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한미 바이오 신약 '특발성 폐 섬유증' 치료 가능성 확인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한미약품은 지난 19일부터 24일까지(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흉부학회 국제 컨퍼런스 'ATS(American Thoracic Society) 2023'에서 LAPSTriple agonist(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를 특발성 폐 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결과 1건을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한미약품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된 'ATS 2023' 발표 내용 관련 안내문LAPSTriple agonist는 체내 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Glucagon), 인슐린 분비 및 식욕 억제를 돕는 GLP-1, 인슐린 분비 촉진 및 항염증 작용을 하는 GIP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삼중작용 바이오신약이다. 한미약품은 현재 글로벌 임상 2상을 통해 N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동시에 IPF 등 희귀질환 영역에서도 다양한 혁신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이미 미국 FDA와 유럽 EMA는 LAPSTriple agonist를 ▲원발 담즙성 담관염 ▲원발 경화성 담관염 ▲특발성 폐 섬유증을 적응증으로 하는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한 바 있다.이번 ATS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는 특발성 폐 섬유증 모델에서 LAPSTriple agonist의 효력을 평가한 것으로,한미약품은 LAPSTriple agonist 반복 투약시 혈중 산소포화도가 증가하고 섬유화 지표들이 유의하게 개선된 점을 확인했다.특히 이러한 효과는 현재 국내에서 IPF 치료제로 허가된 피르페니돈(pirfenidone)과 닌테다닙(nintedanib)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발표를 맡은 김정아 박사는 "NASH치료제는 물론, 특발성 폐 섬유증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뒷받침한 데이터를 확보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한편, 특발성 폐 섬유증은 폐 조직이 점진적으로 딱딱하게 굳어지는 섬유화가 진행돼, 폐기능의 저하를 유발하는 희귀질환이다. 현재까지 이 질병의 원인으로 뚜렷하게 입증된 것은 없고, 기존 치료제는 증상을 완화하는 정도의 효능적 한계로 인해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질환이다.
2023-05-24 11:54:20제약·바이오

한미 NASH 신약 명칭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 확정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한미약품이 NASH(비알코올성지방간염)및 희귀질환 치료제로 개발중인 삼중작용 혁신 바이오신약 LAPSTriple agonist(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 HM15211)의 국제일반명(INN)이 'efocipegtrutide(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로 확정됐다.한미약품 본사 전경한미약품은 세계보건기구(WHO)가 LAPSTriple agonist의 국제일반명을 이같이 공식 등재했다고 20일 밝혔다.'efocipegtrutide'는 'ef-'(바이오의약품의 약효를 획기적으로 늘려주는 한미의 독자 플랫폼 기술 랩스커버리가 적용된 단백질)라는 접두사에 '-trutide'(Glucagon/GIP/GLP-1 삼중작용 치료제)라는 접미사를 붙인 것으로, '랩스커버리 기술이 적용된 삼중작용 치료제'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앞으로 해당 성분을 포함한 제품에는 efocipegtrutide를 일반명으로 통일해 사용해야 한다.WHO는 의약품 처방 오남용을 막고, 정보 전달력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특정 의약품 성분 또는 물질에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인정될 수 있는 국제일반명을 부여하고 있으며, 새롭게 명명된 국제일반명을 홈페이지에 주기적으로 공고하고 있다.efocipegtrutide는 글루카곤 수용체, GIP 수용체 및 GLP-1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하는 삼중작용 바이오 혁신신약이다.다중 약리학적 효과를 토대로 NASH 환자의 지방간과 간 염증, 간 섬유화 등 복합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국 FDA는 2020년 efocipegtrutide를 패스트트랙 개발 의약품으로 지정했으며, 현재 한미약품은 생검(biopsy)으로 확인된 NASH 및 간 섬유화 환자를 대상으로 후기 임상 2상을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하고 있다. efocipegtrutide는 미국 FDA와 유럽 EMA로부터 ▲원발 담즙성 담관염 ▲원발 경화성 담관염 ▲특발성 폐 섬유증 등 적응증으로 총 6건의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아,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신약 중 가장 많은 희귀의약품 지정 기록을 갖고 있기도 하다.한미약품은 efocipegtrutide외에도 eflapegrastim(에플라페그라스팀∙롤베돈/롤론티스),  efinopegdutide(에피노페그듀타이드∙LAPSGLP/GCG agonist), belvarafenib(벨바라페닙),  efpeglenatide(에페글레나타이드)등의 국제일반명을 받은 바 있다
2022-10-20 11:16:28제약·바이오

비운의 항암제 사라카티닙 치매치료제 임상도 좌절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차세대 항암 물질로 개발됐지만 임상에 실패해 갈곳을 잃었던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약후보물질 사라카티닙(AZD0530)이 치매치료의 가능성을 엿봤지만 이 역시 물거품으로 끝났다. 10여년의 노력끝에 동물실험까지는 충분한 가능성을 확인했지만 최근 진행된 52주간의 위약 대조 임상 결과 효과를 입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일대학교 Christopher H. van Dyck 교수팀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사라카티닙의 알츠하이며 치료 가능성을 검증하는 위약 대조 실험을 진행하고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그 결과를 게재했다(10.1001/jamaneurol.2019.2050). 사라카티닙은 Src 인산화효소를 저해하는 기전으로 2000년대초 새로운 항암 물질로 주목받았지만 2005년 3상 임상을 실패하면서 항암제로 이름을 올리지는 못했다. 하지만 그 이후 Fyn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이 증명되며 알츠하이머 치료 물질로 다시 주목을 받은 것이 사실. 특히 지난 2015년 미국 예일대 연구진이 동물실험에서 사라카티닙의 효과를 증명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실제로 당시 기억력이 소실되는 등 치매 유사 증상이 나타난 실험용 쥐에 사라카티닙을 투여한 결과 4주만에 공간학습과 기억 기능이 완전히 회복되는 결과가 나오면서 더욱 관심을 모았다. 하지만 이번에 진행된 다기관 무작위 대조 임상 시험 결과는 이러한 기대감을 반영하지 못했다. 사실상 치료 효과가 없다는 것으로 결론이 났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총 1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52주만 하루 100mg에서 125mg의 사라카티닙을 처방한 군과 위약군으로 나눠 비교 임상을 진행했다. 과연 사라카티닙이 대뇌의 글루코스 대사율(CMRgl)를 저하시켜 알츠하이머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지가 임상의 목표였다. 하지만 52주간 진행된 일차 임상에서 사라카티닙을 처방받은 군과 위약군 사이에 글루코스 대사율 변화는 차이가 없었다. 평균 차이가 1년에 −0.006에 불과했기 때문이다(95% CI, −0.017to0.006; P= 34) 또한 알츠하이머 질환 평가 척도를 비롯해 치매 등급, 정신상태 검사 점수 등을 종합해서 분석해도 사라카티닙 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사라카티닙 치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알츠하이머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며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글루코스 대사율도 감소하지 않았다"고 임상 실패를 선언했다. 이렇듯 사라카티닙이 항암제 도전에 이어 알츠하이머 치료제로서도 고배를 마시면서 이제는 특발성 폐 섬유증에 기대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현재 사라카티닙은 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특발성 폐 섬유증을 적응증으로 희귀의약품으로 인정을 받은 상태다. 아스트라제네카의 입장에서는 적어도 특발성 폐 섬유증 임상이라도 꼭 성공해야만 신약후보물질을 살려낼 수 있는 셈이다. 따라서 특발성 폐 섬유증에 대한 임상 1상 시험이 끝난 현재 임상 2상과 3상에서 과연 어떠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019-08-01 06:00:43학술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