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예방적 애플리버셉트 당뇨병성 망막병증 개선 효과 없다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황반변성 치료제 애플리버셉트(상품명 아일리아)의 예방적 사용이 당뇨병성 망막병증으로 인한 시력 개선에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애플리버셉트와 같은 항혈관 내피 성장 인자(anti-VEGF) 치료제가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병증 환자를 위한 치료제로 승인됐지만 예방적 사용은 시력 개선에 효과가 없어 과학적 근거 및 비용 관점 모두 효과적이 않다는 뜻이다.바이엘사 아일리아25일 미국 시력안과연구협회(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2023년 연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연구가 발표됐다.미국 인디애나폴리스 미드웨스트 안기구(Midwest Eye Institute) 소속 라즈 미투리(Raj Maturi) 교수 등 연구진은 덜 심각한 형태의 당뇨병성 망막병증에서 애플리버셉트가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임상에 착수했다.임상은 년 동안 64개 센터에서 약 400안(환자 328명)을 대상으로 초기 애플리버셉트 대 위약 주사의 일대일 비교로 계획됐다.대상자는 고위험 당뇨병성 망막병증 또는 시력 상실을 동반한 당뇨병성 황반 부종 환자만을 선별해 애플리버셉트나 위약으로 치료를 시작했다.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NPDR), 좋은 시력을 가진 중심 침범 당뇨황반부종(CI-DME)은 배제했다.분석 결과 4년 동안의 애플리버셉트 조기 투약은 질병 진행의 징후를 상당히 개선했다.4년 누적 당뇨병성 망막병증 또는 실명 동반 CI-DME 발병 확률은 애플리버셉트군에서 34%, 위약군에서 57%(조정 위험비 0.40)로 애플리버셉트 투약군에서 질병 위험이 60% 낮아졌다.또한 애플리버셉트를 투여받은 환자는 4년 이내에 고위험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병증 또는 CI-DME에 대해 anti-VEGF 주사를 시작할 가능성이 낮은 경향이 있었다.다만 임상의 본래 취지였던 시력 개선 지표에선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력은 위약군과 차이가 없었다.환자의 시력은 애플리버셉트를 조기에 투여받았는지, 질병이 진행된 이후에 투여받았는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유지됐고 4년 동안 애플리버셉트 대 위약군에서 시력의 평균(표준 편차) 변화는 -2.7(6.5) 대 -2.4(5.8)였다.연구진은 "이번 임상에서 예방적 애플리버셉트의 사용은 당뇨병성 망막 병증 환자의 시력 손실을 예방하지 못했다"며 "anti-VEGF 주사는 비용이 많이 들고 개선 효과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말했다.이어 "NPDR과 같은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약물을 투여하려면 건강한 안구에 주사가 필요하므로 불필요한 합병증 위험이 있다"며 "시력 관점에서 치료의 비용과 위험을 평가해야 할 때 애플리버셉트의 예방적 치료는 시력이나 삶의 질에 의미 있는 이점을 제공하지 않고 비용과 위험을 추가한다"고 덧붙였다.
2023-04-27 12:07:58학술

황반부종 없는 NPDR, 애플리버셉트 시력 개선 효과 '무'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당뇨성 황반부종(CI-DME)이 없는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NPDR) 환자에 애플리버셉트(상품명 아일리아)를 투약해도 장기적인 시력 개선 효과는 미미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인디애나의대 라즈 마투리(Raj K. Maturi) 등 연구진이 진행한 당뇨병성 망막증의 합병증 예방을 위한 애플리버셉트의 4년 투약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JAMA Network에 7일 게재됐다(doi:10.1001/jama.2022.25029).주사제 애플리버셉트는 황반변성, 황반부종,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생성에 따른 시력손상의 치료에 사용된다. 혈관내피성장인자-A는 안구 내의 비정상적인 혈관성장을 촉진해 시력장애를 유발하는데 애플리버셉트는 이 혈관내피성장인자-A에 결합해 혈관신생 작용을 막는다.중심부 당뇨병성 황반 부종이 없는 비증식성 당뇨병성 망막병증에 대한 항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주사는 적어도 2년 동안 당뇨병으로 인한 시력을 위협하는 합병증의 발병을 감소시킨다.연구진은 애플리버트 투약이 합병증 발병을 감소시키지만 장기적으로 시력을 개선하는지는 불분명하다는 점에 착안, 장기적인 투약 효과 연구에 착수했다.중등도에서 중증의 NPDR 환자 328명(399안)을 무작위 할당해 애플리버셉트 2.0mg 주사(n=200) 또는 위약 주사(n=199)를 4년간 투약해 주요 결과를 비교했다.애플리버셉트 투약군 및 위약 투약군에서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증 또는 CI-DME는 각각 33.9%, 56.9% 발생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다만 시력의 변화는 -2.7 대 -2.4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연구진은 "NPDR이 있지만 CI-DME가 없는 환자에 4년 동안 애플리버셉트를 투약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해부학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시력은 개선되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애플리버셉트는 일반적으로 CI-DME가 없는 NPDR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결론내렸다.
2023-02-14 12:01:46학술

당뇨병성 황반부종 아일리아 주입치료 실익 논란

메디칼타임즈=원종혁 기자 성인 실명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꼽히는 '당뇨병성 황반부종'의 경우, 초기 공격적인 치료를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혜택은 적다는 평가가 나와 주목된다. 특히 시력이 잘 보존된(0.8 이상) 중심부 당뇨병성 황반부종(center-involved diabetic macular edema, 이하 CI-DME) 환자에서는, 이른바 정기적인 모니터링만 진행하는 '지켜보는 방법(watchful waiting)'만으로도 충분한 관리 전략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최신 무작위 임상 결과, 기존 치료전략인 '레이저 광응고술(Laser Photocoagulation)'이나 '애플리버셉트(제품명 아일리아)'와 같은 항VEGF 주사제 사용에 따른 치료 성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 임상연구자 네트워크(DRCR)가 진행한 해당 대규모 무작위 임상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JAMA 최근호에 게재됐다. 무엇보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은 이번 결과는, 정상에 가깝게 시력이 유지되는 Cl-DME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관리 전략을 평가한 첫 사례로 주목받았다. 정기적인 관찰만 진행하는 전략을 시행하거나 레이저 광응고술 치료, 애플리버셉트 치료군으로 나누어 결과지를 비교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환자 모니터링 시행군과 초기 치료군 사이에 성과는 비슷했는데, 추후 임상현장에 적용시 안구내 약물 주사에 따른 치료 부담과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상 시력 유지하는 환자에는 '치료vs모니터링' 유의한 차이 없어" 일반적으로 DME는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한 형태로 당뇨병 환자들의 주요 실명 원인으로 조사된다. DME 치료 전략은 2010년부터 큰 변화를 맞기 시작했다. 레이저 광응고술 대신 항VEGF 주사제가 주요 옵션으로 이름을 올린 이유다. 항VEGF 주사제가 레이저 광응고술보다 CI-DME 관리와 시력 감소 예방에 혜택이 앞선다는 결과지들이 쌓이기 시작했기 때문. 그럼에도 시력이 잘 보존된 CI-DME 환자에서는, 해당 치료 옵션들의 실제 효과에는 임상근거가 명확치 않았던 상황. 따라서 이번 미국 및 캐나다 91개 의료기관에서 진행된 무작위 임상 결과에는 학계 이목이 쏠렸다. 임상에 등록된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을 가진 702명의 성인 환자들 대부분은 혈당 관리를 비롯해 정상에 가까운 시력 상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을 애플리버셉트 2.0mg 치료군(226명)과 레이저 광응고술 치료군(240명), 모니터링 관찰 시행군(236명)으로 각각 나누어 2년차 결과지를 비교했다. 다만 레이저 광응고술 치료군이나 모니터링 시행군의 경우, 임상기간 중 시력이 쇠퇴하는 징후가 포착될 시 추가 애플리버셉트 치료를 시행토록 디자인을 짰다. 결과는 어땠을까. 일차 평가변수는 임상기간동안 최소 5글자를 덜 읽는 수준의 시력 감소 정도였다. 이와 관련 애플리버셉트는 해당 시력 감소가 16%, 레이저 광응고술에서는 17%, 모니터링 관찰 시행군에서는 19%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더욱이 애플리버셉트와 레이저 광응고술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던 것. 망막이 두꺼워지는 소견이나 당뇨병성 망막병증 2기로 진행된 경우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외 시력(20/20) 유지를 두고는 애플리버셉트 치료군과 모니터링 관찰군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20/20 이상의 시력을 유지한 환자는 애플리버셉트 치료군에서 77%, 레이저 광응고술 치료군 71%, 모니터링 관찰군 66%로 나타났다. 논문을 통해 "이번 결과를 당장 일반화하기는 어렵겠지만 혈당 조절과 시력 유지가 잘 되는 환자에서는 치료 부담을 줄이면서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고려해 볼 수 있는 근거가 생겼다"고 전했다. 주저자인 파두카망막센터 안과 칼 베이커(Carl W. Baker) 교수는 "시력 유지가 잘 되는 당뇨병성 황반부종 환자에서는 이번 2년간의 결과를 근거로 했을때 환자가 필요에 따라 정기적 인 추적 관찰 및 치료를 계속하는 경우 시력 결과는 유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논문 게재와 함께 편집자 논평도 실렸다.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안연구소(National Eye Institute) 에밀리 츄(Emily Y. Chew) 교수는 "이러한 추적관찰 전략과 함께 당뇨 교육을 비롯한 엄격한 혈당 조절, 관련 동반질환의 관리가 따라와야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병의 진행과정을 예의주시하는 것은 환자들에 빈번한 클리닉 방문과 주사 치료의 부담을 줄여줄 수도 있을 것"이라며 "결과적으로 의료 비용을 감소시키고 항VEGF 주사로 인한 부작용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19-05-09 06:00:56학술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