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개원의협의회 관계자는 "수가가 안맞다 보니 외과 개원의들이 다른 환자를 받지 않으면 병원 문을 닫을 지경에 이르렀다"면서 "최근에는 간단한 수술마저 일부 대형화된 병원들이 독점하면서 수술 건이 더욱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현실적인 한계로 인한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일이라지만, 마음의 상처는 적지 않다.
익명을 요구한 의료계 관계자는 "간판 전환을 결정하면서 가장 크게 상처받는 부분은 전문가로서의 자존심"이라면서 "먹고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스스로를 설득하면서도 자괴감을 떨쳐내는 것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과목 전문가들은 미표시 현상의 가속화가 시장의 왜곡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시급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외과개원의 협의회 관계자는 "수가의 비현실성이 가장 큰 문제로 이대로 둔다면 더 많은 외과전문의가 외과 개원을 포기할 수 밖에 없다"면서 "의원에 종사하는 외과 전문의들이 1차 의료, 다시말해 수문장의 역할을 제대로 있게 하기 위해서는 수가 현실화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