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학술
  • 학술대회

"중환자실 전담의 8천원 가산, 어처구니 없다"

안창욱
발행날짜: 2010-04-23 10:26:49

중환자의학회 실태조사…"전담전문의 상근 의무화 시급"

성인 중환자실 전담의사에 대한 가산료가 터무니 없이 낮을 뿐만 아니라 전담전문의를 의무적으로 근무하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고윤석 회장
전남의대 곽상현(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23일 대한중환자의학회(회장 고윤석)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중환자실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중환자실 실태조사는 지난해 4분기 전국 중환자의학세부전문의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했으며, 이중 86개 병원의 220개 중환자실이 설문조사에 응했다.

중환자실 근무인원을 분석한 결과 하루 8시간 이상 상근의사(인턴 포함)를 둔 곳은 전체의 70%에 불과했다.

220개 중환자실 중 전문의가 근무하는 곳은 37개로 17%에 그쳤다.

특히 성인중환자실에 전문의를 둔 병원 9개 중 70%가 서울에 집중해 있어 지역간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간호인력의 경우 간호사 1명당 2명 이상의 중환자를 보는 병원이 50% 이상이었지만 4명 이상인 곳도 15개나 됐다.

곽상현 교수는 "중환자실은 원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가가 가장 큰 문제"라면서 "등급간 수가 차이도 부적절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곽 교수는 전담의사에 대한 수가 가산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중환자실에 전담의가 근무하면 8461원이 가산되는데 의사 1명이 24시간 동안 10베드를 전담하더라도 하루에 8만 4천여원 밖에 보상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는 "어처구니 없는 수가"라고 꼬집었다.

곽상현 교수는 중환자실 인력 규정에 대해서도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곽 교수는 "신생아중환자실은 전담전문의를 1인 이상 두도록 의무화하고 있는 반면 성인중환자실은 '전담전문의를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면서 "성인중환자실 역시 전담전문의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환자실 진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담의사 자격을 강화하고, 누적적자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