생률 비율(mean rate ratio)은 0.15로, 위약 대비 85% 이상의 위험 감소 효과를 보였다.전반적인 이상반응 발생 빈도는 군 간 유사하게 관찰됐으나, 80 mg 고용량군에서 간효소 상승과 혈소판감소증(혈소판 100,000/μL 미만)이 더 자주 보고됐으며 간내 지방분율이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도 확인됐다.올리자르센은 기존의 스타틴이나 피브레이트가 충분히 조절하지 못한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게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아 왔지만, 췌장염 예방 효과까지 입증되면서 그 치료적 의미도 확장됐다.그간 췌장염에는 특정 표적 약물이 존재하지 않고, 대부분의 치료가 담석 제거나 중성지방 강하와 같은 기저 원인 조절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올레자르센의 상당한 췌장염 위험의 감소는 임상 현장의 미충족 수요를 충족시킬 전망이다.특히 중성지방이 1000 mg/dL 이상인 환자에서 급성췌장염 위험이 급격히 상승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연구는 지질 관리와 췌장 보호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 셈.연구진은 "중증 고중성지방혈증 환자 중 올레자르센 치료를 받은 그룹은 위약 그룹 대비 6개월 시점의 중성지방 수치와 급성 췌장염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했다"고 결론내렸다.
2025-11-14 05:30:00연구・저널

커피는 심혈관에 해롭다? 심방세동 재발 39% 낮춰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심방세동 환자에서 카페인 커피를 완전히 끊는 것보다 하루 한 잔 정도 마시는 것이 재발 위험을 낮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카페인 섭취가 부정맥과 혈압 상승을 유발한다는 기존의 통념을 뒤집은 연구다.미국 캘리포니아대 크리스토퍼 웡 등 연구진이 진행한 심방세동을 줄이기 위한 카페인 함유 커피 섭취 관련 DECAF 임상시험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JAMA에 9일 게재됐다(doi: 10.1001/jama.2025.21056).그동안 커피나 카페인이 혈압을 높이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꾸준히 제시돼 왔다. 예를 들어 200~300mg의 카페인을 섭취했을 때 수축기 혈압이 평균 8mmHg, 이완기 혈압이 5mmHg 이상 상승한 메타분석 결과가 나온 바 있다.심방세동 환자에서 카페인 커피를 완전히 끊는 것보다 하루 한 잔 정도 마시는 것이 재발 위험을 낮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이어 중증 고혈압 환자에서 하루 커피 두 잔 이상을 마신 경우 심혈관 사망 위험이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일본인 코호트 연구도 있어 '커피는 부정맥의 적'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아 왔다.이번 'DECAF(Decaffeinated or Caffeinated Coffee for Atrial Fibrillation)' 임상시험은 카페인 섭취와 부정맥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첫 무작위 대조 연구로, 심방세동(AF)이나 심방조동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모든 참여자는 심장전기충격을 통해 정상 리듬을 회복한 직후 등록됐으며, 미국, 캐나다, 호주 5개 병원에서 2021년 1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모집됐다. 최종 추적은 2025년 6월 5일에 완료됐다.연구진은 카페인 섭취가 실제로 심방세동 재발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카페인 커피 섭취'와 '완전 금욕' 두 그룹을 무작위로 비교했다.참여자들은 커피를 계속 마시는 그룹(n=100)과 커피 및 카페인 제품을 완전히 끊는 그룹(n=100)으로 1:1 배정됐다.섭취군은 최소 하루 한 잔 이상의 카페인 커피를 마시도록 권장됐고, 금욕군은 카페인뿐 아니라 디카페인 커피와 카페인 함유 식품까지 완전히 피하도록 했다.6개월간의 추적 관찰 결과, 심방세동 또는 심방조동의 재발은 커피 섭취군에서 47%, 금욕군에서 64% 발생했다. 이는 커피 섭취군의 재발 위험이 39% 낮은 것으로, 위험비(HR)는 0.61이었다.심방세동 단독 재발만 따로 분석했을 때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기간 동안 두 그룹 간 이상반응 차이는 없었다.이번 연구는 무작위 배정과 다국가 다기관 설계를 통해, 카페인 섭취와 심방세동 재발 간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검증한 첫 근거로 평가된다.연구진은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이 임상 시험에서, 하루 평균 1잔의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 섭취량에 할당된 것은 커피와 카페인 제품을 금하는 것에 비해 AF나 심방조동의 재발이 적었다"고 결론내렸다.
2025-11-13 12:03:45연구・저널
인터뷰

"PSA 국가검진 도입은 의지 문제…예산 연간 100억 불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PSA(전립선특이항원) 검사를 둘러싼 학술적, 사회적 맥락이 급변하고 있다.과거 PSA 검사의 비용 효과성에 의문 부호가 따랐지만 유럽의 장기 대규모 연구에서의 사망률 감소 결과 및 이에 기반한 다양한 권고 지침이 나오면서 PSA 긍정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국내 전립선암 환자가 급증하며 남성암 순위에서 1위로 올라설 것이란 전망 역시 이전과는 다른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로 이어진다.최근 국내 연구에서도 PSA 국가암검진 포함의 당위성을 뒷받침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를 주도한 이대비뇨기병원 고영휘 교수(비뇨의학과)를 만나 PSA 국내 연구 결과와 의의, PSA 국가검진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국내 전립선암 경고등…과거 연구에 발목 묶여전립선암이 빠르게 늘며 비상등이 켜졌다. 전립선암은 2000년대 초반만 해도 국내 남성암 중 10위권 밖에 머물렀으나, 최근 10년 새 발생률이 3배 가까이 급증, 올해 1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에서의 증가세가 두드러지며, 고령화가 가속되는 한국에서 조기 진단의 공백은 곧 사회적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란 경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학계가 국가건강검진에 PSA 검사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같은 맥락.문제는 국내 전립선암 비용 효과성 논의가 과거 자료와 해외 진료지침 영향에 크게 좌우돼 왔다는 점이다.이대비뇨기병원 고영휘 교수(비뇨의학과)고영휘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PSA 검사의 비용 효과를 연구한 논문은 2014년에 발표된 단 한 편뿐"이라며 "당시 연구는 보건사회연구원이 의뢰해 2010년까지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됐는데, 2010년은 전립선암 발생률과 유병률이 지금보다 훨씬 낮았던 시기"라고 지적했다.당시 남성암 순위에서 전립선암은 5위에 불과했으며, 이 때문에 비용 대비 효과성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게다가 2010년 시점에는 지금처럼 빅데이터가 없어서, 여러 산발적 자료를 모아 분석해 실제 상황을 충분히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고 교수는 "연구 방법과 자료의 한계로 인해 결론을 과도하게 일반화한 측면이 있다"며 "이후 2014년 이후 해외 문헌에서는 미국 중심으로 PSA 검사를 시행하면 저위험군까지 과잉 진단될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랐고,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과도하게 해석해 2012년 이후 진료 지침이 PSA 비시행 쪽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그는 "미국에서는 50대 이상 남성의 PSA 검사율이 약 40%였고, 일본은 30% 정도였던 반면, 우리나라는 2016년 기준으로 50대 이상 남성의 PSA 검사율이 10% 수준에 불과했다"며 "검사 자체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과잉 진단의 문제가 아니라, 고위험 전립선암조차 지방에서는 제때 발견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고 말했다.미국 진료 지침을 기준으로 한 국내 지침이 현실과 맞지 않았다는 것. 최근 연구와 정책도 이같은 상황을 바꾸고 있다. 2022~2023년 유럽 진료 지침은 PSA 검사를 강화하는 쪽으로 업데이트됐고, 2023년 미국 AUA 가이드라인도 PSA 검사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고 교수는 "과거의 부정적인 진료 지침이나 과잉진료 논란은 2010년 이전 자료에 근거한 것이고, 국내 현실과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국내 데이터에서도 비용 효과성 확인"이 같은 주장은 고 교수가 수행한 두 편의 연구로도 뒷받침된다. 첫 번째 연구는 PSA 검사의 비용·편익을 체계적으로 평가한 분석이다.2010~2020년 새로 전립선암 진단을 받은 남성 16만 6,848명의 전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기적으로 PSA 검사를 받은 환자는 진단 시점이 더 빠르고, 수술과 방사선치료 같은 국소 치료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에서는 PSA 정기검사군(진단 전 2년 이상, 3회 이상 검사 시행)이 수술 45.6%, 방사선치료 17.0%로, 비정기검사군(진단 직전 3개월 이내 첫 PSA 검사)의 수술 33.8%, 방사선치료 14.9%보다 국소 치료 비율이 높았다.반대로 비정기검사군에서는 호르몬 치료 59.7% 등 전신 치료 비율이 높았다. 비용 분석에서도 국소 치료 비용은 두 그룹 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전신 치료 비용은 비정기검사군에서 훨씬 높아 PSA 정기검사가 비용효과적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두 번째 연구는 지역별 전립선암 치료 격차를 확인했다. 전국 51개 대형병원의 2010~2020년 전립선암 환자 2만 7,075건을 분석한 결과, 국소 전립선암 환자(전이 없는 고위험군) 도시 환자의 64.3%가 수술(단독 또는 호르몬치료 병행)을 받았지만, 지방 환자는 48.6%에 그쳤다.중간위험군은 도시 66.8%, 지방 51.2%였고, 저위험군은 도시 49.6%, 지방 32.5%로 수술 비율이 낮았다. 대신 지방에서는 적극적 감시(추적관찰)가 더 자주 시행됐으며(37.8% vs. 26.8%), 호르몬 단독치료(ADT) 사용 비율도 지방에서 높았다.전이가 있는 경우(M1)에도 도시 환자는 복합 전신치료를 받는 비율이 15.8%였지만, 지방은 8.7%에 그쳤다. 연구팀은 "도시 환자는 적극적인 수술 및 복합 치료를, 지방 환자는 약물 단독치료를 더 많이 받는 등 치료 접근에서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이번 연구들은 PSA 정기 검사가 전립선암 조기 진단과 국소 치료 확대, 전신치료 부담 감소로 이어지며, 동시에 지역 간 치료 격차 해소 필요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이 크다는 게 고 교수의 판단.■"국가검진 체계 구축, 10년간 1200억원이면 가능"전립선암 국가검진에서 PSA 검사를 시행할 경우, 시작 연령과 종료 연령, 검사 주기 설정이 비용 효과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다.고 교수는 "해외 여러 진료 지침에서도 PSA 검사는 55세부터 시작할 것을 권고하는데, 이는 ERSPC라는 대규모 근거 연구 결과에 기초한 것"이라며 "전립선암 치료는 10년 이상의 생존율이 보장될 때 정당화되므로, 검진 종료 연령은 각 나라의 남성 평균수명과 건강수명을 고려해 설정해야 한다"고 했다.우리나라 남성의 평균 기대수명은 2024년 기준 80.6세이며, 건강수명은 약 89세로 추정된다. 고 교수는 "이 자료를 감안하면 PSA 검사는 55세부터 75세 정도까지 시행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검사의 주기는 해외 문헌에서 2~4년 사이로 권고되고 있으며, 비용과 효율성을 고려할 경우 2년마다 시행하는 것이 가장 교과서적인 접근이라는 설명이다.다만 비용 부담을 고려하면 최소화할 수도 있다. 고 교수는 "안전망 구축 측면에서 가장 비용 효과적인 방안은 생애 동안 PSA 검사를 세 번만 시행하는 것"이라며 "55세, 65세, 75세에 맞춰 시행하면 전 국민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립선암 안전망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실제 비용 분석 결과, 2023년 인구 기준으로 10년 동안 드는 총 비용은 약 1200억 원, 연간 비용은 약 100억 원으로 추산됐다. 대학병원 3차 기관 기준 검사 비용은 약 1만 5000원, 1·2차 의료기관은 약 1만 원 수준이며, 중간값인 1만 2500원을 적용해 계산한 수치다.PSA 검사는 기본적인 혈액 검사로 가능하다. 장비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기존 검진 인프라에서 바로 시행할 수 있어 국가 차원에서 시행한다고 해도 행정적 부담이 크지 않아 이는 보건 당국의 의지 문제에 달려있다는 것.고 교수는 "PSA 검사는 피검사만으로 가능해 내시경, CT, MRI 등 고급 장비가 필요하지 않다"며 "보편적인 검진으로 최소한의 안전망을 확보하면서, 노인 인구 증가로 향후 전립선암 부담이 커질 한국 사회에서 충분히 합리적인 투자"라고 강조했다.정책적 방향성에 대해 고 교수는 "전립선암은 이제 단일 질환이 아니라 고령화 사회의 구조적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며 "국가가 PSA 검사를 공식 검진 항목으로 인정하는 순간, 그 결정이 향후 10년의 의료비 절감과 생존율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전립선암 조기진단 체계는 남성 건강관리의 출발점이자, 고령화 시대 보건정책의 방향을 가늠할 시금석"이라며 "정부가 과거의 근거에 머물지 않고,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새로운 결단을 내리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2025-11-13 05:30:00연구・저널

D형간염, 토베비바트 병용요법으로 '기능적 치유' 실마리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B형 간염 표면항원(HBsAg)을 동시에 억제하는 기전의 토베비바트와 엘렙시란 병용요법이 D형 간염 바이러스(HDV) 감염 환자에서 바이러스 소실과 간효소 정상화를 모두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연구는 HDV의 근본적 치료가 어려웠던 기존 접근법의 한계를 넘어, B형 간염과 D형 간염의 병용 감염 치료전략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프랑스 파리-시테대 타릭 아셀라 등 연구진이 진행한 D형 간염에 대한 토베비바트-엘렙시란 병용 임상 2상 시험 결과가 국제학술지 NEJM에 9일 공개됐다(DOI: 10.1056/NEJMoa2508827).B형 간염 표면항원(HBsAg)을 동시에 억제하는 기전의 토베비바트와 엘렙시란 병용요법이 D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번 2상 연구는 B형 간염 표면항원을 표적으로 하는 두 기전의 치료제, 모노클로날항체인 토베비바트와 siRNA 기반의 엘렙시란의 병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설계됐다.D형 간염은 HBsAg의 존재 하에서만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HBsAg을 억제하는 것은 HDV 감염의 근본적 차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출발점이 됐다.기존 치료제는 주로 인터페론 계열로 제한돼 있었고, 치료 성공률과 내약성 모두 낮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돼 왔다.연구는 총 65명의 만성 D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참가자는 4주마다 토베비바트+엘렙시란 병용요법을 투여받거나, 2주마다 토베비바트 단독요법을 투여받는 두 군으로 무작위 배정됐다.1차 평가변수는 치료 24주차에 HDV RNA 수치가 검출 한계 미만이거나 기준 대비 2 log10 IU/mL 이상 감소(바이러스학적 반응)하고, 동시에 ALT가 정상화되는 '복합 반응'으로 정의됐다.치료 24주 시점에서 복합 반응률은 병용군 47%(15명/32명), 단독군 70%(23명/33명)로 나타났다.하지만 바이러스학적 반응만 놓고 보면 병용군의 100%가 HDV RNA 감소를 보였고, 단독군은 82%로 확인됐다.ALT 정상화는 각각 47%, 76%였고 치료 48주 시점에서는 병용군의 66%(21명/32명)가 HDV RNA 미검출('target not detected')에 도달했으며, 단독군은 48%(16명/33명)였다. ALT 정상화율은 각각 56%와 61%였다.특히 병용군의 91%가 HBsAg 수치를 10 IU/mL 미만으로 낮추며 항원 소실 측면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단독군 21%).안전성 측면에서 두 군 모두 ALT 상승 등 간독성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주요 이상반응은 독감 유사 증상과 오한으로 대부분 경미했다. 이상반응 발생률은 병용군 81%, 단독군 94%였다.이번 연구는 B형·D형 간염의 병합감염 치료에서 표면항원 억제의 중요성을 다시 부각시키며, siRNA와 항체 기반 병용요법의 임상적 시너지를 보여준 첫 중간 결과로 평가된다.연구진은 "HBsAg을 이중 기전으로 억제함으로써 HDV 복제의 기반을 차단하는 접근이 임상적으로 유효함을 확인했다"며 "토베비바트와 엘렙시란 병용요법은 HDV RNA 소실뿐 아니라 HBsAg 저하를 동반했다는 점에서 향후 기능적 치유를 목표로 한 치료전략의 전환점을 제시한다"고 평가했다.
2025-11-12 11:59:59연구・저널

정답 있는 폐고혈압 생존율 문제…"모범 국가에서 답 찾아야"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11일 폐고혈압학회는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호텔에서 세계 폐고혈압의 달을 맞아 폐, 미리(Family) 희망 캠페인 간담회를 열고 폐고혈압의 생존율 향상과 실질적 극복을 위한 다양한 과제와 정책 제언을 발표했다."72% 대 95%."72%에 그치고 있는 국내 폐동맥고혈압 환자의 5년 생존율을 개선하기 위해 정책적 제언이 제시됐다. 국내 환자의 예후는 선진국의 생존율 대비 상대적으로 떨어져 폐고혈압 전문센터 지정, 해외 표준 약제의 도입과 급여 적용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하다는 것.11일 폐고혈압학회는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호텔에서 세계 폐고혈압의 달을 맞아 '폐, 미리(Family) 희망 캠페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폐고혈압의 생존율 향상과 실질적 극복을 위한 다양한 과제와 정책 제언을 발표했다.희귀난치성 질환으로 분류되는 폐고혈압은 진단이 늦고 치료 접근성이 떨어질수록 예후가 급격히 나빠지지만, 한국의 현실은 여전히 제도적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국내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폐동맥고혈압(PAH) 환자 5년 생존율은 약 72% 안팎으로 수년간 급속히 지표가 개선됐지만 95%에 달하는 일본에 비하면 아직은 부족한 편.특히 진단까지 걸리는 시간이 평균 2년 이상으로 늦은 편이며,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호흡곤란이나 피로를 노화나 심부전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아 이같은 진단 지연이 사망률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정욱진 회장(가천대길병원 심장내과)은 "폐고혈압은 조기에 진단하고 전문적으로 치료하면 충분히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질환"이라며 "아직까지 인식 부족과 치료 접근성의 한계로 많은 환자들이 고통받고 있다"고 지적했다.정욱진 회장(가천대길병원 심장내과)그는 "일본의 경우 정부와 학계가 협력해 실제 환자의 생존율을 높였다"며 "주요 선진국 사례를 벤치마킹해 우리나라의 치료 환경의 한계를 직시하고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실제로 치료 접근성에선 격차가 드러난다. 선진국은 병용요법과 맞춤형 약제 조합을 적극적으로 권고하며, 고가 치료제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률도 80% 이상이지만 한국은 단독요법 위주의 제한적 급여 구조를 유지해 다제 병용요법을 적용하기 어렵고, 신약 등재에도 수년이 소요된다.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1995년부터 쓰인 에포프로스테놀도 30년째 국내 도입이 안 돼 있고, 2009년 미국 FDA가 폐동맥고혈압 치료제로 승인한 타다라필 역시 발기부전 치료제로 묶여 있다.정 회장은 "에포프로스테놀을 비롯해 타다라필, 흡입 프로프로스티닐의 도입이 필요하다"며 "최근 도입은 됐으나 보험급여가 안 되는 소타터셉트, 만성혈전색전증 치료제인 리오시구앗 등 5가지 약제의 신속한 도입 및 보험급여가 이뤄지지 않는 점이 선진국 수준의 치료를 막는 걸림돌"이라고 지목했다.그는 "국내에서 폐고혈압 극복을 위해서는 약제 등재와 전문질환군 인정 지연 문제, 전문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전문센터 설립, 전국단위 등록 및 정밀 연구 추진 등 다양한 과제 해결이 필요하다"며 "정부와 학계가 함께 실질적으로 나아갈 길을 반드시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의료 인프라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프랑스, 일본 등은 국가 차원의 '폐고혈압 전문센터 네트워크'를 구축해 조기 진단과 환자 등록, 임상연구를 연계하고 있지만, 한국은 아직 국가 단위 환자 등록 시스템이 부재하다.일부 대학병원 중심으로 폐고혈압 클리닉이 운영되고 있으나 지역 간 진료 격차가 크고, 전문 인력과 시설도 제한적이다.이에 김대희 총무이사(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는 폐고혈압 전문센터 지정의 중요성과 현황을 소개했다.그는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를 담당할 전문센터의 설립과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며 PHOENIKS, K-SPHIRE 사업을 통한 등록 연구 지원의 필요성과 성과가 소개됐다.학회는 한국인 폐고혈압 환자의 특이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장기 코호트 연구 플랫폼 PHOENIKS(PH platform for Deep Phenotyping in Korean Subjects)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2018년부터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원 심혈관질환과와 함께 폐고혈압 정밀의료를 위한 심층표현형 연구로 생체시료 수집을 포함한 장기 추적 관찰 연구로 기획된 PHOENIKS는 전국 26개 병원에서 현재까지 325명을 생체시료와 함께 등록시켰다.허란 홍보이사(한양대병원 심장내과)는 "폐고혈압은 자각 증상이 불분명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조기 인식을 위해 의료진 교육자료 개발은 물론, 일반인을 위한 질환 정보 영상 콘텐츠도 제작해 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확산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캠페인 이후 조기 진단을 통해 치료 성과가 개선된 환자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인식 개선이 생존율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정욱진 회장은 "폐고혈압은 더 이상 난치성 중증질환으로 방치돼서는 안 되며, 국민 건강을 위한 실질적 대응이 필요한 질환"이라며 "학회는 앞으로도 환자, 정부, 전문가가 함께 선진국 수준으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고 제안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11-12 05:30:00연구・저널

"천공지 피판 수가 신설, 성형외과 재건의학 역할 인정"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11일 대한성형외과학회가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간담회를 갖고 지난 9월부터 적용된 천공지 피판 수가 신설이 갖는 의미를 조명했다.고난도 미세재건술인 천공지 피판(perforator flap)에 대한 수가 가산이 이뤄지면서 대한성형외과학회가 재건의학의 제도적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평가했다.학회는 이를 계기로 재건술 영역으로의 수가 확장을 통해 미용수술과에 머물러 있는 그릇된 인식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11일 대한성형외과학회가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간담회를 갖고 지난 9월부터 적용된 천공지 피판 수가 신설이 갖는 의미를 조명했다.학회는 이번 개정을 단순한 수가 인상 이상의 성과로 평가하며, 성형외과가 미용 중심의 전문과라는 기존 인식을 넘어 '재건의학'이라는 필수의료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전환점이 됐다고 강조했다.홍종원 성형외과학회 홍보이사는 "천공지 피판은 동맥이 말단으로 가며 나뭇가지처럼 분지하는 미세 혈관을 이용해 조직을 재건하는 수술로, 해부학적 정밀성과 혈류역학에 대한 고도의 이해가 필요한 영역"이라며 "기존에는 보다 큰 혈관을 희생해 피판을 이동시켰지만, 천공지 피판술은 작은 혈관만으로도 충분한 혈류를 유지하면서 공여부의 기능과 조직을 보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홍종원 성형외과학회 홍보이사그는 "그만큼 수술 시간이 길고 술기의 난이도가 매우 높지만, 그동안 별도의 수가가 없어 10년 가까이 제도적 보상 없이 시행돼 왔다"며 "마치 여전히 구형 스마트폰 모델 가격을 지불하고 최신 스마트폰 성능을 누리는 셈이었다"고 비유했다.보건복지부는 2025년 8월 고시를 통해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를 일부 개정하고, 천공지 유리피판술 관련 항목을 신설했다.이에 따라 두경부암 절제 후 재건, 사지 외상, 유방 재건 등 고난이도 수술에서 성형외과 의사들이 시행하는 천공지 피판술은 기존 유리피판 수가 대비 약 30%의 가산을 받게 됐다.이번 개정은 단순히 비용 조정 차원을 넘어, 고난도 미세재건수술의 의학적 가치와 기술적 난이도를 인정한 제도적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것.홍 이사는 "30%의 가산이 천공지 피판술의 난이도나 술자의 노력을 온전히 반영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지만, 적어도 성형외과가 재건의학의 핵심 전문분야임을 제도적으로 확인받은 성과"라며 "이를 계기로 성형외과의 재건 역할이 국민들에게도 더 명확히 인식되길 바란다"고 말했다.그는 "성형외과는 단순히 외형을 다듬는 미용 분야가 아니라, 사고나 종양으로 손상된 인체를 복원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회복시키는 의학적 분야라는 점을 이번 수가 개정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이원재 성형외과학회 이사장 역시 "재건수술은 특정 진료과에만 속하는 영역은 아니지만, 성형외과는 미세수술(microsurgery)을 기반으로 재건수술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며 "이번 수가 신설은 성형외과가 미용과 구분되는 필수의료 분야로서 국가 의료체계 내 역할을 제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이원재 성형외과학회 이사장그는 "천공지 피판술은 환자에게 불필요한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공여부의 미용적·기능적 결과를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수술"이라며 "결과적으로 환자의 신체적 부담과 심리적 부담을 모두 줄이는 환자 중심 의료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이 이사장은 또 "성형외과의 전문성이 그간 미용 이미지에 가려져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돼 온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중증 외상, 암 절제 후 재건, 선천기형 교정 등에서 성형외과가 수행하는 역할은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의 범주에 있다"고 말했다.이번 수가 개정은 그간의 노력이 의료제도 안에서 공정하게 평가받기 시작했다는 신호라는 게 그의 판단.학회는 이번 제도 개선이 향후 미세혈관을 이용한 초정밀 수술, 이른바 '슈퍼 마이크로서저리(Super Microsurgery)' 영역까지 확장되길 기대하고 있다.홍 이사는 "성형외과에서 미세 혈관이나 신경을 봉합하는 초정밀 수술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천공지 피판 수가 신설은 이러한 고난도 기술이 의료제도 안에서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한 첫걸음으로, 향후 재건성형 분야 전반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그는 "재건성형은 눈에 띄지 않는 영역에서 환자의 삶을 다시 만들어주는, 말 그대로 보이지 않는 필수의료"라며 "이번 수가 신설이 의료계와 국민 모두에게 성형외과의 진정한 역할을 재인식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2025-11-11 15:09:13연구・저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