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난치성 폐암환자 자가 세포 활용 맞춤형 약물 발굴 '성공'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국내 의료진이 난치성 폐암 환자 세포를 사용한 맞춤형 약물 개발 가능성에 성큼 다가섰다.국립암센터는 7일 한지연 연구팀(김선신 박사, 박찬이 박사)이 폐암 환자 유래 세포를 사용한 약물유전체 분석 플랫폼 구축을 통해 난치성 폐암 후보 약물 발굴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왼쪽부터 한지연 박사. 김선신 박사. 박찬이 박사. 폐암은 전 세계적으로 암 사망률 1위인 치명적인 암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유전체 변이 정보를 활용한 표적치료제의 개발과 정밀의료 실현으로 폐암 환자의 생존율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경우 비흡연 폐암의 빈도가 높아 표적치료제에 좋은 반응을 보이는 폐암의 비율이 높다.하지만 치료 중 대부분 환자에서 내성이 발생하고 내성기전이 복잡 다양해 효과적인 약물 확보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치료내성연구과 한지연 박사와 표적치료연구과 김선신 박사, 박찬이 박사팀은 난치성 폐암 환자 유래의 폐암 세포를 이용한 약물유전체 플랫폼을 개발했다.이를 활용해 실제 치료 현장에서 난치성 폐암 환자로부터 수집한 암세포로 여러 항암치료제에 대한 반응성을 분석하고 폐암 세포의 유전자 변이 등 다중오믹스 통합 분석도 수행했다.약물유전체 플랫폼을 통한 분석 과정 모식도. 그 결과, 폐암 치료 내성 기전을 파악해 환자 맞춤형 후보 약물 도출이 가능함을 입증했다.구체적으로 약물유전체 플랫폼을 통해 약물 반응성 스크리닝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을 동시에 시행했다. 구축된 플랫폼을 통해 환자 맞춤형 분석을 시행하고 EGFR-TKI 환자의 치료 양상에 따른 내성 기전에 대한 분석 결과를 효과적으로 증명했다.특히 3세대 EGFR-TKI의 약물 내성으로 인해 암세포가 전이 단계에서 주로 형성되는 기전인 상피 간엽 이행 타입으로 진화함을 확인하고, 세포주를 활용해 내성기전 검증과 타깃 후보 약물 도출에 성공했다.폐암센터 한지연 박사는 "폐암 환자의 내성 기전을 밝히고 약물유전체 플랫폼을 개발해 약물 후보물질을 발굴해 난치성 폐암 환자에 맞춤형 치료법 적용이 가능함을 제시한 것"이라고 연구 성과를 설명했다.그는 "약물 유전체 분석 플랫폼으로부터 후속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며, 실험 대상 약물 확대 및 조사 대상 폐암 코호트 추가 수집을 진행해 내성기전과 환자 맞춤 약물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빅 데이터 기반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국립암센터 공익적 암 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세계적 권위지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IF=12.658) 최신호에 게재됐다.
2023-03-07 11:35:17학술

한미-단국대, 내성폐암 표적 혁신신약 공동연구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 한미약품이 단국대학교와 손잡고 차세대 내성폐암 표적 혁신신약 공동 연구에 나선다. 한미약품 이관순 부회장(앞줄 왼쪽에서 셋째)과 단국대학교 김수복 총장(앞줄 오른쪽에서 셋째)이 협약식 체결 후 양측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미약품과 단국대는 지난 10일 단국대 천안캠퍼스 산학협력관에서 공동연구 협약식 및 공동연구센터 개소식을가졌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한미약품 이관순 부회장과 단국대 김수복 총장을 비롯한 양측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미약품은 단국대 의생명공학부 조정희 교수가 진행중인 폐암 내성 기전 연구 및 신규 표적 발굴 기술을 기반으로 폐암 내성을 극복하면서도 부작용이 적고 효능이 우수한 혁신 항암신약을 개발하게 된다. 한미약품은 이번 프로젝트의 속도감 있는 진행을 위해 단국대 내에 최신 연구 시설을 갖춘 'DKU-HANMI 혁신 신약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조정희 교수는 하버드의대 다나파버암연구소(Dana-Farber Cancer Institute) 등에서 15년 이상 종양유전체학 및 대단위 기능유전체 기반 스크리닝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현재 조 교수 연구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실지원사업'에 따른 연구 지원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한미약품과 단국대는 다양한 임상시험과 학술 및 교육활동을 위한 인적자원 교류, 연구개발 시설 활용, 산학협력기반 조성을 위한 인프라 공유 등 다각적인 면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단국대 김수복 총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신약 개발 경쟁력을 보유한 한미약품과의 협력은 의생명 분야의 학술 및 산업계 발전에 의미있는 성과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이번 연구 협력이 훌륭한 결실을 맺어 부작용을 줄이고 효과를 높인 혁신적인 내성 폐암 표적 항암제 개발로 이어져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미약품 이관순 부회장은 "이번 협력은 한미의 축적된 항암제 개발 노하우 및 역량을 극대화해산학간시너지를 창출하는 혁신의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021-06-11 15:30:04제약·바이오

만성골수성백혈병 완치될까…재발 및 내성 기전 규명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만성골수성백혈병(CML)의 재발과 항암제 내성의 원인인 암 줄기세포의 형성에 특정 지질 매개체(Lipid mediators)가 관여한다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메드팩토는 김성진 대표가 연구에 참여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에 관한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온라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은 '만성골수성백혈병 줄기세포 형성에 관여하는 리소포스포리파아제 D 효소 gdpd3 유전자(The lysophospholipase D enzyme Gdpd3 is required to maintain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stem cells)'에 대한 것이다. 이번 연구에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정밀의학연구센터장을 겸임하고 있는 김성진 대표 연구팀과나카 가즈히도 일본 히로시마대 교수 등 국내외 암 전문가들이 공동 참여했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골수 내 비정상적인 세포가 과도하게 증식해 생기는 악성 혈액암이다. 현재 치료법으로 조혈모세포 이식 또는 표적치료제 '이마티닙' 투여가 주로 활용되고 있으나, 항암제 내성의 원인인 암 줄기세포를 사멸시키지 못해 재발률이 높은 실정이다. 연구팀은 리소인지질(lysophospholipid)이 대사되면 다양한 지질 매개체가 생성이 되는데 이들 지질 매개체는 암 줄기세포의 자기갱신을 유도해 항암제 내성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지질매개체의 생성에 Gdpd3 특정 유전자가 관여하는데 만성골수성백혈병 재발 환자의 암 줄기세포에서 과발현돼 있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 김성진 대표는 "지질 매개체가 암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오랫동안 인식돼 왔지만, 최근 지질 분석기법의 발달로 인해 생체 내 수많은 종류의 특정 지질이 암의 성장, 재발, 항암제 내성 등에 관여하는 것이 알려져 새로운 임상 타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정 지질의 분석을 통해 항암제 내성이나 암의 재발을 예측할 수도 있으며, 지질의 매개체를 타깃으로 하는 신약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김성진 대표는 지난 2015년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주된 재발 원인이 되는 암 줄기세포의 발생은 '디펩타이드(Dipeptide)'라는 영양소를 다량으로 세포내에 유입시키는 기전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발견한 바 있다.
2020-09-22 09:59:37제약·바이오

오시머티닙, 희귀 EGFR 돌연변이 폐암에도 효과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 폐암치료제인 오시머티닙(Osimertinib)이 드문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도 효과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표적항암치료제 성분인 오시머티닙은 3세대 EGFR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tyrosine kinase inhibitor)로, 그동안 비소세포폐암 치료에는 우수한 효과가 입증됐으나 드문 EGFR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임상적 효과는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 인천성모병원 조장호 교수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조장호 교수(혈액종양내과)는 29일 오시머티닙 성분의 드문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효능과 안전성(Osimertinib for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Harboring Uncommon EGFR Mutations: A Multicenter, Open-Label, Phase II Trial) 연구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 학술지 임상종양학 저널(Journal of Clinical Oncology)에 발표했다. 폐암은 조직학적 분류에 따라 소세포 및 비소세포폐암으로 구분한다. 폐암 환자의 대부분은 비소세포폐암으로 특히 아시아인에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이 흔한 편이다. 이 가운데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0%에서 드문 EGFR 변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들 드문 EGFR 변이는 엑손(Exon) 18-21 내의 매우 흔치 않은 그룹으로 보통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에 사용하는 표적치료제에 대한 치료 성적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다기관 임상2상 연구로 2016년 3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오시머티닙을 적용한 드문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36명을 평균 20.6개월을 관찰했다. 분석 결과,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객관적 반응률(ORR, objective response rate)은 50%, 환자가 항암제에 반응을 보인 비율을 나타내는 질병조절률(DCR, Disease Control Rate)은 89%로 나타났다. 이는 다수의 환자에서 치료 반응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암이 성장이나 확산에 이르지 않는 무진행생존기간(PFS, Progression Free Survival)의 중앙값은 8.2개월이었다. 반응지속기간(DOR, Duration Of Response)은 11.2개월, 28명(78%)의 환자에서는 종양 감소가 관찰됐다. 특히 드문 EGFR 변이 중 '엑손 21의 L861Q 돌연변이'에서는 전체 객관적 반응율이 78%, 무진행생존기간이 15.2개월로 치료에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9명의 뇌 전이가 있었던 환자 중 평가 가능한 5명은 두개 내 전체반응률이 40%로 나타나 높은 뇌혈관장벽(BBB, blood-brain barrier) 투과율로 암세포가 뇌까지 전이된 환자들에게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반면 발진, 가려움증, 식욕 감소, 설사, 호흡 곤란 등 이상반응을 보였지만 모두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었다. 연구를 진행한 조장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오시머티닙이 드문 EGFR 돌연변이가 있는 비소세포암 환자에서도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폐암 표적치료제에 관한 치료 효과와 내성 기전 등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0-01-29 14:50:10학술

"과대포장된 면역항암제 효과…만병통치약 아니다"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면역항암제의 발전으로 환자들의 기대치가 매우 높아졌다." 정현철 대한암학회 이사장 대한암학회 정현철 이사장은 15일 추계학술대회에 맞춰 기자간담회를 열고 암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기대감이 지나치게 높아져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검사를 통해 표적, 맞춤치료 대상이 아니라고 하면 크게 실망한다. 의사들의 생각보다 기대치가 높아졌다는 의미"라며 "문제는 환자들이 기대하는 것보다 실제 효과가 낮고 만병통치약도 아니다"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어떤 경우는 표적치료, 면역치료보다 일반 항암제가 더 나을 수 있는데 지나치게 과대포장된 것은 아닌가 싶다"며 "표적이 없는 사람을 항암치료하는 것도 정밀의학의 일부"라고 했다. 표적을 찾는 것도 정밀의학이지만 암 특성에 따라서는 같은 병기라도 항암치료를 하지 않고 지켜보는 게 오히려 나을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이사장은 "새로운 약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나와있는 약을 얼마나 환자에게 잘 맞춰서주느냐도 중요하다"며 "이번 학회 기간에 이와 같은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대한암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는 개인별 맞춤치료의 정의를 명확하게 정립하고 실질적으로 환자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향을 논의해 가이드라인을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학술 프로그램으로 암유전체학,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기반 암패널 개발을 통한 환자 진료 응용, 액체 생검, 면역관문항체를 이용한 면역표적치료 관련 세션을 마련했다. '새로운 연구 기법' 세션에서는 종양유전자들의 유전자 재조합과 관련된 형태학적 변화 및 암의존도 등 신기술에 관한 강의가 열린다. '새로운 표적' 세션에서는 상피세포성장인자의 특정 돌연변인가 있을 때 반응이 좋은 약제의 새로운 내성 기전 규명, MTAP-결손 암에서 MAT2A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 종양억제 유전자인 BRCA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DNA손상 억제제에 대한 연구를 소개한다. 또한 이번 암학회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와 공동개최하는 것으로 정현철 이사장은 한-미 암 연구 대표학회간 첫 공동학술대회라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20개국에서 1천명이 넘는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대한암학회와 미국암연구학회가 함께 추진한 것으로 서울대병원 김태유 교수와 미국 Charles Sawyers교수가 공동학술위원장을 맡는다. 정밀의료와 관련해 총 23개 세션에서 54개 구두 발표를 진행하며 이외 181편의 포스터가 15~16일 양일간 전시한다. 정현철 이사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대한암학회가 미국암연구학회와 학술적 협력기관으로서 그 위상이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반증"이라며 "한국 암 연구의 위상 또한 높아졌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를 계기로 한-미 암연구를 대표하는 양기관의 노력을 통해 AACR-KCA학술대회는 아시아권을 대표하는 암 연구학회로 발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18-11-15 15:11:40병·의원

고신대병원 정석훈 교수, '올해의 과학자'

메디칼타임즈=장종원 기자 고신대학교복음병원은 진단검사의학과 정석훈 교수가 세계 3대 인명사전 발행기관중 하나인 영국국제인명센터(IBC; 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re, Cambridge)의 ‘2004 올해의 과학자(International Scientist of the Year 2004)’에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정석훈 교수는 그동안 ‘슈퍼박테리아(imipenem 내성 Enterobacter cloacae) 발견 및 내성 유전자 전달체’ 규명과 ‘국내에서 분리되는 광범위 항균제 내성 그람음성세균의 내성 기전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규명, ‘국내에서 분리되는 그람음성세균의 내성현황과 내성기전’ 규명 등 항균제 내성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았으며, 최근 3년간 위 내용의 논문 10여편을 해외유명학회지(SCI)에 잇달아 발표한 바 있다.
2004-06-17 12:12:11학술

내성세포 연구센터, 조선의대에 개소

메디칼타임즈=조형철 기자2003 기초의과학연구센터의 하나인 내성세포연구센터가 조선대 의과대학내 개소된다. 과기부(장관 박호군)와 조선대학교(총장 양형일)는 조선대 의과대학에서 '2003 기초의과학연구센터'(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Center)의 하나로 선정된 내성세포연구센터의 개소식을 오는 5일 거행하고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할 것이라고 최근 밝혔다. 내성세포연구센터(센터장 최철희)는 암 및 미생물에서 내성의 분자기전을 규명하고, 새로운 내성 관련 유전자를 발굴, 내성 극복 전략을 개발함과 동시에 기초의과학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총 9년간 사업 기간중 1단계(2년)에서 항암제와 방사선 내성 기전의 규명, 내인성 인자에 대한 내성 기전 규명, 항생제 내성 예방과 극복 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를 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2단계(3년)와 3단계(4년)에서 내성극복 전략의 효능과 독성 등 전 임상시험을 시행, 기술이전과 산업화를 추진해 자립기반을 확립할 예정이다. 최철희 내성세포연구센터 센터장은 "매년 암으로 사망한 환자의 약 80%가 항암제나 방사선에 대한 내성과 관련되어 있고 감염환자의 70%가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을 보유하고 있는 현실에서 내성의 극복 없이는 성공적인 치료를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내성 암 세포의 기전 규명은 내성 암 극복 뿐만 아니라 치매, 파킨스씨병 등 다른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으며 내성 DNA 칩의 산업화로 맞춤화학요법 시대를 열 수 있을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초의과학육성을 위해 과기부가 올해부터 중점 추진하고 있는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는 병리학·생리학·약리학 등과 같은 기초의과학 부문의 연구개발활동과 기초의과학 전공인력양성을 위한 구심체. 향후 과기부는 센터당 9년간 총 60억원의 연구비 지원과 더불어 전문연구요원 등 인적자원도 우선적으로 배정할 계획이다. 또한 유치 대학에서도 교수정원 우선 배정, 자체 연구비 우선 배정 등을 함께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과기부는 현재 내성세포연구센터를 포함 총 15개의 기초의과학연구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2005년까지 총 20개의 기초의과학연구센터를 설립ㆍ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03-11-04 11:20:13학술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