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의료원-서울대병원 협력시스템, 좋은 모델 돼야
메디칼타임즈=강윤희 위원 필자가 지방의 종합병원에서 일해보니 상급종합병원의 자문이 필요할 때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필자가 일하는 병원에는 감염내과 전문의가 없어서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인 필자가 감염관리실장을 겸하고 있었는데, 코로나 방역 또는 다제내성균 방역의 임상적인 측면에서 전문가 자문이 필요한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필자는 서울의대 감염내과 교수 동기에게 카톡으로 종종 자문을 받았고(친구야 고맙다!), 큰 도움이 됐다. 또 원내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의 동정이 늘어나면서, 카바페넴 항생제의 처방 제한을 검토했으나, 그럼 어떤 항생제를 처방해야 하는지에 대해 필자가 실제적인 자문을 할 정도로 전문가가 아니었기에 대학병원의 교수가 한두 차례 우리 병원을 방문해서 경험적 항생제 처방에 대해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강의를 해주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 인근 대학병원의 알지도 못하는 감염내과 교수에게 메일을 써볼까 했지만 막상 실천하지는 못했다. 만약 인근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이 해당 지역의 의료기관들에 대한 거버넌스 역할을 하고 있었다면 의사들이 알음알음 알아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문제 해결을 하면서 지역의료서비스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지역 의료서비스의 향상을 위해서 지역 의료서비스 기관과 상급종합병원과의 연계는 매우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 뉴스를 보니 충청남도의 도지사와 지역 국회의원이 의기투합해 지방의료원인 서산의료원과 서울대병원의 협력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반가운 뉴스를 들었다. 수도권과 지방의 의료서비스 격차를 줄이기 위해 공공의대 설립, 의사 수 확대 등 뜬구름 잡는 정책보다 이와 같은 정책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런데 의도는 매우 바람직하나, 실제적으로 어떻게 추진해야 할까? 이 부분에서 혹시나 그저 도지사로서, 국회의원으로서 서울대분원을 충남에, 서산에 가져왔다는 업적식 방향이 될까 우려스럽다. 어떤 정책이든, 심지어 한 편의 연구와 논문조차도 목적에 부합하지 않으면 방향을 잃기 쉽다. 그래서 필자의 경우 업무를 할 때 이걸 왜 해야 하는가 하는 목적에 대한 고민을 가장 많이 하고, 이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가장 좋은 방법을 찾게 되고, 이렇게 되면 업무를 하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이나 모두 만족스럽게 일이 추진이 된다. 서산의료원-서울대병원 협력시스템 구축의 목적은 단순하다. 지역주민들에게 더 좋은 의료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서이다. 그렇다면 서산 지역에 어떤 의료서비스는 괜찮고, 어떤 의료서비스는 부족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여기에는 지역 주민들의 의견도 중요하지만, 지역 의료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생각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서산의료원-서울대병원 협력시스템은 서산에 이미 있는 의료기관들과 경쟁하는 시스템이 돼서는 안되며, 이 의료기관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시스템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지역의 의료서비스가 전반적으로 좋아지는 효과는 없고, 그저 국소적으로 의료서비스가 좋은 병원이 하나 더 생기는 정도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의료서비스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서산의료원-서울대병원 협력시스템을 위해서는 서산시의사회, 서산시간호사회, 민간종합병원인 서산중앙병원 등을 포함해서 심도깊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의료는 어느 정도 공공의 영역이다. 그러므로 지방자치단체가 취약한 지역의료서비스에 관심을 갖고 제대로 된 투자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급종합병원과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급종합병원은 지역에 분원을 만들어 지역의 의료전달체계를 붕괴시키는 방향으로의 투자가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지역의료서비스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그 기여 역할에 대한 비용을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서산의료원-서울대병원 협력시스템이 그 좋은 모델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노인복지에 의료서비스는 필수적이나, 그렇다고 의료서비스가 노인복지의 핵심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의료서비스가 좋은 서울에 사는 어르신이 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울릉도의 어르신보다 삶의 질이 낫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의료서비스를 뛰어 넘어 노인 복지를 위한 시스템 구축에도 도전하기를 응원한다! ※칼럼은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