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국내사

'닥순 요법' 나오자마자 12억 돌풍…자렐토 기선제압

이석준
발행날짜: 2015-10-23 05:12:28

259만원 파격 약값 적중…포스트와파린 자렐토 선두

8월 급여 출시된 최초의 먹는 C형간염약 BMS '다클린자정 60mg(1일 1회)+순베프라캡슐 100mg(1일 2회)', 줄여서 '닥순 요법(다클라타스비르+아수나프레비르)'이 나오자마자 12억원 처방액(UBIST 기준)을 찍으며 돌풍을 일으켰다.

바이엘 '자렐토(리바록사반)'는 포스트와파린 대결에서 라이벌 베링거 '프라닥사(다비가트란)'와 화이자·BMS '엘리퀴스(아픽사반)'를 제치고 7월 NOAC 급여 확대 후 싸움에서 기선을 잡았다.

최근 주요 이슈 의약품 처방액 현황(단위:억원, %).데이터 유비스트.
닥순 요법 돌풍은 여러 요소가 혼합된 결과다.

현재까지 유일하게 인터페론 없이 먹는 C형간염약이라는 프리미엄에 유전자형 1b형(국내 C형간염 환자의 50% 수준) 치료 완치율이 90% 안팎인 효능이 더해졌고 여기에 단돈 259만원(24주 치료)이라는 파격적인 약값이 종지부를 찍었다.

현재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유명 대학병원에 랜딩이 된 상태다.

이로써 '소발디(소포스부비르)', '하보니(소포스부비르+레디파스비르)'를 허가받고 시장에 뛰어들 준비를 하고 있는 길리어드는 긴장할 수 밖에 없게 됐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 교수는 "DAA(Direct Acting Antivirals)는 기존 치료법에 비해 진일보된 약이다. 유전자형에 다르지만 (내성 등) 치료법을 잘 지키면 효능과 안전성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포스트 와파린 전쟁에서는 '자렐토'가 한 걸음 앞서 갔다.

'자렐토'는 '프라닥사'와 박빙의 대결을 펼친 가운데 3분기 처방액에서 우위를 점했다.

실제 '자렐토', '프라닥사', '엘리퀴스' 3분기 처방액은 각각 40억원, 34억원, 1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6억원, 12억원, 2.4억원에서 크게 늘은 수치인데 모두 7월부터 와파린 딱지 떼고 급여 적용이 됐기 때문이다.

현재 NOAC 3종은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 중 고위험군 환자(뇌졸중 및 전신 색전증 위험 치료) 1차 치료에 맘껏 쓸 수 있다.

이밖에 유일한 급여 출시(2014년 9월)된 SGLT-2 억제제 아스트라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와 지난해 11월 보험 적용된 전립선암치료제 아스텔라스 '엑스탄디(엔젤루타마이드)'도 각각 3분기 29억원과 22억원 어치가 처방됐다.

두 약 모두 연간 100억원 돌파가 기정사실화됐다.

업계 관계자는 "3분기에는 굵직한 신약 출시와 급여 확대로 어떤 약물이 치고 나가는지 관심이 컸다. 뚜껑이 열린 현 시점에서 업체별 희비가 엇갈릴 것"이라고 진단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