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여성 갱년기 신약 나오나…비호르몬 Q-122 부각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갱년기 및 유방암 치료로 얼굴이 후끈거리고 밤에 식은땀을 흘리는 혈관운동증상(VMS)을 경험하는 환자들에게 새 치료 옵션이 등장할 전망이다.비호르몬성 신약 후보물질 Q-122가 임상 2상에서 효과와 안전성을 충족해, 특히 호르몬 대체요법이 금지된 유방암 환자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자료사진호주 QUE Oncology 소속 아만다 브셀자 박사 등이 진행한 타목시펜 또는 아로마타아제 억제제를 복용하는 유방암 환자의 혈관운동 증상에 대한 Q-122 투약 임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란셋에 12일 게재됐다(doi.org/10.1016/S0140-6736(22)01977-8).여성의 75% 이상이 폐경과 관련해 혈관운동증상을 경험한다. VMS는 심한 경우 심한 열감, 땀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삶의 질 부분에 크게 관여한다.VMS의 표준 치료로는 에스트로겐 결핍 치료(타목시펜 및 아로마타아제 억제제 투약)가 있지만 유방암은 재발 위험이 높아 이와 같은 호르몬 대체요법이 금지된다.연구진은 비호르몬성 경구 신약 후보물질 Q-122가 유방암 환자들의 미충족 수요에 대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호주, 뉴질랜드 및 미국의 18개 기관에서 임상 2상을 진행했다.2018년 10월 24일부터 2020년 9월 9일 사이에 243명의 환자를 선별했으며, 그 중 131명을 1 대 1로 무작위 할당해 Q-122 100mg(n=65) 또는 위약(n=66)을 28일 동안 하루 2회 투약했다. 이후 Q-122와 위약 사이의 안면 홍조 및 식은땀 중등도 지수(msVMS-SS) 등의 점수 변화 및 이상반응 발현 여부를 비교했다.분석 결과 Q-122는 위약과 비교해 치료 28일 동안 기준선에서 msVMS-SS의 평균 백분율 변화가 훨씬 더 컸다(Q-122 -39%, 위약 -26%).치료 관련 이상 반응은 일반적으로 경증에서 중등도에 그쳤으며 두 그룹 간에 유사했다(Q-122 17%, 위약 14%). 심각한 부작용은 Q-122 그룹에서 발생하지 않았지만 위약군에선 2명이 발생했다.연구진은 "임상 결과 Q-122는 혈관운동증상에 대한 효과적이고 내성이 뛰어난 비호르몬 경구 치료제로  폐경기 호르몬 요법의 대안이 필요한 잠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Q-122에 대한 대규모, 장기간에 걸친 추가 임상을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2022-11-15 12:00:00학술

암발생 오명 쓴 폐경호르몬요법 재조명…"실보다 득 크다"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과거 심혈관질환, 암발생 등 부작용이 대두된 폐경호르몬요법(menopausal hormone therapy, MHT)이 장기 추적 연구가 나오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2014년 북미 폐경학회는 호르몬 요법의 장기 사용을 피할 것을 권했지만, 여러 임상의 메타분석 결과, 폐경 초기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은 득이 크다는 설이 주목받으면서 가이드라인 재정립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호르몬요법, 개인별 차이·자궁 유무 고려해야 권대휘·신정호 고대의대 구로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폐경 후 여성의 호르몬요법 최신 치료 가이드라인'을 통해 약제 선택 시 고려사항과 치료기간, 질환별 치료 등을 정리해 대한의사협회지 3월호에 기고했다. 분석에 따르면, 60세 이전 호르몬치료 군의 사망률이 낮게 나온 만큼, 60세 이전에는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작하고 유지하는 것의 효용이 컸다. 연구진은 "60세 이후에는 개인의 상황에 따른 치료 개별화가 필요하다"며 "혈관운동계 증상 등이 사라진 경우 등에는 각 개인의 위험과 이득, 증상 정도를 따져 폐경호르몬치료를 중단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따라서 문진 시에는 에스트로겐 감수성이 높은 암과 골 손실, 순환기질환, 뇌졸중, 정맥혈전색전증의 발생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수적이라는 뜻. 이를 바탕으로 치료 시작 전 적절한 호르몬제의 종류와 용량, 약의 구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호르몬요법은 크게 자궁의 유무에 따라 단독, 병용요법이 나뉜다. 자궁이 있는 경우 적절한 용량 및 기간의 프로게스테론의 추가적 사용이나 에스트로겐과 바제독시펜의 혼합사용이 요구된다. 프로게스테론 용법은 낮은 용량의 에스트로겐 질정 사용 환자에게 권유되지 않으나 질 출혈 등의 증상이 보일 경우 자궁내막 검사 후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이 권장된다. 그러나 자궁내막증이나 자궁내막증식증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에는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병합요법을 쓰기도 하며 대사증후군, 췌장염, 지방간의 위험성이 있다면 호르몬 제제의 감량이나 경피적 투여로의 전환 등이 적절하다. "혼합제제 치료시 유방암 발생 위험 고려해야" 45세 이전 자연적으로 발생한 조기 폐경이나 수술로 인한 난소 기능 정지(조기난소부전)이 발생하면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해 심혈관질환, 골다공증, 정동장애, 성기능 감소, 비뇨생식기증후군, 인지기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초기부터 난소 기능이 빠르게 소실된 경우 기타 질환의 동반을 막기 위해 최소한 평균 폐경 연령인 52세까지의 치료가 권유된다는 것이 연구진의 판단. 교수팀은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젠 혼합제제의 치료기간 결정은 잠재적인 유방암 발생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며 "Women's Health Initiative(WHI) 연구에서 해당약제의 3년간 투약의 결과에서 1,000명당 1건 미만의 위험이 보고됐다"고 조언했다. 이어 "하지만 기타 다른 연구에서는 결과가 일관되지 않아 투여 시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며 "일부 연구는 장기간 에스트로겐 단독요법 시 유방암 위험 증가를 보고했으나 WHI 등의 연구는 유방암의 발생빈도를 낮췄다"고 밝혔다. "골다골증 호르몬 치료, 60세 이하만 적절" 보통 호르몬요법은 폐경과 관련된 골소실을 예방하며, 저위험 군에서도 척추골, 대퇴골을 포함한 골다공증 관련 골절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다만 나이에 따른 치료 접근법이 나뉜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교수팀은 "호르몬요법은 골절위험이 증가된, 특히 60세 이하의 폐경여성에서 적절한 일차 치료제"라며 "다만 60세 이후의 여성에서는 골절 예방목적만으로 호르몬요법을 시작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고 제시했다. 연구진은 "질위축은 전신 치료로 호전될 수 있으나 외음부 단일 증상만 발생했을 경우 국소적인 에스트로겐 용법이 권장되고 프로게스토젠 병합투여는 필요 없다"며 "국소적 에스트로겐 용법으로 질 출혈이 발생한다면 자궁내막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과운동성방광증 등 비뇨기증상 발생 시에는 호르몬 투여 후 4-6주가량 이후에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나 우선적으로 방광훈련법과 생활습관 교정, 국소 에스트로겐요법과 항무스카린 약물 사용을 권했다. 임상적 근거 미약에도 불구하고 우울증에 대한 폐경호르몬요법의 시작과 중단은 주의가 필요하다. 기분장애와 행동에 긍정적일 수 있지만 현재까지 우울증에 대한 임상적 근거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밖에 혈관운동계 증상의 경우 저용량 호르몬요법 만으로도 혈관운동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지만 부족한 경우 표준용량의 치료가 필요하다고 교수팀은 조언했다.
2019-04-06 06:00:56제약·바이오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