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 기능하는 적십자병원 의사 구인난으로 취약계층 의료공백이 반복되고 있다는 정치권 우려가 나온다. 특히 지방의 경우 높은 금액의 연봉을 제시해도 채용에 어려움이 커 공공의대 신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24일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국회의원실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적십자병원 6곳 중 4곳이 휴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과목에서의 전문의 퇴사 및 구인난, 의료취약지 파견 의사 진료 종료에 따른 조치다.

이를 휴진사유별로 살펴보면, '전문의 퇴사 및 구인난'으로 서울적십자병원 피부과는 올해 8월 1일부터 한 달간 진료를 보지 못했다.
지방의 상황은 더욱 열악했다. '전문의 퇴사 및 구인난'으로 상주적십자병원 외과는 올해 3월 31일부터 휴진에 들어가 7월 10일까지 진료를 보지 못했다. 3차례의 공고 끝에 연봉을 3억 2000~3000으로 조정한 끝에 채용이 이뤄졌다. 지난해 8월 21일부터 휴진에 들어갔던 이비인후과도 올해 7월 21일에서야 3차례 공고 끝에 휴진이 해소됐다.
또 '의료취약지 파견의사 진료 종료'에 따라 통영적십자병원 신경과는 올해 2월 14일부터 6월 21일까지 문을 닫았다. 거창적십자병원 정형외과는 올해 9월 1일부터 휴진 상태로 연봉 4억 2천을 제시했으나 아직 채용이 이뤄지지 않았다.
거창은 지난해에도 '공보의 소집해제 및 구인난'으로 영상의학과 의사를 무려 10차례 공고 끝에 5억 원의 연봉을 제시하고 간신히 채용했다. 어렵게 채용이 이뤄져도 퇴직률도 높다. 올해 8월 기준, 퇴직률은 거창(30%), 인천(25%), 상주(23.8%) 순이었다.
반면 지난해 적십자병원을 찾은 환자는 92만 3908명에 달했다. 입원 환자 18만 6362명, 외래 환자 73만 7546명이다.
박희승 의원은 "공공의료기관의 인력난이 반복되고 이로 인해 취약계층이 의료 사각지대에 놓이고 있다. 특히 지방의 경우 결원 발생 시 고액의 연봉을 제시해도 의사를 구하기가 어렵다"며 "지역거점 공공병원 등 공공의료 부문의 안정적 인력 공급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서 공공의대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