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TV·PC 사용이 치매 부른다? "컴퓨터 활용은 예외"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TV와 컴퓨터의 사용이 인지 기능 저하를 부른다는 기존 통념을 깬 새 연구가 등장했다.TV와 달리 컴퓨터 사용은 오히려 인지력 저하 및 치매 발생 위험을 줄이는 등 긍정적 효과가 관찰됐다.미국 캘리포니아대 데이비드 레이클렌(David Raichlen) 등 연구진이 진행한 TV, 컴퓨터 사용 시간과 치매 발병과의 상관성 연구 결과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22일 게재됐다(doi.org/10.1073/pnas.2206931119).자료사진운동과 신체활동은 인지력 저하, 구조적인 뇌 위축, 치매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반면 TV 시청과 컴퓨터 사용은 만성질환과 사망률 증가 및 인지기능 저하를 불러오는 것으로 알려졌다.TV를 보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정적인 여가 활동이 늘어나고 있지만 실제 신체활동에 관계없는 치매 발병률과의 상관성 조사는 없다는 점에 착안, 연구진은 분석에 돌입했다.연구진은 영국 바이오뱅크의 데이터를 이용해 코호트 분석을 진행했다.60세 미만 총 14만 6651명을 대상으로 치매 진단을 받거나 사망, 마지막으로 병원에 입원할 때까지 추적 관찰했다.분석 결과 TV 시청 시간은 치매 위험 증가와 관련(HR 1.31)이 있었지만 컴퓨터 사용은 오히려 치매 위험 감소(HR 0.80)와 관련이 있었다.특히 컴퓨터 사용 시간이 증가할 수록 치매 위험 감소와의 연관성은 더욱 부각됐다.이런 결과는 신체 활동 여부, 수면 시간, 비만, 알코올 소비, 흡연 상태, 체질량 지수, 교육 수준, 고용 유형 등 인구 통계학적 변수들을 조정한 이후에도 일관되게 나타났다.연구진은 "컴퓨터 사용 시간은 사고 치매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며 "특히 TV 시청 시간과 컴퓨터 사용 시간이 치매 위험과 유의하게 연관돼 있다"고 밝혔다.이어 "인지적으로 수동적인 TV 시청 시간은 치매 위험을 높인다"며 "반면 상대적으로 인지 능동적 활동인 컴퓨터 활용은 신체활동 여부와 상관없이 치매 위험을 감소시켰다"고 덧붙였다.
2022-08-24 15:57:47학술

일양약품, 무방부제 안구건조증 치료제 출시

메디칼타임즈=이석준 기자 일양약품이 무방부제 안구건조증 치료제 '투아이 점안액'을 출시했다. 회사에 따르면, 이 제품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주성분으로 눈물 막을 보호하고 우수한 윤활작용으로 안구건조증 및 외부자극으로 인한 증상을 개선시켜 준다. 특히 무방부제로 렌즈 착용시 빈번히 발생하는 렌즈 침착이 없으며, 점안 후 점도에 의한 눈 깜박임 시 불쾌감도 없다. 일양 관계자는 "휴대가 간편한 '투아이 점안액'은 미세먼지가 많은 황사와 건조 날씨, 장시간 컴퓨터 활용 등에 의한 현대인의 피로한 눈을 깨끗하고 건강하게 지켜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2012-04-25 11:11:55제약·바이오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