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개원가

병의원, 저수가에 치이고 빚더미에 깔려 신음

박진규
발행날짜: 2011-03-18 06:48:12

'정글의 법칙'만 존재…"경영을 알아야 리스크 줄인다"

|기획=경영난 돌파구를 찾아라|

병의원들이 갈수록 심각한 경영난에 빠져들고 있다. 이 때문에 전문과목 경계는 무너진지 오래고 무한경쟁이 불붙고 있다. 여기에 대형병원으로 환자 쏠림 현상까지 겹치며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 건강보험재정안정에 방점을 두고 수가 현실화에는 무관심하다. 이에 자구책으로 경영을 알아야 한다는 바람이 불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컨설팅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병의원들이 처한 현실과 이를 타개하기 위한 노력들을 2회에 걸쳐 짚어본다.

<상>의료기관 대출금 7조5000억원 시대
<하>경영난을 딛고 일어선 사람들
2005년 은행에서 3억원을 대출받아 서울 외곽에 내과의원을 개업한 B씨. 하지만 지금은 빚을 갚기 위해 전라도의 소도시에서 페이닥터로 일하고 있다.

개업만 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충만했지만, 막상 문을 열고 보니 그게 아니었다.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엔화대출 까지 받았지만 적자가 계속되면서 2년만에 병원 문을 닫고 말았다.

"개원 2년동안 남은 건 빚밖에 없다. 우선 빚을 갚는게 급하다"고 그는 말했다.

B씨의 사연은 요즘 개원가에서는 충격적인 일이 아니다.

2010년 요양기관 개폐업 현황
서울에서 성형외과를 운영하고 있는 L원장은 "주위에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폐업한 이들이 많다"고 말했다.

2009년 의사협회가 회원 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4명 꼴로 빚을 지고 있다.

평균 부채액은 3억8000만원.

실제 2009년 현재 의료기관 대출금 총액은 7조5000억이며, 매년 8000억원을 이자로 내야 한다.

L원장은 "개원을 전제로 은행권에서 최고 3억을 빌릴 수 있는데, 브로커를 끼면 5억원은 만들 수 있다. 성형외과나 피부과는 7억~8억원까지 확보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그들 중 상당수는 빚을 안고 망한다"고 말했다.

급증하는 의사 인력과 정부의 저수가 정책이 겹치면서 개업가는 '정글의 법칙'만 존재하는 살벌한 생존경쟁의 장으로 변했다.

2010년 한해 폐업한 의원은 1559개. 이를 전체 의원수로 나누면 5.7%나 된다.

중소병원은 사정이 더 심각하다. 폐업률이 연평균 8%에 육박하고 있다. 조만간 자영업자 폐업률(10.4%)을 앞지를 태세다.

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임금자 박사는 "병의원은 일반 자영업자와 다르다.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직의 폐업률이 이 정도 수치라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라고 진단했다.

문제는 의과대학 정원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건강보험 수가가 현실화되지 않는 이상 이런 상황이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형병원으로 환자 쏠림 현상도 경영난에 부채질을 하고 있다.

지역의사회 한 관계자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임대료 내고 직원들 월급 주기도 빠듯한 수입을 올리는 회원이 상당수"라고 말했다.

이처럼 개원가가 심각한 경영난에 봉착하면서 이제는 개원의들도 경영을 알야야 한다는 바람이 불고 있다. 개원의협의회나 학회 학술대회에서 경영 관련 강좌는 필수인 시대가 됐다. 또한 경영 관련 강의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

임금자 박사는 "의원은 비록 규모는 작지만 1인 기업이나 마찬가지다. 따라서 재무관리, 인사관리, 생산관리, 마케팅 기법을 모르면 경쟁에서 뒤쳐질 수 밖에 없다"며 "경영을 알아야 개업에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