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만 바라보는 현실에 공공의대 답일까
[메디칼타임즈=임수민 기자]이재명 정부가 공공의대 설립을 본격화하며 필수의료 인력 확충을 약속했지만, 현장의 분위기는 냉담하다.윤석열 정부 시절 의대 증원과 의료개혁을 둘러싼 갈등으로 정부와 의료계 사이의 불신은 극에 달했고, 필수의료 현장은 오히려 인력 유출로 더 큰 공백을 겪고 있다.이런 상황에서 단순히 '공공의대'라는 간판 하나로 현장의 의사들이 돌아오고, 신규 인력이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윤석열 정부 시절의 의료개혁 논의는 협치보다는 충돌로 귀결됐다.필수의료 지원책은 실효성을 담보하지 못했고, 응급·외상·산모·소아과 분야의 의사들은 '소모품' 취급당한다는 인식 속에 현장을 떠났다.이재명 정부가 제시하는 공공의대 역시 의료계에서는 '숫자 채우기용 보여주기 정책'에 불과하다는 냉소가 나온다.특히 현장의 문제는 단순한 인력 수 부족이 아니라 열악한 근무환경, 과도한 책임 부담, 법적 리스크라는 구조적 요인에 있다는 점에서 공공의대가 이를 해소하지 못한다면 '양질의 의사' 유입은 기대하기 어렵다.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준비 시절 부산 유세 현장에서 피습을 당했을 때, 응급치료를 부산 의료기관이 아닌 서울대병원에서 받았다는 사실은 의료계에서도 회자되는 사례다.여러 이유가 있었겠지만, 중증 의료를 위해 지방이 아닌 서울을 택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이런 현실에서 지방에 설립될 공공의대가 배출한 의사가 지역 병원에 남더라도, 국민의 선택을 끌어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환자들이 '공공의대 출신 의사'라는 꼬리표에 불안감을 느낀다면, 인력 배치만으로는 지역 필수의료 정상화가 이뤄지기 어렵다.필수의료 개선 없이 단순히 의사 수를 늘리는 방식은, 현장 이탈을 막지 못할뿐더러 신규 인력의 사명감마저 갉아먹을 위험이 있다.게다가 공공의대 졸업생을 특정 지역에 강제로 배치하는 방식은 의사들에게 또 다른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 결국 '정부가 문제를 현장에 전가한다'는 반발만 키우고, 필수의료 공백은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공공의대 설립은 필수의료 인력 확충의 한 가지 도구가 될 수 있지만, 그 자체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정부가 지속적으로 얘기하는 수가 정상화 및 사법 리스크 완화 등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결국 필수의료 위기의 본질은 인력 부족이 아니라, 사람을 떠나게 만든 환경에 있다는 점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