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약발일까…제약사 접대비 줄고 판관비 급증

발행날짜: 2017-04-11 05:00:57
  • 분석제약사 한 곳당 평균 접대비 7억원…전년비 9.2% 감소

부정청탁금지법(김영란법) 시행과 맞물려 제약사들이 접대비를 평균 9%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판매비와 관리비는 분기 기준 40% 가까이 늘어난 만큼 제약사의 접대비 줄이기 현상이 부각되고 있다.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2016년 사업보고서(별도-개별) 중 접대비 항목을 분석한 결과 2015년 전기 대비 평균 9%의 접대비 감소가 나타났다.

흔히 판관비로 통칭하는 판매비와 관리비는 제약사 제품 판매에 필요한 유통, 관리, 홍보, 선전 등 부수 비용을 뜻한다.

판관비에는 광고선전비, 학술연구비, 판매촉진비, 견본비, 학술회의비 등이 포함되지만 김영란법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항목은 바로 접대비.

2015~2016년 각 제약사별 접대비 지출현황
유가 증권 상장사 중 접대비를 공개한 제약사는 총 29개사로, 2016년 기준 제약사 한 곳당 평균 7억 3315만원을 사용했다.

이는 2015년 제약사 한 곳당 평균 접대비 8억 827만원에서 9.2% 감소한 수치.

가장 크게 접대비를 줄인 곳은 한올바이오파마였다. 1년새 7274만원의 접대비를 절반 이상인 3617만원(-50.3%)으로 허리띠를 졸라맸다.

알보젠코리아가 19억 3263만원에서 1억 1519만원으로 40.4%를, 제일약품이 5억 7540만원에서 3억 4342만원으로 40.3%를, 명문제약이 26억 6677만원에서 15억 9364만원으로 40.2%를 줄였다.

이어 일동홀딩스, 동아에스티, 동성제약, JW생명과학, 슈넬생명과학, 대원제약, 파미셀 등도 약 20~30% 이상 접대비를 삭감했다.

접대비를 줄인 21곳의 평균 감소율은 21.9%였다.

접대비를 공개한 제약사 29곳 중 접대비를 줄인 곳은 21곳이었지만 9곳은 되레 늘린 것으로 파악됐다.

JW중외제약은 1171만원에서 1851만원(58%)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지만 접대비 총액 기준으로는 29개 제약사를 통틀어 지출비가 가장 적었다.

이어 삼성제약이 5억 3659만원에서 7억 1925만원으로 34%, 경보제약이 17억 1858만원에서 22억 2710만원으로 29.6%, 환인제약이 19억 2924만원에서 25억 4만원으로 29.6%, 일양약품이 2억 1341만원에서 2억 5541만원으로 19.7% 늘렸다.

접대비를 늘린 제약사 8곳의 평균 접대비 증가율은 24.3%였다.

평균적으로 접대비는 감소했지만 접대비를 포함한 판관비는 김영란법 시행이후 무려 40% 가까이 늘었다.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제약·바이오업종 107곳의 평균 판관비 증가율(YoY)는 15.9%였다.

하지만 김영란법이 시행된 2016년 9월 28일이 속한 4분기를 기준(QoQ)으로 전 분기와 비교하면 평균 판관비 증가율은 39%에 달했다.

이는 접대비를 제외한 광고선전비, 학술연구비, 판매촉진비, 견본비, 학술회의비 등으로 제품 판매의 활로를 개척한 것으로 풀이된다.

모 제약사 관계자는 "김영란법과 CP 강화로 쉽게 법인카드를 사용하기 어려운 분위기로 인해 접대비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접대비가 줄어든 만큼 견본비, 판매촉진비가 늘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