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체세포복제 연구를 숨죽여 지켜보던 의학계가 연구허용을 위한 세 결집에 나설 것으로 보여 사회적 파장이 예상된다.
세포응용연구사업단 김동섭 단장(연세의대 생리학)은 22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전화통화에서 “윤리계가 주장하는 한시적 금지는 체세포복제 과정에서 동물과 인간의 차이점을 간과한 잘못된 주장”이라고 밝혔다.
세포응용연구사업단은 줄기세포 연구를 중점분야로 선정하여 과기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중인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 1520억원(정부+민간)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사업단 총 책임자인 김동섭 단장은 “동물에서 충분한 실험을 거쳐 인체에 적용한다는 한시적 금지는 동물과 인간을 동일하게 여긴 비약적인 논리에서 출발한다”고 반박하고 “체세포복제배아 연구는 인간의 난자로 실험해야 실질적인 효과와 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물과 인간 연구가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며 윤리계가 제기하는 반대논리의 한계를 지적했다.
김 단장은 이어 “난자매매 등 체세포복제로 인한 윤리성 문제는 엄격히 금지해야 한다는데 공감한다”며 “제한적 허용에서 언급하는 버리는 잉여난자나 자발적 기증자의 난자는 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받아들여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국가생명윤리위원회가 각 직역별로 구성됐다고는 하나 몇 명의 의견만으로 국가의 연구방향을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하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마련해 합리적인 사고와 전문지식을 토대로 한 의견수렴을 가질 필요가 있다”며 체세포복제 연구의 방향성 정립을 위한 토론회를 제의했다.
김동섭 단장은 “연구자들의 합리적인 논리가 시대흐름에 짓눌리는 것 같아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며 “연구자의 과학업적이 크게 비칠때는 목소리가 커지고 반대로 작아질때는 사회적 목소리에 묻혀 판단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는 것 같다”고 말해 의과학을 바라보는 사회의 가변성에 답답함을 표했다.
김 단장은 “다음주부터 사업단과 의학계가 참여하는 회의와 의견수렴을 거쳐 생명윤리위원회의 결정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를 취합해 나갈 예정”이라며 “다음말이나 3월초 생명윤리위원회의 회의가 예정된 만큼 이전 의학계의 입장을 전달하는 성명서 등을 채택해 알려나가겠다”고 피력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