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정책
  • 제도・법률

경북대병원 헬리포트 지지부진…지원금 환수 '위기'

이창진
발행날짜: 2015-11-26 05:11:41

연말까지 계획서 제출 공문 발송…대구 중구청 "주민 민원 등 제기"

경북대병원이 헬기 착륙장 지연으로 외상센터 국고보조금 환수 위기에 처해 주목된다.

25일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에 따르면, 최근 경북대병원에 외상센터 헬기 착륙장(헬리포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지원금 환수에 들어간다는 공문을 발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대병원은 지난 2012년 11월 가천대 길병원과 단국대병원, 목포한국병원 등과 함께 첫 권역외상센터로 지정됐다.

하지만 3년이 지난 현재까지 외상센터 필수요건인 헬기 착륙장 공사 계획이 지지부진한 상태.

복지부는 외상센터 지정에 입각해 올해 외상전담 전문의 등 의료진 인건비 15억원 등 지난 3년간 최소 30억원을 지원했다.

시설 및 장비비 80억원 중 헬기 착륙장 설계비 2700만원을 제외한 비용은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복지부는 직무유기, 경북대병원은 지정 요건 미충족 등 양측 모두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현재 길병원과 단국대병원, 목포한국병원 그리고 최근 개소한 을지대병원 등 8개 외상센터 중 경북대병원을 제외한 모든 외상센터가 헬기 착륙장을 구축했다.

문제는 헬기 착륙장 신축 허가권을 쥔 대구 중구청의 소극적 입장이다.

경북대병원은 항공청 허가와 관련 중구청에 협조를 구했지만, 주민 민원과 사유재산 침해 우려 등을 이유로 허가에 유보적인 자세이다.

중구청 관계자는 "아직 경북대병원으로부터 헬리포트 설립과 관련된 건축허가 신청이 들어오지 않았다"면서 "해당 건물은 별도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더 이상 지연할 수 없다는 단호한 입장이다.

응급의료과 임호근 과장은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그동안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준 만큼 이제 매듭져야 한다"면서 "올 연말까지 헬기포트 관련 명확한 계획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원칙에 입각한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임호근 과장은 이어 "경북권 중증외상 환자 치료 인프라 구축 차원의 외상센터 지정은 지역 주민들에게도 혜택이 돌아가는 만큼 해당 지자체에서 긍정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달 남은 기간 내 경북대병원이 헬기 착륙장 신축 관련 명확한 계획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외상센터 지정 이후 첫 지정취소 사례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