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발목 외상 연골뼈 활용 최소 침습 골연골고정술 '개발'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국내 의료진이 발목 연골 뼈를 활용한 최소 침습 골연골고정술을 개발했다.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김형년 교수.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김형년 교수팀은 9일 발목 박리성 골연골 병변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최소침 습 골연골고정술을 시행해 20명(77%)의 병변이 아래 뼈에 잘 붙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발목 외상은 관절경을 이용한 미세 골절술로 연골 재생을 시도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다.하지만 병변 부위가 관절연골인 초자연골 재생이 아닌 섬유연골로 재생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연골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줄기세포나 자가연골세포이식술 역시 완벽한 관절연골 재생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김형년 교수는 환자 본인의 박리된 골연골을 제거하지 않고 고정해 붙여주는 수술법을 개발했다.이 수술법은 발목 피부 2~3cm 절개만으로 시행이 가능하고 무릎 연골을 채취할 필요가 없으며 복숭아뼈의 절골술을 없이 본인의 발목 골연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후유증이 적고 회복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장점이다.김 교수의 최소침습 골연골고정술은 최근 미국스포츠의학회지(AJSM, IF=7.010)와 네이처 자매인 '사이언티픽 리포트'(IF=4.997)에 발표됐다.김형년 교수는 "발목에 발생한 박리성골연골병변은 크기가 크고 연골과 연골 아래 뼈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 이를 제거한 후 미세절골술이나 자가골연골이식술을 시행하기에 앞서 본인의 골연골을 살릴 수 있는 고정술로 치유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그는 "절골술 없이 최소절개로 시행하는 최소 침습 골연골고정술이 최고의 치료법이 될 수 있다. 발목 외상 경험이 있고, 운동 혹은 오래 걸었을 때 갑작스런 통증이 유발된다면 박리성골연골병변을 의심하고 병원을 내원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2023-03-09 12:05:25학술

비대면진료 홍역 앓은 강남성심, 지역 병·의원 '끌어안기'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비대면진료 전면 실시 보도자료로 홍역을 앓은 강남성심병원의 지역 중소 의료기관과 상생을 위한 행보를 보여 주목된다.양지병원을 방문해 모두 발언을 하는 이영구 병원장. 한림대 강남성심병원(병원장 이영구)은 20일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병원장 김상일)과 광명성애병원(병원장 백성준), 희명병원(이사장 최백희), 성애병원(병원장 심상준) 등 지역 협력병원을 방문해 파트너 십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강남성심병원은 지역 내 협력병원과 환자 의뢰 및 회송 시스템 점검과 파트너 십 강화, 의료기관 경영 방안 등을 중심으로 논의했다.이영구 병원장을 비롯한 박철규 행정부원장, 임은주 간호부장, 조지웅 대외협력실장, 김형년 홍보위원장, 조아영 고객지원실 팀장 등 강남성심병원 주요 보직자들이 동행해 대학병원과 지역 의료기관 간 협력방안의 중요성을 시사했다.이영구 병원장은 "지역 내 의료기관과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 관계를 유지해 지역사회 건강을 책임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대학병원 장점으로 지역 병·의원 단점을 보완하고, 대학병원 단점을 지역 병·의원 장점으로 보완해 경쟁이 아닌 진정한 파트너 십을 나누는 관계를 강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강남성심병원은 성애병원(사진 위)과 광명성애병원(사진 아래) 등을 방문해 협력병원과 신뢰 구축에 나섰다.강남성심병원은 서울 지역 뿐 아니라 경기도, 인천, 대전,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등 전국 협력병원과 환자 의뢰 및 회송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병원 측은 진료과 핫라인을 통해 협력병원에서 신속한 환자 의뢰가 가능하도록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한 상황이다.
2022-07-20 12:12:06병·의원

강남성심 박용욱 교수팀, 발등뼈 골절 수술법 개발

메디칼타임즈=박양명 기자#. 17세 이상구 학생은 운동을 하다가 손이 미끄러져 10kg 아령을 왼쪽 발등에 떨어뜨렸다. 심한 통증을 느껴 정형외과를 찾아 X-ray를 촬영한 결과 발등뼈(중족골) 골절 진단을 받았다. 발등이 심하게 붓고, 피멍이 들어서 골절 부위를 절개해 금속판으로 고정하는 일반적인 수술방법으로는 치료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전향적 골수내 강선 고정술 모식도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족부정형외과 박용욱, 김형년 교수팀은 골절부위 부근에 강선을 삽입하고 뼈를 따라 밀어 넣어 골절된 뼈를 맞추고 고정하는 '전향적 골수내 강선 고정술'을 적용했다. 이씨는 수술 직후부터 보조기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이 가능했고, 수술 6주 후에는 정형외과 외래에서 강선을 제거한 후 일반 신발을 신고 걸을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발등뼈 골절은 금속판을 이용해서 골절 부위를 잇는 금속판고정술과 관절을 통해 강선을 삽입해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역행성 K-강선(의료용 철사)고정술을 해 왔다. 박용욱, 김형년 교수팀이 개발한 전향적 골수내 강선 고정술은 14mm K-강선(의료용 철사) 끝을 3mm와 12mm 부위에서 각각 5도 정도 구부려 준비한 후 골절부위 근처에 삽입해 고정하는 방법이다. 박 교수팀은 2005년 8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총 30명의 족부골절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골수내 강선 고정술의 임상결과를 2011년과 2012년에 미국정형외과족부족관절학회지(Foot and Ankle International), 미국족부족관절외과학회지(Journal of Foot and Ankle Surgery)에 각각 발표했다.
2014-02-17 17:04:05병·의원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