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개원가

약사회-의료계, 사후피임약 일반약 전환 갑론을박

발행날짜: 2012-06-11 13:06:56

"낙태율 감소 일조한다" VS "외국 사례 살펴보라"

식약청의 사후피임약의 일반약 전환 방침을 둘러싸고 의료계와 약사회가 갑론을박을 벌였다.

약사회는 사후피임약의 일반약 전환이 약의 접근성을 높여 낙태율 저하에 일조한다는 입장인 반면 의료계는 일반약 전환과 낙태율은 상관관계가 없다고 맞섰다.

김동근 대한약사회 홍보이사
11일 연합뉴스TV는 사후피임약 일반약 전환 논란에 대해 약사회 김동근 홍보이사와 최안나 '진정으로 산부인과를 걱정하는 의사들의 모임' 대변인의 의견을 청취했다.

먼저 약사회 김동근 홍보이사는 "어떤 약이든 부작용 없는 약은 없다"며 "다만 사후피임약은 부작용이 미미하고, 나타나더라도 48시간 안에 소멸한다"며 일반약 전환이 타당하고 밝혔다.

그는 "1회 복용으로는 부작용이 거의 없다"며 "사후 피임약 구매가 쉬워지면 사전 피임에 소흘해 질 우려가 있다고 하는데 국민들이 지금도 사전, 사후 피임약을 잘 구분해서 쓰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청소년의 경우도 연령제한 등 제도적으로 보완하고 계도하면 큰 걱정 안해도 될 것"이라며 "사후 피임약이 실제적인 낙태약이라고 보는 관점도 확대해석이다"고 꼬집었다.

반면 의료계는 사후피임약의 일반약 전환이 낙태율과 아무런 상관 관계가 없다고 맞섰다.

최안나 대변인(진정으로 산부인과를 걱정하는 의사들 모임)
최안나 대변인은 "사후 피임약을 더 쉽게 많이 구매하는 것이 과연 여성들에게 득이 될까 우려된다"고 말문을 열었다.

최 원장은 "우리나라의 사전 피임률은 전 세계 꼴찌다"며 "사전 피임약에 비해 사후 피임약은 실패율이 높은데도 접근성만 높이면 원치않는 임신과 낙태만 더 늘어난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부작용이 없고 낙태를 줄일 수 있다면 약국이 아니라 슈퍼에서도 팔아야 한다"면서 "하지만 외국에서도 일반약 전환 후 결국 낙태가 줄지 않고 무분별한 성교, 성병 확산, 일부에서는 낙태가 오히려 늘었다는 사례도 보고 되고 있다"고 환기시켰다.

2000년도 초반에 노르웨이에서도 사후피임약을 일반약으로 전환했지만 기대와 달리 30% 판매량만 늘었을 뿐 낙태율이 줄지 않았다는 것.

최 원장은 "미국, 영국도 마찬가지로 약을 많이 먹어 낙태가 줄었다는 말이 없다"며 "접근성 높아지면 상용하는 젊은 층이 늘어날 수 있고 부작용 문제도 더 커진다"고 꼬집었다.

최 원장은 "청소년 나이제한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사전 피임을 잘 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