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외자사

자작나무 껍질 물질, 비만 억제 효과 있어

윤현세
발행날짜: 2011-01-05 10:15:13

동물 실험 결과, 당뇨병 및 심장질환도 예방해

자작나무 껍질에서 발견된 물질이 비만, 심장질환 및 당뇨병의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Cell Metabolism지에 실렸다.

베툴린(betulin)이라는 물질은 혈액내 위험한 지방의 생성과 연관된 유전자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 생물과학 연구소의 바오-리앙 송 박사는 베툴린이 동물 실험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음식에 의해 유발되는 비만을 막으며 인슐린 감도를 높여 당뇨병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실험실 세포 연구에서 베툴린은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REBP)에 의해 활성화되는 유전자의 활동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SREBP는 콜레스테롤, 지방산, 혈중 지질과 연관된 유전자 활성을 돕는 단백질이다.

고지방 식이를 먹은 동물에게 베툴린을 투여시 로바스타틴(lovastatin)과 비슷한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로바스타틴은 지방 물질의 흡수를 억제하는 대신 베툴린은 칼로리를 더 많이 연소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툴린은 혈액, 간 및 지방 조직에서 지방의 양을 줄여 인슐린 감도를 높였으며 심장 질환이 발생하도록 조작된 쥐에서도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 SREBP을 저해하는 것이 타입2 당뇨병 치료 및 동맥경화증 치료에 유용한 전략이 될 것임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