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로미어 발견한 미 교수 3명 노벨의학상 수상

안창욱
발행날짜: 2009-10-05 22:48:19
  • 노벨위, 엘리자베스 블랙번·캐럴 그라이더·잭 쇼스택 선정

2009년 노벨의학상은 염색체의 끝에 있는 텔로미어(telomere)를 처음으로 발견한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엘리자베스 블랙번 교수와 존스홉긴스의대 캐럴 그라이더 교수, 하버드의대 잭 쇼스택 교수가 공동 수상했다.

엘리자베스 블랙번 교수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학연구소 산하 노벨위원회는 5일 이들 3명을 올해의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공동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는 “이들 3명은 세포가 분열할 때 유전정보가 담긴 염색체가 어떻게 퇴화를 방지하면서 완벽하게 복제될 수 있는가하는 생물학의 큰 의문을 풀었다”면서 "비밀의 해답은 인간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염색체의 끝에 붙어 있는 텔로미어와 그 생성효소인 텔로머레이즈(telomerase)에 있었다"고 밝혔다.

캐럴 그라이더 교수
이들이 발견한 텔로미어는 암세포의 죽음에 관여한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대호 교수는 텔로미어를 일종의 생체 타이머라고 설명했다.

세포의 끝에 텔로미어라는 것이 있는데 이 것은 세포가 분열을 거듭하면서 마디가 잘려 나가고 마지막 마디가 모두 잘려 나가면 이 세포는 죽는 것이다.

세포가 죽는다는 것은 생체가 노화한다는 의미이다.

잭 쇼스택 교수
반대로 인류의 적인 암은 세포가 죽지 않고 계속 분열하는 것인데, 세포가 죽지 않는 이유가 바로 블랙번 등이 발견한 텔로미어가 잘려져 나가지 않는 이상 현상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세포의 개념만으로 보면 이론적으로 노화와 암은 반대의 개념이 되는 것이다.

텔로미어가 잘려져 나가 노화가 일어나는 것이고, 잘려져 나가지 않고 무한정 분열하게 되면 암이 되는 것이다.

염색체의 끝에 있는 텔로미어가 잘려져 나가는 것은 자연의 섭리이며 생로병사의 이치인 것이다.

이대호 교수는 “블랙번 등이 10여년 전에 텔로미어를 발견한 이래 전세계 의학자들이 이 분야를 연구해 신약 개발이 임박해 있다”고 설명했다.

암 치료를 위해 염색체의 끝에 붙어 있는 텔로미어가 세포 분열하는 과정에서 잘려져 나가게 하면 암치료가 가능하다는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즉 의학자들은 텔로미어가 잘려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텔레머레이저라는 신약을 개발해 암 환자에게 유전자치료법으로 투약하면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정상세포에는 텔레머레이저라는 약을 투약하면 노화를 촉진시키는 즉 자연의 섭리는 역행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암과 노화는 텔레미어라는 개념에서는 모래시계와 같다는 것이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대호 교수)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