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정원 감축 도대체 기준이 뭐냐" 병원들 아우성

발행날짜: 2015-10-27 05:10:56
  • 신임위 정원 배정에 극한 반발…"복지부 철저한 감독 필요"

전공의 정원 감축 정책으로 레지던트를 뺏긴 수련병원들이 억울하게 정원을 강탈당했다며 반발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의사 국가시험 합격자와 전문의수 간의 괴리를 맞추기 위한 방안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기준없는 감축은 받아들일 수가 없다는 아우성이다.

병원신임위원회는 26일 대한병원협회 대회의실에서 2016년도 수련병원 지정과 전공의 정원안을 심의, 의결했다.

이 자리에서 신임위는 2016년도 전공의 정원을 올해보다 144명 감축한 3329명으로 책정했다. 인턴 정원은 올해보다 68명이 줄었다.

구체적으로 내과가 올해 대비 15명, 외과가 16명이 감축됐고 정형외과(13명), 안과(7명), 이비인후과(7명), 소아청소년과(6명) 등의 순으로 정원이 줄어들었다.

다만, 수도권과 지역별 균형을 감안해 감축과 정원 비율을 6대 4로 유지하며 병원별로 정원을 배정하기로 결정했다.

문제는 이렇게 전공의 정원이 줄어들면서 졸지에 레지던트 수가 줄어든 수련병원들이 아우성을 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이 문제 삼고 있는 부분은 과연 적절한 기준에 의해 정원 감축이 이뤄졌냐는 것. 즉, 학회와 신임위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주된 요인이다.

실제로 이번 신임위에서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정원이 없어진 지방의 A병원은 이를 공식적으로 문제 삼으며 복지부에 민원까지 제기한 상태다.

A병원 소아청소년과장은 "불과 2주전 학회로부터 전공의 정원을 배정한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하지만 아무런 얘기도 없이 정원이 날아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전공의를 배정하겠다며 2번이나 실사를 나오더니 아무런 통보없이 어떻게 이럴 수 있느냐"고 덧붙였다.

특히 A병원은 수련병원 평가와 전공의 정원의 연계성에 대해서도 불신을 나타내고 있다. 도대체 전공의 정원 배정의 기준이 뭐냐는 지적이다.

이 과장은 "수련병원 평가 점수를 보니 우리 병원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병원이 전공의를 배정받은 것이 확인됐다"며 "도대체 전공의 정원의 기준이 뭐냐"고 되불었다.

이러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는 곳은 비단 A병원뿐만이 아니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대형병원들도 전공의 정원 감축에 불만이 많다.

수도권과 지방간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것은 이해하지만 수련환경이 월등히 높은 병원의 정원을 잘라 지방 중소병원에 배정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이냐는 반문이다.

B대학병원 교육수련부장은 "각 전문과목별로 전공의 수가 상당히 날아갔다"며 "대형병원은 전공의가 없어도 운영이 가능하니 지방과 중소병원을 배려하자는 것이 학회와 병협의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취지에 일정 부분 공감한다 하더라도 수련병원 평가에서 99점을 맞은 병원의 정원을 잘라 60점대 병원에 주는 것이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보건복지부가 신임위원회에 전권을 맡기지 말고 철저한 지도 감독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A병원 소아청소년과장은 "신임위와 학회에만 정원 배정을 맡겨 두니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것 아니겠냐"며 "복지부가 나서 철저하게 감독하고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