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만 수술할 수 있다면, 누구를 선택하시겠습니까?"
드라마 태양의 후예에서는 지진 현장에서 마주한 의료인의 딜레마를 다룬 장면이 나온다. 무너진 건물 안에서 발견된 두 명의 환자 중 한 명은 젊은 남성, 다른 한 명은 고령 남성이다. 두 명 모두 위중한 상태이며, 서로를 위험에 빠뜨리는 구조물이 연결되어 있어 한 명을 살리기로 선택하면 다른 한 명은 죽게 된다.
드라마에서는 결국 고령 환자의 양보로 젊은 환자가 수술을 받는다. 의료인으로서, 이처럼 한 사람을 살리는 선택이 곧 다른 한 삶의 죽음을 의미하는 상황에서 과연 누구를 선택해야 하는가?
극단적인 드라마의 이야기일 뿐이라고 얘기할 수 있지만, 의료인이 마주하는 공정성의 딜레마는 계속 반복되고 있다. “환자는 네 번째 병원으로 이송 중 심정지를 일으켰습니다." 뉴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병원 뺑뺑이 사건은 더 이상 예외적인 비극이 아니다.
응급환자가 구급차를 타고 병원을 전전하지만, 병상은 없고 인력도 없다. 수술이 가능한 병원이 나타나기를 기다리다 결국 기회를 놓치고, 생명까지도 잃는다. 그럴 때마다 사람들은 묻는다. “도대체 왜 그 사람은 치료받지 못했을까?"
문제는 단지 병상이 부족하다는 사실만이 아니다. 의료 현장은 자원이 유한한 공간이며, 모든 환자를 동시에 살릴 수는 없다. 결국 누군가는 먼저 치료를 받고, 누군가는 다음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 이 선택은 단순히 순서의 문제가 아니라, 의학적, 윤리적, 현실적인 판단의 총체이다. 의료진은 응급도, 회복 가능성, 생존율, 병력 등을 고려해 환자의 우선순위를 판단한다.
이 기준은 의학적으로 정해 놓은, 환자들을 효율적으로 살리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이다. 그러나 그렇게 내려진 ‘합리적인 선택’은 때때로 감정적으로 불공정하게 느껴진다. 한 환자는 살아남고, 다른 환자는 병원 문턱조차 넘지 못한다면, 남겨진 사람들은 이해가 아니라 의문을 안게 된다.
공정이란 무엇일까, 단순히 모두에게 똑같은 대우를 하는 것일까? 병원에서는 그 정의가 훨씬 더 복잡하다. 공정은 모든 사람을 동일하게 대우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상황과 가능성에 따라 다르게 접근하는 것에 더 가깝다. 그래서 의료 현장의 공정은 종종 형식적으로는 타당해도, 정서적으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결과를 낳는다.
나는 의대생이므로 아직 직접 그런 결정을 내리는 자리에 서 본 적은 없다. 하지만 병원에서, 뉴스에서 수많은 환자들의 삶과 죽음을 지켜보는 동안 공정한 선택이란 말이 얼마나 무거운 책임을 동반하는지를 점점 실감하고 있다. 누군가의 생명을 먼저 살리기 위해 또 다른 누군가를 포기해야 할 수도 있다는 사실, 그 판단의 무게는 의학적 지식만으로 감당할 수 없다.
공정성은 정답이 아니라, 불완전한 상황 속에서 가능한 최선의 태도이다. 모든 생명을 살릴 수 없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는 공정은 완벽할 수는 없지만 반드시 고민되어야 한다. 그러나 마음만으로는 남겨진 이들의 슬픔과 의문을 모두 덜어줄 수 없다. 의료인은 생명을 살리는 사람인 동시에, 살리지 못한 생명과 그 가족에게도 마주 서야 하는 사람이다.
그 순간 의료인은 선택의 과정을 솔직히 밝히고, 왜 그런 판단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숨김없이 설명해야 한다. 그저 규칙이 그렇다고 말하는 대신, 환자의 상태와 가능성을 어떻게 평가했는지, 그 판단의 근거가 무엇이었는지를 알려주어야 한다.
어느 누구도 설명 없이 배제되지 않도록, 누구도 이유 없이 소외되지 않도록 공정한 기준과 투명한 설명이 함께 작동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시스템 안에서 의료인은 결국 선택의 책임을 감당해야 하는 사람이 된다. 그 판단이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겠지만, 적어도 최선을 다해 판단했고, 그 누구도 가볍게 넘기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고, 공정한 선택이었다는 회피보다는 남겨진 사람들의 마음에 깊이 공감하며 진심을 다한 충분한 설명과 위로를 전해줄 수 있는 의료인이 되고 싶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