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폴드, 여성 환자 대상 장기지속 효과 국제 학술지 게재
[메디칼타임즈=허성규 기자]한독이 국내 공급하고 있는 파브리병 경구용 치료제 갈라폴드 제품사진. 순응변이를 가진 파브리병 경구용 치료제 갈라폴드(성분: 미갈라스타트)의 여성 환자 대상 장기지속효과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Journal of Medical Genetics' 9월호에 게재됐다.갈라폴드는 세계 최초의 경구용 순응변이를 가진 파브리병 치료제로 아미커스가 개발했으며 한독이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한 파브리병 환자등록연구 결과에 따르면 약 1천여명의 환자 중 파브리병을 앓고 있는 여성들이 상당한 질병의 심각성과 부담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9.4%의 여성 환자에게 파브리병 증상이 나타났고 그 중 43%는 심각한 증상에 해당이 되었다. 심혈관 질환은 파브리병을 앓는 여성에게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으로 파브리병 여성환자의 심혈관 관련 사망은 전체 사망의 50~57%를 차지하며, 사망 연령은 평균 64~66세로 보고되었다.파브리병은 GLA 유전자 변이로 인해 α-갈락토시다제 A 효소가 결핍되거나 감소하는 진행성 X염색체 연관 리소좀 축적 질환이다. X염색체로 유전되는 희귀질환이기 때문에, 파브리병을 앓고 있는 여성 환자들은 이 질환의 '보인자'로만 알려지며 여성 환자들의 진단 지연과 증상에 대해 과소평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왔다.파브리병이 의심이 될 때 효소활성도 검사로 1차 스크리닝이 진행되는데 여성 파브리병 환자는 효소 활성도가 정상범위에 있는 경우가 많아 확진을 위해서는 유전자 검사가 필수이기 때문에 스크리닝으로 놓쳐지는 경우가 발생한다.이번 연구는 갈라폴드 임상 3상인 FACETS와 ATTRACT 및 각 연구의 OLE에 포함된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된 사후 분석이다. 여성 환자 대상 심장, 신장 기능 및 파브리병 관련 임상 사건(FACEs, Fabry Associated Clinical Events)에 대한 갈라폴드의 장기지속 효과를 확인했다.연구에 포함된 여성 환자는 총 60명이였으며 이들의 갈라폴드 복용 기간은 평균 5.1년, 최대 8.5년이었다. 베이스라인 연령 중앙값은 47세이였으며 환자 중 70%는 연구 등록 시점에 다장기 침범(2개 이상 장기 침범: 신장, 심장,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및 위장관)이 있었다.연구 결과, 갈라폴드로 치료를 받은 여성 환자의 신장 및 심장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 시점에 좌심실 비대와 eGFR 관계없이, 평균 eGFR 연간 변화율은 전체적으로 -1.1mL/min/1.73m2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한 성인 환자의 eGFR 연간 변화율인 -1mL/min/1.73m2과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좌심실 질량 지수의 연간 변화율은 1g/m2 이하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이와 더불어, 연구 등록 시점에 68.3%의 환자는 파브리병 관련 임상 사건 경험이 있었으나 갈라폴드 투약 기간 동안에는 87%의 환자에서 파브리병 관련 임상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 8명의 환자에서 10건의 파브리병 관련 임상사건이 발생했고 그 중 7건은 심장, 3건은 중추신경계였으며 신장 관련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다.한편 갈라폴드는 현재 미국, 영국, 호주, 일본, 유럽 등 45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2017년 품목허가를 받았다. 2019년 순응변이 파브리병 치료를 위해 보험급여를 적용 받았었고 올해 8월 파브리병 2차 치료제에서 1차 치료제로 급여가 확대되었다.치료 방식 측면에서, 효소대체요법은 2주에 한 번씩 병원 방문 및 정맥 투여가 필요하며, 갈라폴드는 경구 제형으로 환자가 이틀에 한알씩 자가 복용한다. 첫 6개월은 30일에 1번 처방, 이후부터는 60일에 1번 처방이므로 1년에 6번~9번만 병원 방문하면 된다. 병원 방문 횟수를 줄여 파브리병 환자의 투약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일상생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또, 효소대체요법은 정맥 주사를 통해 외부에서 알파-갈락토시다제 A 효소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반면에 갈라폴드는 효소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내인성 기전으로, 알파-갈락토시다제 A 효소를 안정화시켜 리소좀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며 작은 분자량과 넓은 체내 분포 특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