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의약품 관세를 최대 250%까지 대폭 인상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국내 의약품 및 의료기기 수출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2025년 상반기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6일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2% 증가한 137.9억 달러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분야별로는 화장품 55.1억 달러(+14.9%), 의약품 53.8억 달러(+20.5%), 의료기기 29.1억 달러(△0.6%)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바이오의약품, 기초화장품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의약품과 화장품 분야에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반면, 임플란트 등 치과용품 수출 감소로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의약품 수출은 '바이오의약품'과 '백신류' 수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0.5% 증가한 53.8억 달러를 기록했다.
바이오의약품(전체 의약품 수출의 약 63.4% 차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4% 증가한 34.1억 달러로 반기 최대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미국(9.8억 달러, +41.4%), 헝가리(5.2억 달러, +26.8%), 독일(4.7억 달러, +66.7%), 스위스(4.6억 달러, +76.9%), 네덜란드(2.5억 달러, +719.8%)에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백신류(1.7억 달러, +53.3%) 수출은 수단(0.2억 달러, 397.3%), 남수단(’24.上 0달러 → ’25.上 0.1억 달러), 콩고(’24.上 0달러 → ’25.上 0.1억 달러)에서 대폭 규모가 커졌다.
의료기기 분야는 '초음파 영상진단기' 및 '전기식 의료기기' 수출은 증가했으나, '임플란트' 수출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한 29.1억 달러를 기록했다.
초음파 영상진단기(전체 의료기기 수출의 약 15.1% 차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2% 증가한 4.4억 달러 실적을 기록했다. 반기 최대실적이다.
미국(1.0억 달러, +9.8%), 중국(0.4억 달러, +22.9%), 인도(0.3억 달러, +29.2%)에서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고, 아랍에미리트(0.3억 달러, +814.1%) 수출 또한 큰 폭으로 늘었다.
전기식 의료기기(3.0억 달러, +11.8%) 수출은 미국(0.4억 달러, +37.0%), 태국(0.2억 달러, +79.9%)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다.
반면, 임플란트(3.8억 달러, △21.7%) 수출은 중국(1.3억 달러, △30.1%), 미국(0.2억 달러, △41.6%), 네덜란드(0.1억 달러, △69.9%)에서 크게 감소했다.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5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화장품과 의약품 분야에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산업 전반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하반기에도 바이오의약품과 기초화장품 등 주력 품목의 글로벌 수요 확대에 힘입어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미국으로 수입되는 의약품에 최대 250%의 관세를 물릴 수 있다고 밝혀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미국 방송을 통해 "앞으로 1년에서 1년 반 내에 의약품 관세 비율을 150%, 250%로 단계적 인상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병관 단장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만큼,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신중하고 전략적인 대응에 나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