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학술
  • 연구・저널

위산 역류, 대장에도 문제 유발…'GERD-용종' 연관성

발행날짜: 2025-07-18 12:01:31

노인 대상 코호트…항산제 사용 시 미생물 장벽 붕괴 가능성
용종 위험, 암보다 더 뚜렷…대장 용종 발생 위험 최대 4배

바렛식도, 미란성 식도염 등 역류성 식도질환(GERD)의 아형이 대장 선종, 특히 대장 용종 발생 위험을 유의미하게 높인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GERD 자체보다 장기적인 산 분비 억제 치료가 대장의 미생물 환경을 변화시켜 선종 발생을 유도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미국 포틀랜드 VA 메디컬센터 암논 소넨버그 등 연구진이 진행한 GERD와 대장 종양 위험의 연관성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소화약리·치료학에 16일 게재됐다(doi.org/10.1111/apt.70268).

GERD는 식도 하부 괄약근의 기능 저하가 핵심 원인으로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 점막을 자극해 증상이나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연구진은 GERD 환자들은 대부분 장기적인 산 분비 억제제 치료를 받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약제가 위의 산성 환경을 약화시키고 미생물 장벽을 무너뜨려 구강-인두계 세균이 대장까지 침입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과정이 대장 신생물 발생의 주요 경로가 될 수 있다는 기존 가설에 주목한 것.

연구진은 65세 이상 메디케어 수진자 646만 2321명의 데이터 중 미란성 식도염(7만 4938명), 비미란성 역류질환(196만 409명), 바렛식도(5만 1099명), 호산구성 식도염(834명)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GERD가 없는 일반 군과 비교해 대장 용종과 대장암의 위험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GERD가 없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미란성 식도염, 바렛식도, 비미란성 역류질환 환자군은 모두 대장 용종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조정된 교차비(aOR)는 1.70에서 3.96까지 다양했으며, 특히 바렛식도 환자에서 가장 높은 위험도가 관찰됐다.

대장암과의 연관성도 존재했지만 용종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aOR은 1.05에서 1.24 수준에 그쳤다.

한편 호산구성 식도염은 대장 용종과는 유의한 관련성(aOR 3.52)을 보였으나 대장암 발생과는 관련이 없었다.

연구진은 "GERD 아형과 대장 선종 간의 상관성은 장기적인 산 억제제 사용이 위장관 미생물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대장 신생물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생물학적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결론내렸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