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건대병원 이동원 교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2년 연속 등재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건국대병원 무릎관절센터 이동원 교수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한국을 빛낸 사람들(한빛사)'에 2년 연속 등재됐다.이동원 교수는 지난 2019년 정형외과 분야 인용지수 최상위 국제 저널인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AJSM)'에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동시에 시행한 전외측인대 재건술의 임상 결과(Clinical Outcomes of Isolated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r in Combination With Anatomic Antero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논문을 게재해 지금까지 120회 이상 인용되며 BRIC 한빛사의 상위 피인용 논문으로 선정됐다.이 교수는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은 초기 재건술보다 결과가 안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재수술후에도 불안정성 및 재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방법들을 연구해 온 결과, 그 중 하나가 무릎 관절 밖에서 전외측인대 재건술을 동시에 시행해 주는 것으로 이번에 선정된 논문의 연구 결과가 근거"라고 말했다.연구 결과 전외측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그룹은 잔존 회전 불안정성이 적고, 운동 복귀율도 높았다. 전외측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지 않은 그룹은 잔존 불안정성을 보인 비율이 40% 이상이었던 반면에, 전외측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그룹은 10% 미만으로 확인됐다. 또한 수상 전 동일 수준으로 운동 복귀한 비율도 전외측인대 재건술 시행 그룹이 유의하게 높았다(57.1% vs 25.6%).이동원 교수는 "전방십자인대 재수술은 난이도가 높고 경험을 요하는 수술로 연 300례 이상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있는데, 이 중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은 15~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번 업적을 토대로 전방십자인대 분야를 선도해 나가겠다" 고 포부를 밝혔다. 
2024-04-18 18:18:39병·의원

경희의대 김창우 교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등재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외과 김창우 교수가 생물학 연구정보센터(BRIC)이 선정하는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 등재됐다. 김 교수는 지난 11월 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IF=10.252)에 1 저자로 논문을 게재한 점을 인정받았다. 해당 논문은 면역항암치료 분야의 전문가들인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김찬, 전홍재 교수와 수행한 공동 연구의 결실로, 대장암의 복막 전이 동물 모델에서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항암제 병합치료의 효과를 밝혀냈다. BRIC은 우리나라 생명과학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웹사이트로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은 해외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 과학자들의 우수한 논문을 집중 조명한다. 김창우 교수는 "기초 분야가 아닌 임상의사, 특히 외과 영역에서는 한빛사의 기준을 충족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영광스러운 일에 기쁘다"며 "각 분야의 전문지식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기초, 임상과들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기관 사이의 공동 연구들이 더욱 좋은 결과를 내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김창우 교수는 등재 이전에도 BRIC에서 소개하는 상위피인용논문에 국내외 연구자들로부터 15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을 등록하는 등 뛰어난 연구 역량을 선보이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2020-12-16 14:42:39병·의원

삼성창원병원 지준호 교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등재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성균관대 삼성창원병원 혈액종양내과 지준호 교수가 갑상선 수질암과 관련한 논문으로 최근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가 선정하는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한빛사에 등재된 논문은 '갑상선 수질암의 중요 표적으로서의 ALK 융합 유전자의 규명과 전반적인 유전학적 추이'로 갑상선 수질암과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를 규명함과 동시에 표적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 이 논문은 유전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플로스 제네틱스(PLoS Genetics)에 지난 2015년 8월 게재된 바 있다. 지 교수는 갑상선 수질암으로 수술한 100여 명의 환자의 암조직을 활용해 유전자 구조 및 약물반응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다. 이 연구에서 갑상선 수질암 환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여러 유전자들의 돌연변이를 새롭게 찾아냈다. 특히, 갑상선 수질암의 원인 중 하나이자 다른 유전자와 융합하는 특징을 가진 AKL 유전자에 새로운 표적 치료제를 적용해 암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결과를 도출해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가적인 임상시험이 진행된다면 갑상선 수질암에서 암 세포만을 타겟으로 하는 표적치료제 개발로 정밀의료를 실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한국연구재단과 포항공대가 지원해 설립한 국가지정 기관인 생물학연구정보센터는 생명과학분야에서 세계적인 학술지에 실린 논문 가운데 논문 검토자 1천여 명의 추천을 받은 우수 논문과 저자를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로 추천해 소개하고 있다.
2018-01-18 10:42:39병·의원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