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노바티스 자카비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 보험 적용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한국노바티스는 자사의 자카비(룩소리티닙)가 11월 1일부터 급성 또는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치료에서 보험 급여가 적용된다고 1일 밝혔다.노바티스 자카비 제품사진.자카비는 지난해 5월 이식편대숙주질환 적응증 허가 후 1년 6개월 여 만에 이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에 충분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만 12세 이상에서 보험급여가 적용됨에 따라 국내 이식편대숙주질환자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이식편대숙주질환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공여자의 T세포가 환자의 정상적인 세포를 이물질로 인식해 공격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여러 장기에 걸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환자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치료법은 1차 치료로 스테로이드가 사용되는데 여러 부작용의 위험이 있으며, 약 50% 정도가 치료에 불응/의존성을 보여 치료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자카비는 야누스 키나아제(JAK, Janus kinase)의 과활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며, 이식편대숙주질환에서 염증 및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인 JAK1 및 JAK2 모두에 작용하는 표적 치료제다. 자카비는 이식편대숙주질환에서 조직의 손상을 야기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잉 생산을 낮추고 T세포의 팽창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작용한다.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장 김희제 교수는 "그동안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심각한 급, 만성 이식편대숙주병으로 고통받던 혈액질환자들은 스테로이드 1차 치료 실패 이후 표준요법이 정립되지 않아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었다"며 "이번 자카비의 급여 등재는 그동안 국내에서 해결되지 않았던 치료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치료법이 처음으로 마련됨과 동시에 환자들이 경제적 부담없이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이어 "경구용 약제인 자카비의 보험 급여 투약이 가능하게되면 치료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이고, 결국 오랫동안 치료에 곤란을 겪던 많은 환자들이 더 나은 치료법으로 삶의 질을 개선하며 질환을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2023-11-01 11:52:46제약·바이오

노바티스 '자카비', 내달 1일부터 보험급여 적용

메디칼타임즈=손의식 기자 한국노바티스(대표 브라이언 글라드스덴)는 골수섬유증 치료제 '자카비(성분명 룩소리티닙)'가 보건복지부 요양급여 적용 기준 밎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고시에 따라 다음달 1일부터 보험급여 혜택을 적용받게 됐다고 27일 밝혔다. 고시에 따르면 '자카비'의 건강보험급여 적용 기준은 중간위험군 또는 고위험군 일차성 골수섬유증, 진성적혈구증가증 후 골수섬유증, 또는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후 골수섬유증 성인 환자의 경우다. 한국노바티스 항암제사업부 곽훈희 대표는 "자카비는 골수섬유증 환자들의 비장비대 증상 등을 개선시켜 환자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혁신적 치료제"라며 "이번 자카비의 보험급여 적용을 통해 치료제를 간절히 필요로 해왔던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카비는 골수섬유증의 근본적인 매커니즘인 JAK1과 JAK2의 활성화된 신호기능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로, 국내에서는 골수섬유증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 자카비는 두 차례의 대규모 제 3상 임상시험(COMFORT-I, II)을 통해 임상적인 효능효과 및 중간위험군 이상에 해당되는 환자의 생존 연장을 입증한 유일한 약물이다. 또한 최근 열린 제 56차 미국 혈액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 연례 회의에서 발표된 역대 최대 규모의 임상인 JUMP(JAK Inhibitor ruxolitinib in Myelofibrosis Patients) 연구를 통해서도 자카비의 안전성과 효능이 재확인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카비 치료를 받은 69%의 골수섬유증 환자에서 50% 이상의 비장비대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골수섬유증 환자의 중요한 치료 목표인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증상점수 개선이 확인됐다. 또한 24주차 1차 평가지표와 2차 평가지표에서 각각 자카비의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됐다. 자카비는 2011년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그리고 2012년 8월 유럽 의약품감독국(EMA)의 승인을 받았으며, 한국에서는 2013년 1월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5mg, 15mg, 20mg 세 가지 용량을 허가받았으며, 환자들의 권장 초회 용량은 혈소판 수에 근거하며 1일 2회 복용한다.
2015-02-27 11:59:27제약·바이오

'자카비', 일시적 헤모글로빈 감소에도 치료 유지 중요

메디칼타임즈=손의식 기자 노바티스는 골수섬유증 치료제 '자카비(성분명 룩소리티닙)'가 역대 최대 규모의 임상인 JUMP(JAK Inhibitor ruxolitinib in Myelofibrosis Patients) 연구 결과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재입증했다고 19일 밝혔다. 노바티스에 따르면, JUMP 연구는 11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자카비 치료 효과와 안전성 재검증을 위해 진행된 후기 3상 임상연구이다. 연구분석 결과, 자카비 치료를 받은 69%의 골수섬유증 환자에서 50% 이상의 비장비대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골수섬유증 환자의 중요한 치료 목표인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증상점수 개선이 확인됐다. 특히, 24주차 1차 평가지표와 2차 평가지표에서도 각각 자카비의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됐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독일 라이프치히대학 부속병원의 혈액종양학과 캐서린 하이파 알 알리(Haifa Kathrin Al-Ali, MD) 교수는 "희귀혈액암 골수섬유증은 환자들이 전신 합병증과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하는 심각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치료옵션이 제한적이었다"며 "1000명 이상의 환자가 참여한 대규모 임상연구에서 자카비가 골수섬유증의 중요한 치료옵션으로서 그 효과와 안전성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카비 등록임상인 COMFORT-Ⅰ, COMFORT-Ⅱ 연구에서 자카비로 치료받은 환자들의 헤모글로빈 수치 변화에 따른 예후를 평가한 결과도 새롭게 발표됐다. 연구결과, 자카비 치료군의 82%에서 12주차에 헤모글로빈 수치가 치료시작 기저시점 대비 약 3g/dL 감소했으나, 이후 대조군(COMFORT-Ⅰ의 위약군 및 COMFORT-Ⅱ 의 기존 지지요법 치료군)의 평균 헤모글로빈 수치와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환자의 헤모글로빈 수치 감소가 생존기간에 부정적인 예후로 작용하는 반면, 자카비 치료군에서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감소하더라도 치료와 연관된 장기적 생존기간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자카비 치료 초반 일시적으로 헤모글로빈 수치가 감소하더라도 치료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재확인했다는 것이 노바티스의 설명이다. 노바티스 항암제 개발 및 의학부 글로벌 책임자인 알렉산드로 리바(Alessandro Riva) 박사는 "2014 ASH에서 발표된 임상연구들은 골수섬유증 환자들을 위한 노바티스의 지속적인 연구노력의 결과로, 자카비가 골수섬유증의 표준치료제라는 입지를 뒷받침해주는 것"이라며 "골수섬유증과 같은 희귀혈액암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결과들을 통해 환자들과 의료인들의 의료적 니즈를 더 잘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제 56차 미국 혈액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 연례 회의에서 발표됐다. 한편, 골수섬유증을 포함한 골수증식성종양(MPN) 관련 의사(457명)와 환자(813명, 골수섬유증=207명, 진성적혈구증가증=380명, 본태성혈소판증가증=226명)가 참여한 대규모의 설문조사 결과도 이번 ASH에서 처음으로 발표됐다. 설문 결과, 골수섬유증 환자의 81%가 질환으로 인한 증상이 그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가장 심각하고 흔한 증상을 '피로'라고 응답했으며, 의사들 역시 피로와 복부 불편, 통증을 골수섬유증 환자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했다.
2015-01-19 11:50:21제약·바이오

자카비, 비장 감소 및 전반적 생존율 개선 재입증

메디칼타임즈=이석준 기자'자카비(룩소리티닙)'가 골수섬유증 환자의 비장비대증 및 전신증상을 개선하고 전반적인 생존 기간 연장을 재입증했다. 또한 장기간 치료에서 골수섬유화 개선 효과와 우수한 안전성을 다시 확인했다. 최근 열린 제19회 유럽혈액학회(EHA) 연례 회의에서 발표된 '자카비' 임상 연구 결과에서다. 여기서 '자카비'의 임상 3상 연구 COMFORT-Ⅱ의 3.5년 결과와 자카비 안전성을 보는 대규모 임상 JUMP 연구 결과, 5년간 자카비의 골수섬유화 개선 효과를 확인한 코호트 연구 등이 발표됐다. COMFORT-Ⅱ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카비 치료군 52.1%(n=76)에서 비장 크기가 35% 이상 감소했다. 이 환자들의 대다수는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평균 2.76년간 감소된 비장 크기를 유지했다. 또 기존 지지요법 시행군(BAT치료군)에 비해 '자카비'군에서 사망 위험률이 42% 감소했다. JUMP 임상은 올해 6월까지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2027명의 환자가 참여하고 있다. 2013년 3월 당시 1년 이상 '자카비' 치료를 받은 520명의 치료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임상 참여 환자는 중등도-1,2 및 고위험군으로 진단 후 평균 45.6개월 이상 골수섬유증을 오래 앓고 있었고, 기존 치료에도 불구하고 질환이 진행되거나 치료 혜택을 받지 못 한 환자들이 포함됐다. 그 결과 치료 4주 후 약 80%의 환자가 25% 이상의 비장 길이가, 69%의 환자가 치료 초기에 비해 비장 길이가 50% 감소했다. 장기간의 코호트 연구에서도 '자카비' 치료군은 골수섬유화 개선 효과를 입증됐다. 한편 '자카비'는 지난 2012년 1월 희귀혈액암 골수섬유증 치료제로 국내 허가를 받았고 현재 보험등재 진행 중이다.
2014-07-31 10:15:10제약·바이오

노바티스 '자카비' 생존기간 연장시킨다

메디칼타임즈=한용호 기자한국노바티스는 최초의 골수섬유증 표적치료제 자카비(성분명 룩소리티닙)의 3년 중앙 생존율 연장 연구결과가 '블러드(Blood)'지 온라인 판에 최근 게재됐다고 밝혔다. 제3상 COMFORT-Ⅱ 임상연구 3년 결과에서 자카비는 기존 지지요법과 비교했을 때 희귀혈액암 골수섬유증 환자의 사망위험을 52% 감소시켜 전반적인 생존기간(Overall Survival)을 유의하게 연장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장기간의 자카비 치료가 지속적으로 비장비대증을 포함한 골수섬유증으로 인한 합병증과 극심한 피로와 무기력감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전신증상을 전반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생존기간 연장 효과를 입증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COMFORT-Ⅱ 연구는 중증도-2 및 고위험군 골수섬유증 환자 21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자카비(n=141, 혈소판 수치에 따라 1일 2회 15mg 또는 20mg 투여)와 기존 지지요법 시행군(n=73)을 2:1로 무작위 배정했으며, 48주차에 비장크기가 35% 이상 감소한 환자 비율을 1차 평가 지표로 삼았으며, 생존기간 개선 등을 2차 평가 지표로 평가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카비 치료를 받은 환자의 97%에서 비장크기 감소가 관찰됐다. 또 48주차 치료 결과 기저시점 대비 비장크기가 35% 이상 감소한 환자는 51%였으며 이중 50%에서 이러한 비장비대증 개선효과가 약 3년 이상 지속됐다. 대조적으로 하이드록시우레아를 포함한 기존 지지요법을 시행군에서는 치료 48주차에 비장 크기 감소가 35% 이상 감소한 환자가 단 1명도 없었다. 한국노바티스 항암제사업부 임상의학부 김은경 이사는 "COMFORT-II 임상연구 3년 추적 관찰 결과를 통해 자카비 치료가 희귀혈액암인 골수섬유증 환자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결과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2013-12-04 14:42:10제약·바이오

노바티스 '자카비' 국내 골수섬유증 치료 효과 확인

메디칼타임즈=한용호 기자골수섬유증 치료제 '자카비'의 실제 처방 결과, 국내 골수섬유증 환자들에게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바티스(대표: 에릭 반 오펜스)는 10월 11일, '골수증식성종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고, 국내 희귀혈액암 골수섬유증 환자 40여명에 대한 치료결과 및 실제 사용 경험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화순 전남대병원을 포함한 국내 12개 의료기관에서 2012년 9월부터 자카비 치료를 받은 환자 40명에 대한 평균 7.6개월간의 치료경과를 분석한 임상연구 결과이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의 평균 나이는 66세였으며, 골수섬유증 유병기간은 22.3개월이었다. 대부분의 환자가 중증도-2(62.2%)와 고위험군(13.5%) 환자였으며, 중증도-1 및 저위험군 환자도 일부 포함 되어있었다. 자카비 치료 결과, 74.2%의 환자에서 비장의 크기가 35% 이상 감소하였다. 비장비대증은 골수섬유증의 주요 증상으로, 비장의 부피 감소는 치료경과를 확인하는 주요 지표이다. 임상결과 발표를 맡은 화순 전남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여경 교수는 "자카비 치료를 받은 국내 환자들에게서 글로벌 임상연구 COMFORTⅠ, Ⅱ 와 마찬가지로 치료제의 내약성 및 뛰어난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고 전했다. 이어, "자카비는 비장비대증 감소는 물론, 생존기간 연장과 질환의 원인인 골수섬유화의 개선효과까지 입증된 최초의 골수섬유증 허가 치료제로, 기존에 치료대안이 없어 고통 받았던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골수섬유증은 혈구생성을 조절하는 JAK 신호전달의 이상으로 골수가 섬유화되는 질환으로, 섬유화 된 골수가 혈구 생성에 오류를 일으켜 비장비대 등의 기타 중증 합병증으로 이어져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다.
2013-11-05 15:00:05제약·바이오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