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대학병원

지방 국립대병원 패닉…전북대·경북대병원 10계단씩 추락

발행날짜: 2025-11-27 05:30:00 업데이트: 2025-11-27 06:49:32

[기획-하] 의정사태, 상급종병 순위지도 어떻게 바뀌었나
강남세브란스 10위권 탈락 후 11위 고착…길병원도 하락

2024년 의정사태는 상급종합병원 순위판도를 뒤흔들었다. 메디칼타임즈가 국회를 통해 입수한 최근 4년간 '상급종합병원 요양급여(비급여, 부대수입 제외) 청구액 현황'을 분석한 결과 10위권 내에서도 순위 변동이 잦았고, 11~20위권에서는 대규모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특히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국립대병원들이 줄줄이 순위가 하락한 반면, 위기 대응에 성공한 일부 병원들은 순위 상승의 기회로 삼았다.

강남세브란스, 2022년 이후 10위권 복귀 못해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강남세브란스병원의 10위권 이탈이다. 2022년까지 10위(4094억원)를 지키던 강남세브란스병원은 2023년 11위(4308억원)로 밀려난 데 이어, 2024년에도 11위(3871억원)에 머물렀다. 2024년에는 전년 대비 436억원(-10.1%)이 줄어들며 10위권 복귀가 더욱 어려워졌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의 10위권 이탈 자리를 꿰찬 것은 고대안암병원이다. 2022년 11위였던 고대안암병원은 2023년 9위로 껑충 뛰어올랐고, 2024년에는 8위까지 올랐다. 의정사태 속에서도 +2.5% 성장하며 순위를 끌어올린 것이다.

병원계 한 관계자는 "강남세브란스병원 이외에도 다수의 대학병원이 타격을 받았다. 순위권에서 밀린 것은 고대의료원 산하 두 병원의 약진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의정사태 전후 상급종합병원 진료비 순위권 변화

8~10위 경쟁 치열...고대안암 약진, 길병원 내려와

8~10위권은 고대안암병원, 고대구로병원, 길병원이 다투고 있다. 2023년에는 길병원(8위), 고대안암병원(9위), 고대구로병원(10위) 순이었으나, 2024년에는 고대안암병원(8위), 고대구로병원(9위), 길병원(10위)로 재편됐다.

고대안암병원은 2023년 4430억원에서 2024년 4542억원으로 늘며 한 계단 올랐다. 고대구로병원도 4418억원에서 4482억원으로 증가하며 순위를 지켰다. 반면 길병원은 4476억원에서 4274억원으로 202억원(-4.5%) 감소하며 두 계단 밀렸다.

길병원 관계자는 "의정사태 이후 전공의뿐만 아니라 교수 이탈까지 이어지면서 타격이 상당했다"며 "2025년에는 중증 환자 유치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병원계에선 의정사태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경영 노하우를 발휘한 고대의료원 산하 두 병원은 2025년도에도 10위권 이내 머물면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분당서울대병원과 아주대병원은 의정사태에도 순위권을 유지했다.

6~7위 '철옹성'...분당서울대·아주대 순위 사수

6~7위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분당서울대병원과 아주대병원이 지켰다. 의정사태라는 초유의 사태 속에서도 두 병원은 순위를 한 계단도 양보하지 않았다.

분당서울대병원은 2022년 7716억원, 2023년 8188억원, 2024년 6914억원으로 6위를 유지했다. 다만 2024년에는 1274억원(-15.6%)이 감소하며 큰 타격을 받았다. 빅5를 제외하고는 가장 큰 감소폭이다.

분당서울대병원 관계자는 "서울대병원 본원의 전공의 이탈이 분당에도 영향을 미쳤다"며 "특히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하는 만큼 응급의료 공백이 컸다"고 설명했다. 다만 2025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있다.

아주대병원은 2022년 5309억원, 2023년 5826억원, 2024년 5409억원으로 7위를 지켰다. 2024년에는 417억원(-7.2%) 감소했지만, 분당서울대병원보다는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아주대병원 관계자는 "그동안 지역 내 탄탄한 입지를 다져둔 것이 주효했다"면서도 "PA 간호인력을 조기에 확충한 것도 도움이 됐다"고 귀띔했다.

주목할 점은 6위와 7위 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2022년 2407억원이었던 격차가 2023년 2362억원으로 소폭 줄었다가, 2024년에는 1505억원으로 대폭 축소됐다.

울산대병원은 2024년, 전년대비 진료비 순위가 상승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울산대병원 '조용한 상승'...15위→12위 껑충

11~20위권에서 가장 눈에 띄는 상승은 울산대병원이다. 2023년 15위(3856억원)에서 2024년 12위(3854억원)로 3계단 올랐다. 진료비는 단 2억원만 감소해 사실상 동결 수준이었지만, 다른 병원들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상대적으로 순위가 올라간 것이다.

울산대병원 관계자는 "의정사태 직후 보직자들이 응급실을 지켰는가 하면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인력 위기가 왔을 때 파격적인 결정으로 수술장 운영에 안정화를 꾀한 것이 주효했다"고 전했다.

경영진의 빠른 의사결정이 의료진에게 동기부여를 해줬고 이를 통한 성과는 곧 성과급으로 이어져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는 이어 "전문의와 PA간호사 중심 진료체계로 빠르게 전환, 수도권 내 상급종합병원과 경쟁하기 위해 (암, 뇌, 심장)중증질환 중심병원 체계로 전문화를 추진한 것도 환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충남대병원은 12위에서 13위로 한 계단 내려왔고, 계명대동산병원과 양산부산대병원은 각각 13위→14위, 14위→15위로 한 계단씩 밀렸다. 모두 진료비가 감소하면서 순위도 하락했다.

국립대병원 '패닉'...전북대·경북대 10계단 추락

의정사태 최대 피해자는 국립대병원들이다. 특히 전북대병원과 경북대병원은 각각 10계단씩 추락하며 타격이 컸다.

전북대병원은 2023년 18위(3493억원)에서 2024년 28위(2860억원)로 10계단 하락했다. 633억원(-18.1%)이 감소한 것이다. 경북대병원도 2023년 26위(3104억원)에서 2024년 36위(2529억원)로 10계단 떨어졌다. 575억원(-18.5%) 감소했다.

한림대성심병원(20위→26위, -6계단), 화순전남대병원(22위→30위, -8계단) 등도 큰 폭으로 순위가 하락했다. 모두 지역 거점 병원이자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국립대병원 또는 대학병원들이다.

전북대병원 관계자는 "의정사태로 전공의 이탈이 병원 운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며 "특히 응급실과 중환자실 운영에 큰 차질을 빚었고, 그것이 진료비 감소로 이어졌다"고 토로했다.

이어 경북대병원 관계자도 "대구·경북 지역에서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하는 병원인데, 의정사태를 겪으면서 중증 환자 진료에 차질이 생겼다"고 전했다.

이대목동병원도 2024년 진료비 순위에서 껑충 성장하며 순항중이다.

이대목동 '돌풍'...36위→27위 9계단 상승

반대로 순위 상승의 기회를 잡은 병원도 있다. 이대목동병원은 2023년 36위(2704억원)에서 2024년 27위(2877억원)로 9계단 올랐다. 173억원(+6.4%) 증가하며 상급종합병원 전체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게 주효했다.

원주세브란스도 24위에서 19위로 5계단 올랐고, 강북삼성병원은 30위에서 25위로 5계단 상승했다. 모두 의정사태 속에서도 안정적인 진료 체계를 유지했다. 강북삼성병원 고위 보직자는 "의정사태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마취통증의학과와 외과계 교수들이 의기투합한 것이 가져온 성과"라면서 의료진들의 희생을 강조했다.

의정사태에서 성장한 상급종합병원들은 경영진의 발빠른 결정과 의료진의 희생이 맞물리면서 병원 내 분위기를 선순환으로 만들어 간 것이 공통점이다.

병원계 한 경영 컨설턴트는 "위기 때 진짜 경쟁력이 드러난다는 말이 맞았다"며 "전공의 의존도가 낮고, PA 시스템이 잘 갖춰진 병원들이 순위 상승의 기회를 잡았다"고 분석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