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고도난청 환자 인공와우 수술 청력 보존 효과 '확인'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고도난청 환자 대상 인공와우 수술이 청력 보존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팀(제1저차 서울대병원 이상연 교수)은 2019년부터 2020년 잔청이 남아 있는 환자 중 와우축 전극을 이용해 수술 받은 환자 36명과 2019년 이전 일자 전극을 이용해 수술 받은 환자 16명을 비교 분석할 결과를 발표했다.왼쪽부터 최병윤 교수, 김예리 전문의, 이상연 교수. 분석 결과, 잔청 보존이 유리하다고 알려진 일자 전극만큼 얇은 와우축 전극도 잔청 보존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잔청이 남아 있어 50% 이상의 어음변별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보청기로 소리를 들을 수 있지만, 달팽이관(와우) 손상이 심한 고심도 난청은 인공와우 수술만이 어음변별을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청각 재활방법이다.고도난청 중 저주파 청력이 유지되는 환자의 잔청 보존을 위해 어떤 수술법으로 어떤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지 논의가 학계에서 꾸준히 이어져왔다.연구팀은 인공와우 수술 후 완전하거나 부분적으로 잔청이 보존되는 비율이 얇은 와우축 전극이나 일자 전극 모두 수술 3개월 후까지 70% 환자에서, 그리고 수술 후 1년까지 65% 환자에서 관찰됐다.수술 후 잔청이 소실되는 경우 얇은 와우축 전극은 수술 후 한 달 이내 나타나는 반면, 일자 전극은 수술 3개월 이후 잔청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최 교수는 또 다른 연구(제1저자 분당서울대병원 김예리 전문의)를 통해 고음급추형(ski-slope) 난청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인공와우 이식 수술 효능 및 우수한 잔청 보존 효과를 규명했다.고음급추형 난청은 고주파에서 청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형태로 일반 생활 속 소음은 정상적으로 듣지만 'ㅋ, ㅌ, ㅅ'과 같은 특정 영역 자음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경우다.저주파 잔청은 존재하기 때문에 인공와우 수술보다 주로 보청기 착용을 통한 청각재활이 이루어져 왔다.하지만 연구팀은 고음급추형 난청에서도 인공와우 수술 후 약 70%가 인공와우와 보청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의 잔청 보존 효과를 확인했다.두 연구 교신저자인 최병윤 교수는 "인공와우 이식 수술 도입 초기 수술 대상이 잔존청력이 남아 있지 않는 성인에 국한됐지만 현재는 소아까지 확대됐다. 저주파 대역의 잔청이 남아 있는 경우도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과 정도를 파악해 인공와우 수술이 필요한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최 교수는 "인공와우 장치와 수술 기법이 발달하고 있는 만큼 난청 정도나 유형이 무엇이든 적기에 인공와우 수술을 받으면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이비인후과 저널(American Journal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Medicine and Surgery)과 유럽 이비인후과 저널(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최신호에 각각 게재되어 임상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2022-04-21 11:43:36학술

"전기생리학적 검사로 인공와우 수술 결과 예측 가능"

메디칼타임즈=이준상 기자|메디칼타임즈=이준상 기자|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소아 난청 환아의 수술 결과 예측 및 최적의 청각 재활 치료계획 수립이 가능하다는 연구가 나왔다. 왼쪽부터 최병윤, 이상연, 경정숙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 연구팀이 와우 이식 수술 결과 예측 및 최고의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선천성 소아 난청은 신생아 1,000명 중 1명꼴로 나타나는데, 약 60~70%가 난청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선천성 소아 난청의 8%를 차지하는 청각신경병증 환아 대부분 OTOF 유전자(신경전달물질 분비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각신경병증은 소리가 귀를 거쳐 뇌로 보내지는 과정 중 어느 부분(내유모세포, 연접 부위, 신경원세포, 청신경 등)에 문제가 생긴 경우로, 소리 탐지는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말소리 구별이 잘 안 되는 난청의 한 형태를 말한다. 청각을 담당하는 대뇌의 청각피질 영역은 소리 자극에 의존해 발달하게 된다. 출생 후 2~3년 내에 청각피질 영역의 발달이 대부분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적절한 소리 자극으로 대뇌를 발달시켜야 정상적인 청각 발달로 언어인지 능력 및 사회적, 정서적 발달이 이뤄질 수 있다. 그 중에서도 OTOF 유전자 변이에 의한 청각신경병증은 오직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통해서만 청력을 회복할 수 있다. 다만 환자별로 치료 시기와 수술 후 재활기간에 따라 말소리 변별 회복 정도가 달라 수술 결과를 예측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최병윤 교수 연구팀은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경정숙 교수팀과 함께 진행한 연구에서 ‘대뇌피질 청각유발전위 검사(CAEP;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를 통해 특정 신호의 유무가 수술 후 적절한 말소리 변별 회복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해당 신호의 지연 정도에 따라 수술 후 적절한 재활 기간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팀은 OTOF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아 10명의 인공와우 수술 전 검사 결과 및 기록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인공와우 수술 시점의 연령과 기계 착용 기간에 따른 CAEP 검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2세 이후에 수술 받은 경우에는 검사에서 특정 신호가 확인되지 않으며 언어 발달 또한 지연되는 것이 확인됐다. 1세 미만일 때 수술 받은 환아에서는 해당 신호의 지연이 줄어들고 언어 발달이 원활하게 이뤄졌다. 그러나 1세 전후로 조기에 이식 수술을 받았더라도 장치를 착용한 기간이 3~6개월에 불과한 경우에는 해당 신호의 지연이 줄어들지 않았다. 즉, OTOF 유전자 변이로 인한 청각신경병증은 다른 유전적 난청보다도 조기에 인공와우 이식을 시행하고 수술 후 충분한 청각 재활 기간을 거쳐야 말소리 변별 회복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교신저자인 최 교수는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들을 바탕으로 환자별로 가장 알맞은 수술 시기와 적절한 전극 삽입 위치를 고려해 수술 계획을 정하고 진행하게 된다"며 "심한 달팽이관 기형으로 난청이 동반된 환아들도 인공와우 수술로 청력을 회복할 수 있는데 이 때 중요한 것이 가장 적절한 전극 삽입 위치를 찾는 것이고 ECAP 검사가 중요한 몫을 담당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발표된 두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PLOS ONE’과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에 각각 게재됐다.
2021-08-11 14:24:57병·의원

성인 난청, 원인 유전자 알면 수술결과도 예측 가능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후천성 난청 환자도 원인 유전자를 발견하면 수술 결과를 예측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즉, 난청 환자들의 유전자 변이 유무와 그에 따른 수술 결과의 연관성을 확인한 것.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이상연 전문의, 서울대병원 강남검진센터 심예지 전문의)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시행한 후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염기서열분석(NGS)을 실시했다. 원인유전자 발견 유무에 따른 인공와우 이식수술 성적 차이 그 결과 무려 절반의 환자들(52.5%)에게서 다양한 난청 유전자 변이가 나타났으며 이들의 수술성적 또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 진단 그룹으로 분류된 21명의 난청 환자들에게서는 14가지의 다양한 난청 유전자 변이가 확인됐으며 그 중에서도 TMC1(DFNA36)이 가장 많이 발견된 유전자였고, 다음으로 SLC26A4, ATP1A3 등의 유전자 변이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난청 유전자를 확인한 환자들이 뚜렷한 원인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인공와우 이식수술 성적이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어 수술 1년 후 언어평가(문장검사, 이음절 단어검사, 일음절 단어검사) 향상 점수를 비교해보면, 유전자 미진단 그룹에 비해 유전자 진단 그룹이 더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인공와우 이식수술 시기와 수술성적 간의 상관분석 이에 더해 연구팀은 난청 유전자 변이가 발견된 환자들의 경우, 특히 수술 시기가 빠를수록 수술 성적이 우수함을 규명했다. 인공와우 이식수술은 대체로 난청 기간이 짧을수록 수술 후 좋은 예후를 보이는데, 난청 유전자 변이가 발견된 환자들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훨씬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난청 기간이 지속된 지 약 5년 이내에 수술한 경우 높은 언어평가 향상 점수를 보여 수술 시기가 빠를수록 청력회복 수준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대해 최병윤 교수는 "선천성 난청 환자들 못지않게 나이가 들면서 청력이 떨어지는 후천성 난청 환자들 역시 절반 이상은 유전적 원인에 의한 증상일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환자 개인의 난청 관련 정보와 유전자 검사를 통한 유전자 변이 유무를 정확히 파악하면, 치료방향 및 수술의 시행 여부를 보다 빨리 결정함으로써 청력을 회복시키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게재됐다.
2020-05-27 10:58:32학술

분당서울대 최병윤 교수 다인 선도연구자상 수상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분당서울대병원은 4일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가 최근 개최된 제92차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학술대회에서 다인 선도연구자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다인 선도연구자상은 이비인후과의 모든 분과(귀, 코, 목)에 소속된 학회 회원 중 최근 5년간 주저자로 출간한 논문의 피인용지수(Impact Factor)와 인용 횟수(Citation)을 합쳐 높은 연구자가 선정되며, 2013년에 신설되어 이번 최병윤 교수의 수상까지 총 6회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최병윤 교수는 2013년 3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유전 진단에 의거한 소아 및 성인 난청 환자의 맞춤형 청각 재활(인공와우, 보청기, 및 중이임플란트), 감각신경성 난청의 유전 진단과 원인 및 병인 규명과 치료 등 학계의 주목을 받을 만한 연구 결과를 주저자로 41차례에 걸쳐 우수 저널에 발표해 높은 인용 점수를 얻어 수상자로 선정됐다. 최 교수는 "난청 환자들의 진료를 하다 보면 이런 부분에서 연구가 조금 더 이뤄지면 환자분들의 치료에 도움이 될텐데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은데, 실제 연구로 이어가다 보니 많은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었고 수상도 하게 된 것 같다"면서 "앞으로도 좋은 연구를 통해 더 많은 환자분들의 완쾌를 돕고 싶고 의학 발전에도 보탬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2018-05-04 09:02:24오피니언

"영유아 난청 원인 밝혔다…OTOF유전자 돌연변이 문제"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최병윤 교수 연구팀이 청각신경병증으로 난청이 발생하는 원인을 밝혀냈다. 해당 소아환자가 와우이식술을 했을 때 결과까지 예측할 수 있게 돼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청각신경병증이란, 소리가 뇌로 보내지는 과정 중 한 부분(청신경, 내유모세포, 신경원세포 등)에 문제가 생길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청력의 손상 정도나 나이와 상관없이 나타나는 난청 질환. 이는 영유아 심고도 난청(소리를 잘 듣지 못하고 소리가 나는 사실에 대해서만 인지할 수 있는 상태)의 주요 원인이 된다. 게다가 청각신경병증으로 심고도 난청이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인공 와우(蝸牛, 달팽이관)이식 수술을 시행하는데, 그 결과는 청각신경병증을 유발한 병소(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병소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시 말해 병소의 위치를 찾는 것은 청각 재활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첫 단계인 셈.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영유아 청각신경병증은 외국과 달리 청각경로 주위에 문제가 생겨 나타난다는 사실정도만 확인됐을 뿐, 유전자 단계에서의 정확한 원인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해 병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었다. 최병윤 교수팀은 한국인 영유아 청각신경병증의 원인을 밝혀내고 병소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청각신경병증으로 내원한 심고도 난청 영유아 7명을 대상으로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단순히 점돌연변이만을 훑어보는 수준을 넘어서는 최첨단 수준의 유전자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7명 중 6명의 청각신경병증 환자에서 OTOF(Otoferlin)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했음을 찾아냈다. OTOF 유전자는 신경전달물질 분비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현 유전자로,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청각신경병증이 나타난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OTOF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한 청각신경병증의 경우 와우와 청각 신경 사이 시냅스에 병소가 위치하므로 와우이식 후 우수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OTOF 유전자 변이로 인한 청각신경병증 난청은 드물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 때문에 영유아에서 청각신경병증에 의한 심고도 난청이 나타날 경우 경험에 기반을 두어 난청 발병 원인과 자연경과 여부 등에 대해 예측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영유아 청각신경병증의 양상이 나타나는 즉시 유전자 검사를 실시해 시술 후의 결과를 예측하고 보다 빠른 시기에 와우 이식을 시행해야 한다는 정밀의학적 근거가 마련된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최병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난청 영유아와 보호자 그리고 의료진 모두에게 보다 정확한 청각 재활을 시행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계기가 됐다"며 "나아가 청각재활에 정밀의학을 도입하는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난청 영유아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청각 재활수술의 예후 등에 대한 획기적인 정밀의학적 단서를 국내 최초로 제공한 것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제 의학 학술지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된 바 있다.
2015-12-16 11:59:56학술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