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의료기기·AI
  • 치료

효용성 높아지는 분할 감마나이프…1차 요법 정립되나

발행날짜: 2025-08-07 05:31:00

국내 뇌 전이암 환자 대상 후향적 연구 결과 합격점
종양과 부종 부피 크게 감소…"효과적이며 안정적"

분할 감마나이프(fGKS)가 효용성을 높이면서 뇌 전이암에 대해서도 1차 치료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종양 부피를 크게 줄이면서 생존 기간을 늘리는 효과가 속속 입증되면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시술법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셈이다.

분할 감마나이프가 대형 뇌 전이암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면서 1차 치료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오는 8월 18일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 JKMS에는 뇌 전이암에 대한 1차 치료로서 분할 감마 나이프 수술의 유효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공개될 예정이다.

현재 직경 3cm 미만의 뇌 전이암의 경우 입체조형방사선(SRS)이 주요 치료 옵션으로 정립돼 있는 상태다.

하지만 직경이 이보다 큰 뇌 전이암의 경우 병변 주변 부종과 신경학적 결손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즉각적으로 감압되지 않는 SRS를 쓰는데 한계가 있었다. 수술적 치료가 우선시되고 있는 이유다.

이로 인해 직경이 3cm가 넘는 뇌 전이암의 경우 수술과 방사선 수술이 2등급(충돌 근거)로 부딪히며 표준요법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분할 감마나이프가 피폭량을 줄이면서도 국소제어율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연이어 나오면서 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

서울대 의과대학 백선하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국내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검증에 나선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실제로 분할 감마나이프가 그 정도의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새롭게 10cm 이상의 뇌 전이암이 발생한 환자 93명을 대상으로 분할 감마나이프 수술을 진행하고 이를 추적 관찰했다. 수술에는 엘렉타의 아이콘(ICON)이 사용됐다.

그 결과 분할 감마나이프는 이러한 대형 뇌 전이암에 매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평균 8.9개월간 추적 결과 국소 무진행 생존기간(PFS)이 6개월에 89.9%, 1년에 67.7%, 2년에 41.5%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전체 생존율 또한 6개월에 76.1%, 1년에 57.4%, 2년에 37.6%로 집계됐다.

국소 제어율 또한 상당히 높았다. 종양 부피를 크게 줄였다는 의미다.

실제로 분할 감마나이프 수술 후 종양과 부종의 부피는 6개월에서 9개월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중앙값은 각각 78%와 82%를 기록했다.

종양 부피도 환자의 80.8%가 절반 이하로 감소했으며 최대 감소 시간은 3.3개월로 분석됐다.

방사선 치료의 가장 큰 난제로 꼽히는 방사선 괴사는 환자의 5.4%에서 발생해 우려에 비해 크지 않았다.

또한 분할 감마나이프 시술 후 6개월 이내에 45명의 환자가 신경학적 증상의 호전을 보였고 36명은 안정 상태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를 기반으로 분할 감마나이프가 대형 뇌 전이암에 있어 1차 치료법으로 손색이 없다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크기가 큰 뇌 전이암에 있어 분할 감마나이프는 중용의 부피와 부종을 줄이는데 매우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며 "향후 대형 뇌 전이암의 1차 치료법으로 충분히 고려할만 하다"고 밝혔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