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차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이지은 교수
"인슐린 분비능‧저항성 개선 동시 작용"
국내 당뇨병 환자들이 점차 증가하면서 다양한 치료제가 등장하지만 여전히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관심이 크다.
특히 다양한 치료제가 등장했으나 여전히 환자마다 적합한 조합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인슐린 분비능과 인슐린 저항성을 동시에 개선하는 TZD와 DPP-4i의 조합 역시 여전히 활용도가 높다는 평가다.
최근 구미차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이지은 교수는 메디칼타임즈와 만난 자리에서 TZD+DPP-4i 병용 시 장기적 이점 등을 설명했다.

우선 DPP-4 억제제의 경우 인슐린 분비를 촉진,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해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TZD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 간·근육·지방조직의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약제로 상당히 오랜 기간 췌장을 보호해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지은 교수는 "DPP-4i의 경우 오랜 기간 잘 사용하는 약제로 안전한 약제인 동시에 아시아인에서 훨씬 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며 "TZD의 경우에도 DPP-4i보다 먼저 나온 약제이지만 장기간 효능이 잘 유지되는 약제라는 점에서 오랜 기간 사용해 왔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이후에 등장한 SGLT-2i나 GLP-1 등 다양한 약제가 나오면서 각광을 받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기존의 약제의 쓰임이 있다"며 "DPP-4i의 경우 인슐린 분비능을 개선시키고 글루카곤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TZD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 개선의 대표적인 약제로 이들은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사실 임상 현장에서 사용하는 메트포르민까지 복합하게 되면 사실상 당뇨병의 원인이 되는 여러 병인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는 기전적으로 상당히 좋은 조합일 수밖에 없다 "며 "또 저혈당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고, 환자에게 좀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라고 생각된다 "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들 약제의 경우 장기간 효과가 유지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는 판단이다.
이 교수는 "TZD의 경우 피오글리타존이 오랜 기간 효능이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이미 있는 상태"라며 "DPP-4i, 이중 알로글립틴의 경우에도 3년간의 ICT 데이터 등이 있고 리얼월드 데이터를 통해서도 장기간 효능이 유지된다는 보고들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들의 경우 각기 인슐린 분비능의 개선과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효과가 있어 각 병인적인 개선이 이뤄지는 조합"이라며 "또 혈당 감소 효과도 가장 우수하면서 장기간 효능이 유지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만큼 여러 이점이 있는 조합"이라고 평가했다.
여기에 이지은 교수는 피오글리타존과 알로글립틴 조합이 국내 급여된 이후 빠르게 사용했고, 장기간 사용하며 이런 장점을 체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교수는 "피오글리타존+알로글립틴 조합을 빠르게 사용한 편인데,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모든 환자에게 적합하다 할 순 없지만, 꼭 필요한 환자들에게는 여러 이점이 있는 조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 중에 비만한 환자들이 많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비만하지 않은 환자들이 있고, 이들은 결국 인슐린 저항성 문제를 겪는 경우가 많다"며 "또 우리나라 환자의 경우 인슐린 분비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TZD는 췌장 보호 효과도 가지고 있어 이런 부분에서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DPP-4i의 경우 혈당의 장기간 유지 효과와 함께 안전성 측면에서 TZD에 대한 도움이 된다"며 "실제로 조기 병용을 시도했을 때 혈당 개선 효과가 장기간 이어지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제시했다.
이는 결국 이들의 조합의 경우 여러 가지 병인을 개선해 장기적인 효과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에서도 상호 보완적인 효과를 가진다는 판단이다.
그는 "TZD의 경우 장기간 효능이 좋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어 초기 환자에 대한 이점이 분명히 있고,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뇌졸중 환자의 예방 등 모든 스펙트럼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이라며 "또 인슐린 저항성의 근본적인 개선의 경우 어떤 BMI의 환자라도 늘 고려해야 하는 약제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DPP-4i의 서구권과 달리 아시아 환자에 대한 약제 효능은 이미 잘 알려져 있고 식후 고혈당 개선에 효과가 있다"며 "또 신기능 간기능 이상 등과 관계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사실 신기능이 갑자기 떨어진다거나, 급성 신손상 등의 문제로 약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는 약제들이 있는가 하면, 이들에 메트포르민까지 3가지 약제의 경우 그런 면이 훨씬 덜하다"고 언급했다.
덧붙여 "사실 TZD의 체중 증가의 경우 병용 시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며, 노인의 체중 감소 우려를 덜어주는 측면에서 오히려 도움이 된다"며 "이외에도 지방간에 대한 이점 등도 기대할 수 있는 등 해당 약제가 적합한 환자들이 있어 이들에게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 교수는 "결국 이들 약제에 메트포르민 등을 더할 경우 초기 환자부터 오랜 유병기간을 가진 환자들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약제"라며 "또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등 여전히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환자에게 잘 선택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