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정책
  • 제도・법률

관상동맥 압력측정술에 쓰는 압력철선 삭감 주의

발행날짜: 2013-11-28 01:07:24

심평원 "QCA 측정 결과 50~70%일 때 급여 인정"

관상동맥 압력측정술(Fractional Flow Reserve, FFR)에서 압력철선을 쓸 때 정량관상동맥조영술(QCA) 수치를 철저히 체크해야 삭감을 피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관상동맥 압력측정술에서 사용하는 압력철선 보험급여 적용기준과 관련 심사사례를 27일 공개했다.

FFR에서 사용하는 압력철선의 인정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2013-69호, 2013.5.1. 시행)
압력철선은 2.5mm 이상의 혈관에서 QCA 측정 결과가 50~70%의 중등도(intermediate) 협착이 있을 때,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 때만 급여가 인정된다.

즉, 70%가 넘거나 50%가 안되는 협착에서 압력철선을 쓰면 심사조정이 일어난다는 것.

실제로 A병원은 79세의 불안정 협심증 환자에게 압력철선을 이용해서 PCI를 실시했지만 압력철선 비용을 삭감당했다.

진료기록부 및 동영상을 확인한 결과 mLAD부위에 80% 협착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기준에서 벗어난 수치다.

B병원 역시 협심증이 있는 69세 환자에게 PCI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FFR을 실시했고 이 과정에서 압력철선을 썼다가 삭감당했다.

진료기록부 및 동영상 등을 확인했더니 LAD stenosis 50% 미만이었기 때문이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