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0% "살던 곳에서 노후 돌봄 받길 원해"

발행날짜: 2025-05-21 11:51:41
  •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 지역사회 돌봄 인식 조사 발표
    노인돌봄서비스 중 '건강·의료 관리' 수요 61% 가장 높아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은 노후에 자신이 살던 집이나 지역사회 등 익숙한 환경에서 돌봄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5~30일 전국 40살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지역사회 돌봄에 대한 인식과 수요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후에 돌봄이 필요한 상황이 됐을 때 희망 거주 형태를 묻는 질문에 '현재 살고 있는 집'(47%)과 '돌봄 받기 좋은 지역사회 내 주거시설로 이주'(32%) 등 응답자의 79%가 내가 사는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돌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는 '지역사회 돌봄에 대한 인식과 수요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요양시설 입소나 가족 거주지 가까운 곳으로 이주를 원한다는 답변은 각각 7%로 나타났다.

노후에 선호하는 주거 환경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령이 함께 거주하는 주거단지'가 59%로 '노인 전용 주거단지'(28%)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노후에 실버타운 등이 아닌 지역사회와 단절되지 않고 함께 어울려 살고 싶은 의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선호하는 임종 장소는 자택이 48%로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31%), 요양병원(12%), 요양시설(7%) 등이 뒤를 이었다.

고령이나 질병 등으로 돌봄이 필요할 경우 예상되는 돌봄 제공 주체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39%가 '요양보호사 등 돌봄 인력'을 꼽았다. 이어 '배우자'(35%), '본인 스스로'(21%)라고 응답했고, '자녀가 돌봐줄 것'이라는 답변은 4%에 그쳤다.

고독사 가능성 질문에는 미혼자의 87%가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고, 기혼자는 52%가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고독사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응답은 미혼자(37%)가 기혼자(6%) 대비 6배 높았다.

우리 사회의 돌봄 수준에 대해선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다.

'노인·장애인 돌봄이 충분하지 않다'가 64%로 '충분하다'(33%)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돌봄 서비스의 책임 주체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5%가 국가를 꼽았고, 노인돌봄서비스를 지금보다 확대하기 위해 세금 지출을 늘리는 것에도 85%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김용익 돌봄과 미래 이사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국민들은 내가 살던 익숙한 곳에서 나이 들고, 돌봄 받기를 원하는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돌봄서비스를 설계할 때 이런 여론을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