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회장 황성희 한림의대, 이사장 김경문 성균관의대)가 초급성기 뇌경색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의 국내 조속한 도입을 촉구하고 나섰다.
학회는 7일 "정맥내혈전용해술을 받는 뇌경색 환자들의 예후 향상을 위해, 작용시간이 길고 출혈 부작용이 낮은 테넥테플라제의 국내 사용 허가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테넥테플라제는 기존 혈전용해제인 알테플라제(tPA)의 개량형 약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2000년 심근경색 치료제로 승인받았고, 국내에서도 2003년부터 심근경색 환자 치료에 쓰여왔다.
반감기가 길고 단회 주사만으로 치료가 가능해 뇌경색 치료에도 강점을 보인다.
특히 학회는 2010년 이후 약 20여 건의 임상연구에서 테넥테플라제가 기존 tPA와 유사한 치료 효과를 보이면서도, 출혈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90일째 환자의 좋은 예후 비율은 테넥테플라제가 40%, tPA가 37%로 비슷했고, 사망률도 각각 14%, 15%로 큰 차이가 없었다"며 "반면 모든 형태의 뇌출혈 발생률은 테넥테플라제가 16%, tPA는 22%로 테넥테플라제가 우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투약 방식의 간편함도 장점으로 꼽힌다. tPA는 1시간 이상 주입이 필요한 반면, 테넥테플라제는 5~10초 이내 단회 투여만으로 효과가 나타나 신속한 치료가 가능하다. 학회는 "이러한 간소화된 투약 방식은 환자 이송 중이나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임상적 이점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정맥내혈전용해술은 증상 발생 4.5시간 이내 병원에 도착한 급성 뇌경색 환자에게 시행되는 중요한 치료로, 전체 뇌경색 환자의 약 10%가 이를 받고 있다.
김경문 이사장은 "연간 발생하는 뇌졸중 환자가 약 1115만명이고, 그중 80%가 뇌경색 환자임을 감안하면, 매년 8천 1만여 명이 정맥내혈전용해술을 받고 있다"며 "테넥테플라제가 임상 현장에 도입되면 환자 치료 접근성과 예후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테넥테플라제는 유럽, 미국, 호주, 태국,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급성 뇌경색 치료제로 승인됐고, 진료지침에도 포함된 상태. 국내에서도 지난 2024년 8월 식약처에 허가 신청이 들어가 심사 중이지만, 실제 임상에서 사용 가능한 시점은 아직 불투명하다.
교신저자인 배희준 교수(서울의대 신경과)는 최근 발표된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논문에서 "테넥테플라제는 기존 치료제보다 임상적 이점이 뚜렷한 약물"이라며 "적응증과 임상 근거가 명확한 만큼, 조속한 승인과 투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경문 이사장(성균관의대 신경과)은 "연간 약 8천~1만여명의 환자들이 정맥내혈전용해술을 받는 실정을 고려하면 테넥테플라제의 임상 적용 시 뇌경색 환자 초급성기 치료 및 빠른 이송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미 미국, 유럽과 아시아 주요 국가에서도 빠르게 tPA를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빠른 시일 내 테넥테플라제의 임상 적용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