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국내사

부광약품 "헵세라 복제약도 팝니다"

이석준
발행날짜: 2013-11-22 06:31:02

대한간학회 추계학회 때 자사 신약 레보비르와 같이 부스 홍보

21일 대한간학회 추계학회 부스장 현장.

기자의 눈에 들어온 것은 B형간염치료제 대세 BMS '바라크루드(엔테카비어)' 부스도, 길리어드 '비리어드(테노포비어)' 부스도 아니었다.

바로 부광약품 부스였다.

자체 개발 신약 '레보비르(클레부딘)'는 그렇다 치더라도 '헵세라(아데포비어)' 복제약을 동시에 홍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보통 신약 개발사는 같은 치료군의 타사 신약에 대해 제네릭을 만들지 않는다.

설령 만들었다해도 조용히 영업한다. 일종의 신약 개발사 자존심인 셈이다.

현장에서 만난 다국적 A사 임원도 "부광약품이 자사 신약과 타사 신약 복제약을 동시에 홍보하고 있어 다소 신기했다"고 귀띔했다.

물론 부광약품의 사정은 이해가 간다.

지난 2007년 출시 당시 의료진에게 꽤나 인기 좋았던 '레보비르'가 '근육병종'이라는 부작용에 발목을 잡혀 지금은 시장에서 점점 잊혀져가는 약물이 됐기 때문이다.

실제 부산의대 소화기내과 허정 교수도 "레보비르는 높은 potency, 낮은 내성발생율 등이 장점이지만 아쉽게도 장기간 임상 자료 부족, 근육병종 발생 가능성 등의 이유로 현장에서는 크게 쓰이지 않는 약물"이라고 설명했다.

현장 관계자들도 부광약품 부스에 대해 이런 저런 견해를 보였다.

국내 B사 임원은 "아무래도 한 번 크게 발을 들인 시장에 대한 미련으로 봐야하지 않겠느냐"고 안타까워했다.

다국적 C사 관계자는 "신약 개발사가 설령 타사 신약 복제약을 만든다하더라도 대부분은 자존심상 조용히 영업하는게 추세이다. 그런데 이번 간학회는 예외가 됐다"고 바라봤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