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통합돌봄서비스 정책이 요양병원들에게 또 다른 위기가 되고 있다. 일선 요양병원들은 "지금도 폐업이 잇따르고 있는데 앞으로 더 심각해질 것"이라는 우려를 쏟아내고 있다.
5일 병원계에 따르면 세계적 추세인 탈시설화에 맞춰 요양원과 요양병원 환자들을 가급적 집으로 돌려보내 재택케어를 받도록 하는 것이 정부의 기본 방향.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라고 불리는 이 정책은 살던 곳에서 노후를 보내고 임종을 맞겠다는 개념으로, 이미 몇 년 전 제정된 통합돌봄법을 통해 법적 근거까지 마련된 상태다.
문제는 이런 정책 변화 속에서 요양병원들이 설 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현재 통합돌봄서비스에서 요양병원은 재택진료 대상에서 제외됐다. 요양병원이 환자를 쉽게 입원시킬 수 있어 재택케어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우려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요양병원들의 위기감이 상당하다. "의사들보다 한의사들이 통합돌봄 영역에 더 많이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라며 "요양병원이 이 기회를 놓치는 순간 상당히 큰 손실을 볼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를 표했다.
대한요양병원협회 임선재 회장은 "실제 통계를 보면 통합돌봄을 실시할 경우 요양병원 입원 확률이 60% 감소하고 요양원 입원 확률도 70% 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고 전했다. 이미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는 지방 요양병원들에게는 더욱 치명적일 수 있는 수치다.
그렇다면 해법은 없을까. 임선재 회장은 "의료기능 강화가 핵심"이라며 거듭 강조했다.
가령 폐렴이나 패혈증 같은 급성기 치료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CRE, VRE 등 항생제 내성균 환자의 격리치료는 행위별 수가를 적용받아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다"고 말했다.
요양병원 내 재활 분야의 전문성 강화도 중요하다. 임 회장은 "일부 요양병원들이 이미 회복기 재활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며 전문성 강화를 당부했다.
그는 "중증 환자 케어에 집중해야 한다"며 "급성기 치료와 중증 환자 케어, 재활 등 전문 의료 영역에서 차별화를 통해 요양병원만의 고유한 역할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