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정책
  • 제도・법률

기타 순환기계용약 등 5개군 목록정비 본격화

장종원
발행날짜: 2010-05-28 19:56:09

중간연구 보고…순환기 36품목-소화기 204품목 우선 삭제

기타 순환기계용약 등 5개군에 대한 기등재 의약품 목록정비를 위한 주요평가 상병 등 세부평가방법이 공개됐다.

특히 목록정비 과정에서 임상적 유용성이 확인되지 않은 36품목의 기타순환기계용약과 204품목의 기타 소화기계용약이 우선 삭제가 예상돼, 해당 제약사의 반발이 예상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8일 오후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기등재약 목록정비 연구용역 설명회'를 열고, 올해 진행되는 5개 효능군에 대한 목록정비와 관련한 중간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기등재약 목록정비는 먼저 퇴장방지, 희귀의약품, 대체의약품을 제외하고, 주요 평가상병과 간략 평가 상병으로 구분한뒤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해 걸러진 의약품을 상대로 상대적 저가 여부와 비용효과성을 평가해 급여유지와 급여제외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기타 순환기계용약=먼저 기타 순환기계용약에 대한 기등재약 목록정비는 협상등재의약품, 퇴장방지의약품 등을 제외한 279성분코드 1075품목이 대상으로 확정됐다.

목록정비는 주요 평가 상병은 질병의 위중도와 전체 보험재정에서 영향이 크며 치료약제가 많이 겹치는 질환들인 심근경색과 협심증으로 결정했는데, 149개 성분코드 593품목이 해당된다.

연구팀은 이들 의약품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 검토를 통해 'cinepazide maleate', 'actovegin concentrate', 'dilazep 2HCI', 'etofylline nicotinate', 'nicametate citrate', 'oxtriphylline' 등 6개 성분 36개 품목이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결국 상대적 저가여부에 따라 목록정비 대상이 되는 품목은 444품목(내복약 407품목, 주사제 34품목, 외용제 3품목)으로 압축됐다. 이들은 약제의 특성이 유사한 성분으로 분류해 상대적 저가기준이 검토된다.

◆기타 소화기계용약=전체 약제비의 10%를 차지하는 기타 소화기계용약의 경우 71개 성분 847품목이 평가 대상으로 확정됐다.

소화기계용약은 진토제, 간·담도 치료제, 췌장염·식도정맥류 출혈 치료제, 기능성 위장장애 치료제로 효능군을 나누어 주요평가상병과

21개 성분 204품목이 임상적 유용성이 확인되지 않아 급여목록 삭제가 예상된다.

먼저 간질환치료제는 'metadoxine', 'timonacic', 'urazamide', 'atso', 'placenta hydrolysate', 'betaine glucuronate 복합제(제타파주)', 'aminoactic acid 복합제(네오미노화겐씨주)', 'arginine thiazolidine carboxylate' 등 8개 성분이다.

담도질환치료제는 'nicotinic acid 복합제(갈스파연질캅셀)'이고 기능성 위장장애치료제는 'oxapium iodide', 'carovenine HCI', 'difemerine HCI', 'fenoverine', 'dihydroxydibutylether', 'alibendol', 'magnesium dimecrotate', 'trimethylphloroglucion/phloroglucinol', 'pipoxolan HCI', 'tiemonium iodide', 'timepidium bromide', 'tiropramide HCI' 등 12개 성분이다.

연구를 수행하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이상무 연구위원은 "주요 평가상병의 1일 소요비용 산출결과에 따른 상대적 저가 기준선을 제시하겠다"고 향후 연구계획을 밝혔다.

◆소화성궤양용제·장질환치료제·골다공증치료제= 먼저 소화성궤양용제 목록정비 대상 의약품은 91개 성분코드 총 659개 제품이 확정됐다.

임상적 유용성 평가 결과, PPIs제제와 H2RAs제제, 기타 공격인자 억제제, 제산제, 방어인자증강제는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Nizatidine 75mg', 'artemisia asiatica 95% ethanol ext', 'magnesium aluminum silicate' 성분에 대해 위염(소화불량 위산과다 증상 포함)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검토 예정이다.

연구팀은 GERD 환자에서 PPIs 계열 내 성분간 효과 차이, 소화성궤양 환자에서 PPI계열 성분간 치료효과 차이, 소화성궤양환자에서 방어인자 증강제 효과 등을 검증한다.

또 장질환 치료제는 104개 성분코드 261품목이, 골다공증 치료제는 54성분 207품목이 평가되는데 이 중 49성분 202품목을 상대적 저가 여부 대상으로 분류됐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