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국내 성인의 보청기 착용이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보급률에 있어 정책 영향이 뚜렷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15년 정부가 보청기 지원을 확대 시행한 이후 중증 난청 환자에서 착용률이 폭발적으로 늘어, 착용률이 정책의 직접 영향권 아래 놓여 있음이 확인된 것.
반면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도·비지원 중증 난청군에서는 여전히 착용률이 낮아, 지원금 확대가 청각 재활의 가장 중요한 변수로 꼽히고 있다.
한양대병원 이비인후과 한상윤 교수 등이 진행한 한국 성인의 청력 손실 및 보청기 사용의 추세 변화 연구 결과가 대한의학회 저널 JKMS 11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doi.org/10.3346/jkms.2025.40.e289).
청력 손실은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관련 장애로 우울증, 사회적 고립, 신체 활동 감소, 영양 결핍뿐 아니라 인지 기능 저하까지 불러온다.
보청기 보급을 높이고 기능 장애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재정 지원 정책이 시행돼 1997년 한국은 약 200달러의 보조금을 도입한 이후 2005년에 300달러, 2015년에는 자격이 있는 사람에 한해 1,000달러로 추가 인상했다.
이번 연구는 2015년 정부가 보청기 급여 지원 정책을 확대 시행한 이후, 청력 손실 유병률과 보청기 사용 행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됐다.
기존 연구들은 국내 보청기 착용률이 선진국 대비 현저히 낮고, 고령층·저소득층에서 접근성 격차가 크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정책 변화 이후의 추세를 장기적으로 분석한 근거는 부족했다.
이에 연구진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데이터를 활용해 2010~2012년과 2020~2022년 두 시기의 청력 손실(HL) 및 보청기 착용 현황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대상은 40세 이상 성인으로, 2010~2012년 10,019명과 2020~2022년 9,994명이 포함됐다.
청력 손실은 순음청력평균(PTA)에 따라 네 단계로 분류했다. 경도(26–39dB HL), 비지원 중증(≥40dB HL이지만 재정지원 기준 미충족), 최저등급 장애(양측 각각 40dB 이상·80dB 이상), 지원 중증(≥60dB HL로 급여 대상)으로 나눠 보청기 착용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전체 보청기 착용률은 2010~2012년 2.12%에서 2020~2022년 4.73%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청력 손실 정도별 분석을 보면 ▲경도 0.30→0.64% ▲비지원 중증 4.23→9.42% ▲최저등급 장애 4.24→16.29% ▲지원 중증 23.06→53.52%으로 모든 단계에서 착용률이 유의하게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70대에서 착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지원 대상자군은 비지원군 대비 5~6배 높은 착용률을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도 조사 시기와 보청기 착용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됐다(aOR 3.70).
2015년 이후 시행된 보청기 급여제도 개편이 착용률 향상에 결정적 역할을 했지만 재정 지원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비지원 중증' 환자군에서는 착용률이 여전히 10% 미만에 머물러 정책 사각지대가 드러난 것.
이번 연구는 청력 손실 관리가 단순한 개인 재활의 문제가 아니라 공공보건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확인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대한이과학회 역시 해당 문제를 집중 거론한 바 있다.
이과학회는 "국민건강검진에 포함된 청각검사는 난청(40 dB 이상) 유무만 판단하고 보청기 구입 비용 지원은 청각장애인(60 dB 이상)만 해당해 괴리감이 존재한다"며 "40~60 dB인 노인 난청 환자는 적절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난청이 심화되고 인지기능 저하, 치매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지속된다"고 정책 확대를 주문했다.
경도 난청에서도 보청기 사용으로 인지기능 저하 예방 등 다양한 청각적 이득이 발생하고 인지기능 개선 및 사회관계 개선과 같은 비청각적 이득까지 제공하는 만큼 초고령사회에서 사회적비용 절감을 위해서 지원 확대와 같은 마중물이 필요하다는 것.
연구진은 "2015년 급여 확대 정책 이후 재정 지원 대상자의 보청기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됐다"며 "정책 변화가 단순한 추세적 상승이 아닌 구조적 변화를 이끈 결정적 요인"이라고 분석, 지원금 확대와 대상 기준 완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