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애주 의원 지적…보건소 80.3%로 최저 수치
의약품 처방조제지원시스템(DUR)에 공공기관인 보건소 등의 참여율이 민간의료기관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애주 의원은 22일 지난해 DUR 1단계 프로그램 활용 현황을 점검한 결과 6만 4152개 기관 중 6만1520개 기관이(95.9%) 시스템에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요양기관 종별 DUR 프로그램 설치 현황
접속률은 민간 의원 93.8%, 민간 치과의원 98.9%에 이르는데 반해 보건기관(보건소 및 보건지소)은 80.3%에 그쳐 종별가운데 접속률이 가장 낮았다.
이에 대해 이애주 의원은 "DUR 사업에 공공기관인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접속율이 민간 기관보다 낮다는 것은 용납하기 어렵다"면서 "공공보건기관들이 정부의 시책에 비협조적이라는 말로 밖에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어 "공공 보건기관의 참여가 저조한 데에는 DUR 사업 추진 기관인 심평원 역시 책임이 전혀 없다고 할 수 없다”면서 “향후 2단계 사업을 추진할 때에는 복지부의 협조를 얻어 보건기관이 이 사업에 참여하도록 더욱 적극적으로 독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애주 의원은 22일 지난해 DUR 1단계 프로그램 활용 현황을 점검한 결과 6만 4152개 기관 중 6만1520개 기관이(95.9%) 시스템에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애주 의원은 "DUR 사업에 공공기관인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접속율이 민간 기관보다 낮다는 것은 용납하기 어렵다"면서 "공공보건기관들이 정부의 시책에 비협조적이라는 말로 밖에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어 "공공 보건기관의 참여가 저조한 데에는 DUR 사업 추진 기관인 심평원 역시 책임이 전혀 없다고 할 수 없다”면서 “향후 2단계 사업을 추진할 때에는 복지부의 협조를 얻어 보건기관이 이 사업에 참여하도록 더욱 적극적으로 독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