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백진기의 의료인 리더십 칼럼]

[백진기 칼럼]"너나 잘 하세요"(47편)

메디칼타임즈=백진기 한독 대표 리더가 팀원들과 잘 지내다가 한번에 훅 가는 수가 있다. 그 한 수가 팀원들이 리더를 보고 "너나 잘 하세요"하는 순간이다.자기는 안 하면서 팀원을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나? 자기는 못 하면서 우리보고 잘 하라고 할 수 있나? 자기는 CP compliance policy를 지키지 않으면서 우리보고 CP를 지키라 할 수있나?이런 의구심들이 팀원 전체에 퍼진다면 어떤 팀원이 따르겠는가?모두 이런 소리를 속으로 할 것이다. "너나 잘 하세요"집에서도 마찬가지다. 아버지는 게임하면서 아들에게 게임하지 말라고 하면 어떤반응이 나오겠는가?리더십의 Guru중 한분인 S.Covey는 4 Roles of Leadership에서 'Modeling'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4가지 역할중 center에 위치한 것이 Modeling이다.(아래 그림참조) S.Covey의4가지 리더십 역할(Roles of Leadership)리더가 팀원들의 Model이 되지 않으면 나머지 3개의 역할(aligning,path-finding,empowering)을 잘 해도 소용없다는 얘기다.지지한다.아무리 회사와 한방향정렬을 잘 하면서 top management의 뜻을 팀원들에게 잘 전달하고 팀원들의 의견들을 top에 잘 전달한다고 해도 소용없다. "그러면 뭘해 자기는 그렇게 안하면서" 팀원들이 어려운 일에 닥쳤을 때 길을 잘 찾아줘도 소용없다."자기 성적이 안 나올 까봐 그런거지, 지난번에는 본체 만체 하더니 박전무님이 관심을 두니 저렇게 하지" 팀원들의 역량개발을 위해 empowering한다고 해도 있는 그대로 믿지를 않는다. "책임을 나에게 pass한 것 아닌가? 김대리도 지난번 결과가 안좋게 나오자 박전무 앞에서 김팀장은 쏙 빠지고 당했다고 하던데"반대의 해석도 가능하다. Model이 되는 팀장이 길을 가리키면 그리로 달려가고 Top management의 지시사항과 우리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할 것이라고 믿고 내게 그 어려운 일을 맡긴 것은 나의 역량을 믿어주고 내 커리어를 발전시키려한 팀장의 배려라고 생각한다.하루에 중요한 시간 거의 다를 같이 보내는 직장에서 리더가 팀원들의 Model이 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그래도 넘어야 하는 산이다.1) '자기도 못하면서 우리에게 시키는 일'은 없어야 하기에 역량차원은 팀원들의 한 수, 두 수 위에 있어야 한다. 그게 가능케 하려면 무지막지하게 학습해야 한다. 공부를 게을리해서는 지식을 팔고 있는 지식근로자들의 모델이 될 수 없다. 특히 복잡하고 여러 이해관계자가 얽혀있는 업무들 속에서 헤매는 팀원에게 길을 찾아준다는 것은 고도의 지식과 정보역량이 필요하다. 직원에게 임파워링 할때도 리더가 그일에 대해 빠꼼이가 되어야 직무도 위양이 가능하다.2) '자기도 안하면서 우리보고 하라는 것'은 없어야 하기에 팀장 본인이 먼저 그일에 대해 발을 담겨야 한다. 팀장이 발을 담그면 팀원이 논에 뛰어 들수 밖에 없다. 모내기 경험이 없는 팀장이라도 같이 논에 발을 담그면 팀원의 입장에서는 팀장이 논 두렁위에서 지시만 하는 관리자가 아니라 같이 모내기를 할 동료?지지자?로 생각되기 때문이다.3) '자기는 CP를 지키지 않으면서 우리에게 CP를 잘 지키라고 하는 것'은 팀원들 입장에선 '너나 잘하세요'란 말을 듣게 마련이다. cp준수때문에 회사마다 난리다. 리더가 CP의 빠꼼이가 되지 않으면 팀원들이 징계대상?이 된다. 이보다 더 중요한것은 팀장이 CP를 더 잘 지키는 것이다. 팀장은 CP뿐만아니라 도덕적 Bar도 팀원보다 높다. "야 우리 팀장은 정말 CP뿐만 아니라 도덕적이야"란 소리를 들어야 한다.모델이 되는 길은 어렵다. 그러니 리더는 누구나,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다나는 위의 1) 2) 3)에 한가지를 더 한다.4) 리더는 가정생활에서도 알콩달콩사는 모습을 팀원들에게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한다.그래야 진정으로 Modeling이 되는 것이다."우리 팀장은 회사일은 잘하는것 같은데 집안은 콩가루야 콩가루..." 이런 팀장이 팀원들의 모델이 될까?Covey박사가 왜 Model이라고 표기 안하고 Modeling이라고 표기했을까? 그것은 리더가 팀원들의 모델이 되는 것은 어느 한 시점이 아니라 계속해서 1)2)3)4)를 개발해 나가는 과정으로 봤기에 진행형으로 표현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리더는 완벽하지 않다. 그래서 항상 MODEL이 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팀원들도 모델이 되려고 노력하는 팀장MODELING을 원하기 때문이다. 
2023-11-06 05:00:00병·의원

거대 당뇨시장 외자·국내사 합종연횡 가속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2500억원대인 당뇨시장을 겨냥한 외자사와 국내사간 합종연횡이 이어지고 있어 향후 매출시장의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14일 제약계에 따르면, MSD와 대웅제약이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자누비아’(성분명 시타글립틴)에 대한 공동 프로모션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측은 대형병원의 강점인 MSD와 클리닉과 병원급의 영업력을 자랑하는 대웅의 인프라를 교류해 전략적 영업활동을 펼쳐나간다는 방침이다. ‘자누비아’는 지난달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 1정당 1400원을 제시한 상태로 올해 발매시 6억원, 내년도 100억원의 매출세를 전망하고 있다. MSD 조정열 상무는 “우수한 영업력과 유통 시스템을 보유한 대웅과 파트너십을 맺게 돼 기쁘다”면서 “의사와 환자들이 대웅과 체결로 신속하고 다양한 서비스와 제품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1월 공동 판촉을 체결한 노바티스와 한독약품은 최근 음성공장에서 DPP-4 억제제 당뇨 신약인 ‘가브스’(성분명 빌다글립틴)에 대한 합동 제품교육을 실시했다. 양사는 ‘가브스’의 특장점과 주요 논문리뷰를 비롯하여 동일계열 및 타계열의 제품별 임상연구를 비교하는 실무적 교육을 실시해 영업마케팅 극대화 전략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현장을 방문한 노바티스 피터 야거 사장과 한독약품 김영진 회장은 “우수한 영업마케팅 능력을 갖춘 한독과의 협력은 양사가 당뇨치료제 대표 회사로 자리매김하는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며 “가브스의 성공적인 런칭을 위해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여 성공신화를 만들어가자”고 격려했다. 2007년 4분기 현재, 634억원대 당뇨시장에서 한독약품 ‘아마릴’이 118억원으로 최고액을 기록중인 가운데 GSK ‘아반디아 패밀리’(72억원), CJ '바센‘ 45억원, 릴리 ’액토스‘(40억원), 대웅 ’다이아벡스‘(34억원), 바이엘 ’글루코베이‘(23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2008-04-14 12:15:18제약·바이오

복지부 "병원들 진료비 선납요구 근거없다"

메디칼타임즈=박진규 기자병원이 환자에게 진료비 선납을 요구하는 행위는 근거가 없으며, 선납을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진료를 거부한 경우 행정처분 대상이라는 유권해석이 나왔다. 보건복지부는 25일 민원인 임 아무개씨가 질의한 병원 입원시 진료비 선납요구의 위법 여부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복지부는 "선납요구 등은 법령상 근거가 있다고 보기 어려우며, 만일 선납 등을 이유로 진료를 거부한 경우에는 의료법 16조에 따라 행정처분이 가능하다"며 선납을 요구하는 병원을 발견했을 경우에는 관할 보건소로 고발할 것을 당부했다. 현행 의료법 16조 1항은 의료인은 진료 또는 조산의 요구를 받은 때에는 정당한 이유없이 이를 거부하지 못한다고 명시해놓고 있다. 따라서 환자는 선납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진료를 거부한 의료기관을 관할 보건소나 경찰에 형사고발 할 수 있으며, 위법 사실이 확인될 경우 300만원 이하 벌금이나 1년 이하 징역, 면허자격 정지 1개월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임씨는 지난 17일 서울 H병원을 방문, 입원수속을 하는 과정에서 병원측으로부터 진료비 200만원 선납을 요구받았다며 복지부에 민원질의를 냈다. 임씨는 "병원측으로 부터 선납한 금액보다 치료비가 적을 경우 차액을 돌려준다는 설명을 들었지만 치료내용을 알지 못하는 일반인으로서 앉아서 코베이는 식"이라며 정부의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2005-08-25 12:20:57정책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