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서울대병원, 소아 희귀 뇌종양 재발 여부 예측 지표 발견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국내 의료진이 소아에서 발생하는 희귀 뇌종양의 재발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규명했다.왼쪽부터 피지훈 교수와 팽진철 교수. 서울대병원 소아신경외과 피지훈(김주환 전임의) 교수와 핵의학과 팽진철(강연구 전임의) 교수팀은 1997년부터 2021년 서울대 어린이병원에서 수술 받은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 환자의 메티오닌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MET-PET)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29일 밝혔다.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은 소아·청소년에게 주로 발병해 경련을 유발하는 희귀한 뇌종양이다. 통증이 없고 진행이 느리며, 수술 후 종양이 일부 남아있더라도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 일명 '얌전한 종양'으로 불린다.그러나 수술 받은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 환자의 20~30%에서 재발이 일어났다는 해외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5명 중 1~2명이 수술 후에도 종양이나 경련을 다시 겪는 것이다.연구팀은 재발성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에 다른 종양과 구별되는 대사적 특징이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MET-PET) 검사를 통해 종양의 대사 활동을 분석했다.MET-PET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메티오닌' 기반의 방사성 약품을 주입하고, 이 약품이 분포된 모습을 촬영하는 뇌종양 검사기법이다.종양세포는 MET-PET 영상에서 주변에 비해 밝게 보이는데, 종양에서 메티오닌을 많이 흡수해 대사가 활발하기 때문이다.연구팀은 메티오닌 흡수량과 수술 후 임상사건(조절 불가능한 경련 재발, 종양 성장, 종양 출혈)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술 받은 환자의 MET-PET 검사 데이터 27개를 분석했다.데이터는 ▲전절제술(10개, 종양·위성병변 모두 제거) ▲불완전절제술(17개, 위성병변 또는 종양 일부 잔존)로 구성됐다.분석 결과, 종양의 메티오닌 대사가 활발했던 환자 중 전절제술로 종양이 완전히 제거된 환자는 아무도 수술 후 재발이나 경련을 겪지 않았다.7세 환아의 수술 전후 MRI 및 MET-PET 영상 모습.반면 불완전절제술을 받았으며 종양의 메티오닌 대사가 활발했던 모든 환자는 수술 후 경련 또는 종양의 재발을 겪었다.불완전절제술을 받았지만 메티오닌 대사가 낮거나 보통 수준이었던 환자는 약 27%에서 임상 사건이 나타났다.즉 메티오닌을 많이 흡수하여 종양의 대사가 활발한 환자는 수술 후 종양이 남아있을 경우 재발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커진다는 것이 연구팀 설명이다.소아신경외과 피지훈 교수는 " MET-PET 영상에서 확인되는 메티오닌 대사 활동을 활용해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 환자의 수술 예후를 예측하고, 전절제술이 필요한 케이스를 효과적으로 선별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연구의 의미를 강조했다.그는 "다른 종양과 구별되는 희귀한 종양인 배아 이형성 신경상피 종양에 대한 이해를 한 층 높일 수 있었으며, 향후 유전체 분석 기술과 이 결과를 접목한 심도 있는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임상핵의학'(Clinical Nuclear Medicine, IF=10.78)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2022-11-29 11:38:25학술

김동규 교수 '중추 신경세포종' 출간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서울대병원 김동규 교수(신경외과)가 최근 신경외과 학술 단행본 '북미 신경외과 클리닉'(Neurosurgery Clinics of North America) 시리즈의 최신판인 '중추 신경세포종(Central Neurocytomas)'을 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시리즈는 전세계 신경외과 의사들 사이에서 진료 지침서로 꼽힌다. 김동규 교수 책은 목차별로 질환의 세부 항목을 상세히 설명하는 기존 의학 교과서와 달리 질환의 최신 정보를 반영한 논문 15편을 선별해 실었다. 실제 임상 진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저자 43명이 집필에 참여했다. 김동규 교수 주도 아래 백선하·박철기·피지훈·김용휘·김진욱 신경외과 교수와 박성혜 병리과 교수 등 10명의 서울대병원 교수도 핵심 저자를 맡았다. 김 교수는 아이작 양(Isaac Yang) 캘리포니아주립대 로스엔젤레스캠퍼스(UCLA) 신경외과 교수와 편집자로 나서 논문을 선별하고 내용의 가감을 결정했다. 북미 외 지역의 신경외과 의사가 편집자로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교수는 '국내 의학이 세계적 수준임을 입증해 자랑스럽다"며 "출간된 책은 큰 가르침을 주신 선배님들과 함께한 후배들과 함께 만든 결과물"이라고 전했다. 엘스비어어 출간, 김동규·아이작 양 지음, 142쪽, 99달러
2015-03-13 22:42:30병·의원

서울시의사회 학술대회 성료

메디칼타임즈=박진규 기자서울시의사회(회장 나현)는 지난 29일 가톨릭의대 성의교정 마리아홀에서 600여 명의 회원이 참석한 가운데 학술대회와 의학상 시상식을 가졌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CPR(심폐소생술)의 최신경향, 'A형 간염', 등의 할술 강연과 함께 서울의대 정현채 교수의 '죽음과 임종' 특강, 박태원 노무사의 '노무관련 서류작성의 실제' 등의 발표가 이어졌다. 올해로 15회를 맞이하고 있는 의학상 시상식에서는 경희대병원 송지영 교수, 서울시립은평병원 민성길 병원장이 저술상을 공동 수상했고 젊은의학자상 임상강사 부문은 서울대 어린이병원 피지훈 조교수, 전공의 부문에서는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김현수, 삼성서울병원 강구현 전공의가 공동 수상했다.
2010-08-29 20:32:38정책

어린이 모야모야병 대규모 임상경험 결과 발표

메디칼타임즈=안창욱 기자한국과 일본에서 어린이와 젊은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는 모야모야병에 대한 대규모 임상연구 결과가 국내 의료진에 의해 발표됐다. 서울대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 신경외과(왕규창, 김승기, 피지훈 교수)에서는 1988년부터 2006년까지 어린이 모야모야병 환아 410명의 임상 양상과 치료 후 경과에 대한 분석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에 따르면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81%에서 추가적인 신경학적 결손 없이 증상의 소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수술 전 뇌경색이 있는 경우 나쁜 경과를 보일 가능성이 3배 정도로 높았으며 SPECT 검사에서 뇌혈류량이 정상이면서 혈관반응성만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좋은 경과를 보일 가능성이 14배나 높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모야모야병과 관련된 임상양상과 수술 후 경과에 대한 디지털 방식의 정보가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모야모야병은 어린이에게 주로 나타나는 병으로 뇌혈관이 점진적으로 막히면서 뇌경색이나 뇌출혈을 일으키는 뇌혈관질환이다. 1957년 일본의 학자들이 처음 발견해 학계에 보고했고, 뇌혈관이 막히면서 작은 혈관들이 뇌 아래쪽에서 새로 자라 올라가는 모양이 연기가 피어나는 모양과 같다해서 일본어로 ‘모야모야’라고 이름 붙여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 특히 많이 발생해 전 세계 환자들의 90%가 두 나라에 집중되어 있으나 그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모야모야병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일본 학자들이 주도해 왔다. 그러나 1985년 서울대 어린이병원이 설립된 이래 어린이 모야모야병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면서 국내의 모야모야병 임상연구가 활성화됐다. 2007년에 보건복지부의 희귀질환 진단치료기술 연구사업단이 발족해 모야모야병에 대한 병태생리에 대한 기초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임상과 기초연구 논문을 국제저널에 발표하게 됐다.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어린이 모야모야병에 대한 임상 연구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수술적 치료로 모야모야병의 증상을 없앨 수 있음을 입증한 논문으로 임상신경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신경학연보’(Annals of Neurology) 7월호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최근 일본 도호쿠 대학의 연구진과 함께 모야모야병의 임상연구 및 기초와 중개연구의 결과들을 모아 단행본 ‘MOYAMOYA DISEASE UPDATE(Cho BK and Tominaga T eds., Springer, 2010)’를 국제적인 과학서적 전문 출판사인 Springer 사를 통해 출간하기도 했다.
2010-07-04 20:15:44학술

서울대병원, 소아간질 수술 전 진단방법 개발

메디칼타임즈=안창욱 기자소아간질의 수술 전 고해상도 MRI로도 구별이 어려운 질환들을 정확하게 감별해내는 방법이 개발됐다. 소아청소년 뇌신경센터 김승기, 피지훈, 핵의학과 팽진철 교수팀은 MRI에서 국소적인 병변을 보이는 30명의 소아 난치성 간질 환아에서 수술전 FDG-PET과 MET-PET을 촬영해 그 결과를 조직학적 진단과 맞춰 분석했다. 소아 간질의 원인 중에서 뇌 발달이상인 국소 피질이형성(focal cortical dysplasia; 이하 FCD)이 가장 흔하며 뇌종양이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뇌종양 중에서는 양성 뇌종양의 일종인 이형성 신경외배엽종양(dysembryoplastic neuroepithelial tumor; 이하 DNT)과 신경교세포종양 (ganglioglioma; 이하 GG)이 가장 흔하다. FCD와 DNT와 GG와 같은 뇌종양은 주로 소아에 나타나며 약으로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간질을 일으키고 MRI에서 국소적인 병변으로 보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형적인 병변들은 MRI에서 감별진단이 가능하나, 적지 않은 예에서, 특히 측두엽에 병변이 위치한 경우 고해상도 MRI로도 감별진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FCD와 뇌종양의 수술 전 감별진단은 임상적으로 중요한데, 첫째 FCD의 경우 병변이 자라지 않으나 뇌종양인 DNT와 GG의 경우 점점 자라고 진행하므로 더욱 빠르고 적극적인 수술이 요구된다. 둘째로 FCD는 경계가 불확실하므로 넓은 부위를 절제해야 하며 수술 전 두개강내 전극을 삽입하여 경계를 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나, 뇌종양의 경우 병변만 제거해도 좋은 간질 치료성적을 얻을 수 있어 수술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FCD는 수술로 간질이 완치될 가능성이 50%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뇌종양에 의한 간질의 수술치료율은 80%에 달하므로 정확한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하다면 수술 결과를 예측하고 수술에 대한 환자 부모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암 검진에 많이 이용하는 FDG를 이용한 PET(FDG-PET)은 조직의 당대사를 비교할 수 있는 핵의학 영상검사로서 간질환자에게 수술전 필수 검사항목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FCD와 뇌종양의 감별진단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하여 아미노산의 하나인 메티오닌(methionine)을 이용한 PET (MET-PET)은 세포의 단백질 대사를 영상화한 것으로 뇌종양에 대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검사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FDG-PET은 FCD와 뇌종양에서 모두 저대사율을 보이며 차이가 없었으나, MET-PET은 두 군간에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뇌의 기형인 FCD는 낮은 메티오닌 흡수율을 보였으나 뇌종양인 DNT와 GG는 병변에서 높은 흡수율을 보여서 MET-PET을 이용하여 FCD와 뇌종양을 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MET-PET을 이용하여 MRI로 감별이 어려운 소아간질 환아의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함을 보여준 것으로서 난치성 간질을 가진 환아들의 수술시기와 적절한 수술방법을 결정하고 예후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임상적인 적용이 기대된다. 이 연구는 2010년 5월 미국 핵의학 학회지(Journal of Nuclear Medicine)에 게재됐다.
2010-06-21 21:20:15학술

"뇌종양으로 생기는 간질, 명쾌한 치료 가능"

메디칼타임즈=안창욱 기자뇌종양 때문에 생기는 간질의 치료방법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는 논문이 나왔다. 정천기 교수 서울대병원 정천기 신경외과 교수(피지훈 전임의) 팀은 1995년부터 2006년까지 뇌종양과 연관되어 발생한 측두엽간질 환자 87명의 수술성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수술 후 간질의 치료율은 1년째 92%, 2년째 86%, 5년째에는 79%였다. 뇌종양의 치료율도 수술 후 1년째 99%에서 5년째에도 90%로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간질의 재발은 뇌종양의 재발과 연관되어 있어 간질의 완치에 뇌종양의 치료가 중요함을 보여줬다. 특히, 뇌종양이 위치한 측두엽의 광범위한 절제를 하던 기존의 수술방법에서 뇌종양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수술로도 많은 환자에서 간질과 뇌종양의 치료가 모두 가능함을 확인했다. 간질이란 뇌의 이상에 의해 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상태를 말하며 많은 경우에 평생 지속되는 만성 간질이 되어 지속적인 약물치료를 요한다. 우리나라의 간질환자수는 약 30만 명으로 추정된다. 이들 중 약 20% 정도가 약물로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간질을 가지고 있다. 뇌의 한 부위인 측두엽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간질을 측두엽간질이라 하는데 이는 간질 중 가장 흔하게 보이는 종류이다. 약 10~20%의 측두엽간질 환자들에서 측두엽의 뇌종양이 발견된다. 이러한 뇌종양은 비교적 양성의 경과를 보여 천천히 진행하지만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간질을 동반하게 되고 때로는 악성종양으로 돌변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빠른 진단과 수술치료가 종양의 진행을 막고 간질발작을 멈추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뇌종양과 연관된 측두엽간질 환자들의 장기적인 수술 성적과 예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아서 아직도 빠른 수술보다 약물치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남아있다. 또한 수술에서 종양만을 제거할 것인지 아니면 광범위하게 종양 주변의 뇌를 절제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어 왔다. 이 연구는 간질의 수술 치료에 대하여 전문화된 병원에서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많은 환자를 모아 수술의 장기적인 치료효과를 증명한 것으로서, 적극적이고 빠른 수술치료를 통해 간질환자들의 치료성적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천기 교수는 “뇌종양과 연관된 측두엽간질은 난치성 간질과 뇌종양을 동시에 치료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뇌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이 뇌종양에 의해 생기는 측두엽간질에서 가장 효과적인 치료 전략”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 교수는 “종양 주변의 정상적인 측두엽 뇌조직을 광범위하게 제거하는 기존의 수술방법보다는 종양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수술방법이 환자의 삶의 질을 유지시키는데 더 유리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 논문 ‘Long-term surgical outcomes of temporal lobe epilepsy associated with low-grade brain tumors’는 미국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가 발행하는 국제저널인 ‘Cancer 지’ 2009년 12월호에 실렸다. 또한 신경계 질환에 대한 저명한 국제저널인 ‘Nature Reviews Neurology’ 의 2010년 1월호에서 뇌종양에 대한 최신연구동향으로 자세히 소개됐다.
2010-01-18 20:46:40학술

서울대 어린이병원 18일 모야모야병 강좌

메디칼타임즈=안창욱 기자서울대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 뇌신경센터는 18일 오후 3시부터 본원 지하1층 A강당에서 제4차 어린이 모야모야병에 대한 공개강좌를 가진다. 이날 강좌에서는 ▲모야모야병이란 무엇인가?(소아청소년과 채종희 교수) ▲수술은 어떻게 하나요?(소아신경외과 김승기 교수) ▲치료 후 사회생활은?(소아신경외과 피지훈 전문의)을 주제로 강연이 진행된다. 강연 후에는 참석자들과 공개상담을 가질 예정이다.
2009-02-09 22:27:27병·의원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