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개원가

3년째 제자리걸음 모성사망 "분만 안전망 구축 시급"

발행날짜: 2016-05-11 05:00:26

산부인과의사회, 통계청 자료 분석 "10명 수준으로 줄여야"

해마다 출산을 하다가 사망하는 여성은 약 50명 수준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정부는 분만 취약지를 없애겠다며 예산을 투자하고 있지만 현실은 고위험 산모들이 병원을 전전하다 사망에 이르고 있다는 게 산부인과 의사들의 생각이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는 통계청의 영아 사망, 모성사망 출생후기 사망 통계 자료로 2012~2014년 모성사망률을 분석했다.

2012~14년 모성사망자 수, 모성사망비, 모성사망률, 생애모성사망위험 및 출생아 수
그 결과를 보면 3년 동안 아이를 낳다가 사망한 여성은 48~50명이었다. 최신 수치인 2014년 결과만 놓고 봤을 때 모성 사망자 수는 48명. 이 중 아이가 살아있는 경우는 31명이었다.

2014년 모성사망비는 출생아 10만명당 11명으로 2012년 9.9명보다 증가했다. 이는 2011년 17.2명보다는 줄어든 수치이지만 OECD 평균 7명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치다.

연령별 모성사망비(출생아 10만명당)를 보면 고령산모의 위험성이 월등하게 높았다. 25세 미만이 3.9명으로 가장 낮고 40세 이상이면 32명으로 8배 높았다. 25~34세는 25세 이하보다 모성사망비가 2배 더 높았다.

연령별 모성사망자 수, 모성사망비 및 구성비(2012~14년 평균)
모성사망 원인을 보면 81%가 산과적 색전증, 분만 후 출혈 등 직접 산과적 사망이었다. 감염증은 더 이상 사망 원인이 아니었다.

산부인과의사회 고창원 대외협력이사는 "국가 전체의 안전한 출산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산모 사망의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며 "취약지에 병원이 부족한지, 환자 후송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지, 산모 안전망은 있는지 종합적인 평가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분만 안전망 구축 방안
산부인과의사회는 정부가 분만 취약지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분만 안전망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고 이사는 "산모가 전원을 다니다가 사망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만 취약지를 지원하는 것과 동시에 권역별 분만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분만 취약지에 있는 산모가 119로 전화하면 최고 난이도의 고위험 산모 여부를 판단해 신생아 치료시설이나 권역 집중 치료센터로 바로 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라며 "문제가 없고 가까운 곳에서 분만하고 싶으면 주변의 분만 산부인과를 안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 "고위험 임산부 진료에는 시스템과 함께 경험있는 의사도 중요하다"며 "응급하면 즉시 처치하고 후송이 필요하면 적합한 곳으로 보낼 수 있는 의사가 배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