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외국인 환자와 그 동반자가 우리나라를 방문해 진료·쇼핑·숙박·여행 등 의료관광을 하며 지출한 금액이 총 7조 5039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실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외국인 의료관광 지출액은 ▲중국 2조 4442억 원 ▲일본 1조 4179억 원 ▲미국 7964억 원 ▲대만 5790억 원 ▲몽골 3055억 원 순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환자 수와 의료관광 지출액을 토대로 국가별 평균 지출액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이 약 937만 원, 미국인이 약 781만 원, 일본인이 약 321만 원 정도 지출한 것으로 추정됐다.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은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후 꾸준히 성장해 왔다. 2015년 29만 6889명이던 외국인 환자가 2024년 117만 467명으로 약 4배(294%) 증가했다. 의료관광이 단순한 진료 방문을 넘어, 소비·관광·숙박 등 지역경제 전반에 파급효과를 미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는 설명이다.
진료과별로는 피부과가 56.6%(70만 5044명)로 가장 많았고, 성형외과 11.4%(14만 1845명), 내과 통합 10%(12만 4085명) 순이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급 의료기관이 82%(95만 9827명)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미용·피부과 중심의 진료 수요가 외국인 의료관광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서미화 의원은 "외국인 환자들이 의료관광을 통해 국내경제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다. 의료관광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외국인을 향한 혐오 발언이나 인종차별적 집회는 국가 이미지와 의료한류 성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