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의원
  • 개원가

엔화 환율 825원선까지 하락...'대출 주의보'

엔화 강세로 향후 이자부담 상승할 가능성 높아


이지현 기자
기사입력: 2006-04-13 07:22:35
지금 병의원 개원이나 이전을 위해 엔화 대출을 염두해두고 있다면 잠시 미루는 것이 좋을 듯하다.

최근 일본 경제 회복세를 타고 엔화가 강세를 보임에 따라 원화 환율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환율이 앞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대출에 따른 이자 리스크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A은행 메디컬팀 한 관계자에 따르면 2004년도 1123~1063원(100엔당)으로 1천원 선을 유지하던 것이 2005년 2월 998원으로 떨어지기 시작해 8월에는 923원으로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다.

올해 초인 2월경에는 826선까지 떨어졌다가 3월에는 844원을 상승하며 오락가락 하더니 4월 12일 현재 엔화 환율은 825원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컬팀 관계자는 “현재 엔화가 많이 내려가있는 상태이므로 앞으로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며 “올 후반기에는 880원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금리가 1.7~2.5%정도로 낮다는 장점 때문에 엔화 대출이 지속적인 인기를 끌고 있지만, 이처럼 엔화 환율이 바닥이 상태일 때는 대출을 받기 전에는 세심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귀뜀하고 있다.

올 4월에 100엔을 825원에 대출받은 사람의 경우 추후에 880선으로 상승하면 이자도 그만큼 올라가게 되므로 결국 이자도 함께 상승해 이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

특히 현재 엔화 환율이 바닥을 치고 있는 상황에서의 대출은 이자에 대한 리스크를 감안해둬야 한다는 것.

메디컬팀 관계자는 “환율이 최고점일때 대출을 받았던 이들은 현재 이자 차익을 보고 있지만 앞으로 환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현 시점에서 대출을 받는 것은 리스크가 클 수 있다”며 “세심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댓글 10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