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암 환자에 예방적 G-CSF 급여확대, 항암치료 부작용 낮췄다"

메디칼타임즈=박양명 기자일산병원 전경항암 환자에게 예방적 과립구 집락자극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사용을 할 수 있도록 급여 확대가 혈액암 부작용을 낮추는 효과로 이어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은 종양혈액내과 홍수정 교수팀이 2007~20년 만 19세이상 신규 암 환자(혈액암, 에이즈, 골수이식 이력자를 제외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치료와 관련된 발열성 호중구 감소증과 치료적 및 예방적 G-CSF 사용 분석을 실시 결과를 24일 밝혔다.그 결과 고형암 환자의 약 51.9%가 항암치료를 받은 이력이 있고 이 중 약 90%가 암 진단 후 1년 안에 항암치료를 받았다. 그 기간의 항암 스케쥴 횟수는 평균 4.7회였다.또 현재 급여가 인정되는 예방적 G-CSF 사용의 임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유방암의 Neoadjuvant TCHP(trastuzumab +docetaxel+carboplatin, pertuzumab)와 Adjuvant TC(docetaxel +cyclophosphamide), 골암 및 연조직육종의 ICE(ifosfamide +carboplatin+etoposide)로 항암 요법을 선정해 연구를 진행했다.유방암의 Neoadjuvant TCHP 요법에서 예방적 G-CSF를 사용하는 것은 발열성 호중구 감소증 발생을 92% 감소시키고 Adjuvant TC 요법에서 98% 감소했다. 유방안 항암치료에서 예방적 G-CSF 사용 효과가 매우 좋다는 것을 확인한 것.골암 및 연육종의 ICE 요법에서 G-CSF를 사용하는 것은 발열성 호중구 감소증 발생을 88% 감소시켰다. 3가지 항암 요법 모두에서 예방적 G-CSF를 사용하는 것이 항암 치료 후 감염 발생 및 중환자실 입원 비율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예방적 G-CSF 사용의 급여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췌장암 항암 치료에서는 발열성 호중구 감소증의 발생 비율이 점점 증가했다.연구진은 "암 환자의 항암 치료 시 예방적 G-CSF 급여 기준 확대가 여러 암종의 항암 요법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라며 "또 현재 국내 예방적 G-CSF 관련 보험 급여 기준은 국제적인 가이드라인과 다른 부분이 많다. 치료적 사용의 G-CSF 보다는 예방적 사용의 G-CSF 사용이 근거 수준이 높기 때문에 현 급여 체계에서 예방적 사용의 급여 확대가 좀 더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단계적 급여 확대가 계속 되고 있지만 실제 임상 현장 제언으로 선별적으로 보장성 확대를 고려해야 한다"라며 유방암의 고식적 목적의 AC(doxorubicin+cyclophosphamide) 요법과 췌장암의 FOLFIRINOX(5-Fy+irinotecan+oxaliplatin) 요법을 제안했다.
2023-05-24 17:14:45병·의원

K-MASTER 사업단 종료...1만명 암 유전자 자료 남겨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 암 맞춤 치료와 신약 개발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띠고 정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K-MASTER 사업단이 올해를 끝으로 운영이 종료된다. 이 가운데 2017년 사업단 발족 초기 목표로 제시했던 1만 건의 암환자 유전체 분석을 완료해냈다. K-MASTER사업단은 지난 10월 15일 고려대학교(서울) 의과대학 본관 2층 유광사홀에서 '제4차 정밀의료사업단 국제심포지엄'을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진행하고 그 간의 성과를 공유했다. 고려대 K-MASTER 사업단은 15일 2017년 정밀의료 기반 암진단 치료법 개발을 개시한 이래로 1만 건의 암 환자 유전체프로파일링을 달성하는 등 주요 성과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K-MASTER 사업단은 암 맞춤 치료와 신약 개발 지원을 위한 국가 전략 프로젝트로 500억원에 가까운 예산 지원으로 2017년 6월 출범한 바 있다. 올해를 끝으로 공식적인 국가 지원 사업이 종료될 정인 가운데 전국 56개 병원이 참여해 임상시험 20건 및 표적치료 3628명, 아시아 유일 1만명 암유전체 분석 등의 성과를 도출해냈다. 또한 임상시험 네트워크와 데이터포털, 분석‧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했다. 구체적으로 K-MASTER 사업단은 2021년 10월 31일 기준 총 56개 참여병원으로부터 1만 546명의 암환자를 등록받아 1만 158건의 암 유전체 프로파일링을 달성했다. 최종 등록된 1만 158건의 암종별 현황은 ▲직결장암 23% ▲유방암 14% ▲폐암 11% ▲위암 9% ▲육종 및 골암 5% ▲담관, 담낭암 6% ▲두경부암 5% ▲난소‧난관‧복막암 4% ▲방광 및 요로암 4% ▲췌장암 4% ▲전립선암 2% ▲흑색종 1% ▲신장암 2% ▲식도암 2% ▲자궁경부암 1% ▲간암 1%였으며, 이중암 등 기타암은 7%이다. 이 같은 암 유전체 프로파일링을 바탕으로 K-MASTER 사업단은 비소세포폐암, 유방암, 위암, 침샘관암 등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총 20개의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KM-01 연구(직결장암 환자에 대한 avelumab 면역항암제 연구, 서울아산병원 김태원 교수)와 KM-02-01 연구(고형암 환자에 대한 sirolimus 연구, 삼성서울병원 이지연 교수)는 이미 등록을 완료하고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바 있다. 또 KM-05 연구(비소세포폐암에서의 혈액 유전자검사 기반 gefitinib 연구, 서울성모병원 강진형 교수), KM-06 연구(고형암에서 nivolumab 면역항암제 연구, 고대안암병원 박경화 교수), KM-10B 연구(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 대한 Herzuma/선택항암제 병용요법 연구, 고대구로병원 박인혜 교수), KM-11 연구(침샘암에서의 Nanoxel, Herzumab 병용요법, 삼성서울병원 안명주 교수), KM-12 연구(식도암에서의 PDR001 연구, 연세암병원 조병철 교수), KM-14 연구(HER2 양성 요로상피세포암에서의 Herzumab, Paclitaxel 연구, 서울대병원 김범석 교수)는 성공적으로 등록을 완료하고 데이터를 취합 중이다. K-MASTER사업단은 초기 목표로 제시했던 암 환자 1만명 유전체 프로파일링에 성공했다. 마지막으로 진행 중인 KM-24 연구(비소세포폐암에서의 lazertinib 연구)의 경우 올해 개시 후 대상자 등록을 시작한 지 4개월밖에 지나지 않았으나, 목표대상자인 40명의 절반인 20명을 이미 등록 완료해 매우 빠른 속도로 꾸준히 진행 중이다. #i3#하지만 20개가 넘는 임상시험이 종료 혹은 진행 중이지만 올해를 끝으로 공식적인 K-MASTER 사업단 운영은 종료되게 됐다. 따라서 나머지 임상시험의 경우 관련 치료제를 보유한 제약사들의 투자를 받아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K-MASTER 사업단 측은 운영 종료에 대해 아쉬워하면서도 지난 5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임상시험 연계 등 추가 활용가능성이 많다고 평가했다. K-MASTER 사업단 관계자는 "암 정밀의료 융복합 플랫폼을 이용해 5년의 기간 동안 암 환자 1만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국가는 전 세계적으로 흔치 않으며, 아시아에서는 유일하다"며 "이는 일반적으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에서는 매우 어려운 일이며,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연구지원이 있기에 가능했다"고 밝혔다. 이어 "전국의 대학병원과 암 전문치료기관이 참여해 구축한 바이오 빅데이터는 장기적으로 미래 바이오산업 성장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환자 마다 본인의 유전정보와 혈액을 제공한 공익적 헌신을 바탕으로 어렵게 구축한 전국적인 데이터공유 네트워크는 새로운 치료와 진단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2021-11-15 11:07:27제약·바이오

암 진료비 급증…보장성·조기검진 강화 영향

메디칼타임즈=장종원 기자본인부담률 인하 등 지속적인 암 보장성 강화정책과 조기검진의 발달 등으로 인해 암과 관련한 건강보험 지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07년 건강보험 암 진료환자 분석'에 따르면 2000년 건강보험 암 진료비는 7459억원에서 2007년 2조6433억원으로 3.3배 증가했는데, 이는 연평균 증가율로는 18.6%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2005년 9월부터 실시된 암 환자 본인부담금 10% 인하 정책으로 인해 암과 관련한 건강보험 진료비(본인부담+급여비)가 급증했다. 2007년 진료비는 2006년 대비 19.5%, 2006년은 2005년 대비 24.4%, 2005년은 2004년 대비 29.2%가 증가했다. 암 보장성 강화에 따라 암에 대한 보험급여율 역시 2007년 88.8%에 이르렀다. 신규 암 환자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07년도 신규 암 진료환자는 모두 13만9,660명으로서 2006년도 신규 암 진료환자 13만1,604명보다 8,056명(6.1%↑)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암 환자를 연령대로 분석하면 65세 이상이5만7,684명으로 41.3%를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이어 40~50대가 5만2,345명으로서 37.5%를 차지하고 있다. 암 유형별로는 남자가 위암(1만5086명), 폐암(1만771명), 대장암(1만101명), 간암(9600명) 순이고, 여자는 갑상샘암(1만4297명), 유방암(1만772명), 위암(7405명), 대장암(7282명) 순이었다. 2006년 신규 암환자 기준으로, 암 진료환자 1명이 2007년 한 해 동안 사용한 건강보험진료비(비급여 제외)는 평균 1175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89.5%인 1,052만원을 건강보험 보험급여재정에서 부담했다. 특히, 백혈병이 환자 1인당 진료비 4424만원 중 92.5%인 4,094만원을 건강보험에서 지급했으며, 그 뒤를 이어 다발성골수종 2,316만원, 비호지킨림프종(혈액암) 2,137만원, 뼈 및 관절연골암 1,904만원 순으로 급여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연구원 박일수 연구원은 “매년 신규 암 진료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조기검진에 의한 암진단과 의료기술 발달, 예방 및 치료기술 발달에 의한 치료율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라면서 "국가 전체적으로 볼 때 조기진단에 의한 암 진단 및 치료율 증가는 암 생존율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2008-12-05 11:54:07정책

류마티스 생물학적 제제, 피부암 위험 높여

메디칼타임즈=윤현세 기자류마티스 관절염에 사용되는 TNF-α 억제제가 피부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결과가 Arthritis & Rheumatism지에 발표됐다. 미국 캔사스대학 의대의 프레드릭 울프 박사와 네브라스카 대학 메디컬 센터의 케일럽 미차우드 박사는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약 1만3천명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발암률에 대해 조사했다. 이들 중 절반 가량은 TNF-α 억제제를 사용한 적이 있었는데 분석결과 TNF-α 억제제는 흑색종을 포함한 피부암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폐암, 간암, 뇌종양, 골암 등 여러 암 발병 위험과는 관련이 없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TNF-α 억제제가 피부암 외에 다른 암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으나 평균적으로 이들 약물에 노출된 기간인 3년 가량이어서 만약 보다 장기간 노출된다면 다른 암 발병 위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TNF-α 억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 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암 위험과 관련이 있다고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어왔다.
2007-08-31 09:08:13제약·바이오

암환자 급여비 지출 22% 급증...1조원 육박

메디칼타임즈=주경준 기자건강보험 암환자 보험급여비 지출이 2004년 9915억원으로 전년대비 22% 증가하면서 1조원대에 육박했다. 16일 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암환자 진료비 현황자료에 따르면 2004년 보험대상 암환자의 보험재정지출은 9915억원으로 집계됐으며 건보적용항목 총진료비 1조 2837억원중 77%를 건강보험재정에서 부담한 것으로 파악됐다. 암급여 지출액은 2001년 6416억원에서 2004년 9915억원으로 3년간 55% 증가했으며 이같은 추이는 보험급여비 전체 증가율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으로 암급여비가 전체 건강보험급여비에 6.1%를 점유했다. 전체 암급여 지출중 위암이 1537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대장암 1286억원, 폐암 1251억원, 간암이 1061억원, 유방암이 916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자궁경부함 249억 등 6대암이 급여지출의 64%(6304억원)을 차지했다. 또 백혈병의 보험재정 지출은 566억원으로 6대 암에 속하는 자궁경부암 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암환자 1인당 진료비는 백혈병이 1인당 진료비 2691만원중 80%인 2150만원을 건보에서 지급했으며 다발성 골수종 984만원, 비호지킨 림프종(혈액암)이 929만원, 뼈 및 관절 연골암 908만원 순으로 급여비가 높았다. 공단은 건보재정이 호전된 이후 2004년부터 중증질환에 대한 보장성 강화 대책을 수립해왔다며 인구노령화가 가속화되면 암진료비 지출은 건보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2006-02-16 12:00:23정책

골육종 재발시 생존가능성 30% 미만

메디칼타임즈=윤현세 기자전이되지 않은 골육종(osteosarcoma) 환자의 경우 수술 및 화학요법 후 생존율이 70%에 달하나 일단 재발하면 생존률이 30% 미만으로 낮아진다고 Cancer誌에 발표됐다. 미국 메모리얼 슬론-케터링 암센터의 폴 A. 마이어즈 박사와 연구진은 1990년 후 이 암센터에서 치료를 받고 관해된 골육종 환자에 대한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가능한 43명의 환자 중 첫 골육종 진단에서 재발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22개월, 이중 33명은 폐에서 암이 재발됐으며 15개월 추적조사기간 동안 15명(35%)만이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요법만 시행한 8명 중에서는 한명도 생존하지 못한 반면 수술만 받은 4명 중 3명은 생존했다. 수술과 화학요법을 모두 받은 31명 중 22명은 재발 후에도 관해에 이르렀으나 이중 최종 추적조사시점에서 관해에 이르러 생존한 환자 수는 9명(29%)에 불과했다. 마이어스 박사는 장기간 무질환 생존률은 고용량 이포스파마이드(ifosfamide) 사용시 상승할 수 있으나 골암 재발시 화학요법의 역할은 아직 정의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2005-12-05 04:19:35제약·바이오

작년 암환자 진료비 건보재정 8천억 지출

메디칼타임즈=이창열 기자건강보험대상자 중 암환자에 대한 보험재정 지출이 총 진료비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암 환자 보험재정 지출은 전체 보험급여비용 증가율 8%보다 약 2배 가량 높은 증가 수준을 나타냈다. 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센터(소장 이상이)에 따르면 작년 건강보험대상자 중 암 환자에 대해 총 8,096억원의 보험재정이 지출됐다. 이는 특진료, MRI, 병실료 차액 등 건강보험 적용 항목을 제외한 기준으로 총 진료비 1조1,158억원의 73%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또 암 환자 보험재정은 2002년 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전체 보험급여비용 증가율 8%보다 약 2배 가량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암 환자 1인당 진료비는 평균 733만원 가량으로 이중 73%인 537만원이 보험급여비에서 지출됐다. 백혈병의 1인당 진료비가 2,182만원으로 가장 높아 이중 79%인 1,720만원을 건보공단에서 부담했으며 ▲ 뼈및관절연골암 944만원 ▲ 다발성골수종 903만원 ▲ 비호지킨림프종(혈액암) 778만원의 순으로 급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4-12-29 10:53:18정책

셀진 골암 시험약 임상 중 11명 사망

메디칼타임즈=윤현세 기자척수이형성 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환자 약 400명을 대상으로 한 셀진(Celgene)의 시험약 레브리미드(revlimid) 임상 중에 11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됐다. 척수이형성 증후군은 골수에 비정상적 세포가 자리잡아 적혈구와 백혈구의 생성을 억제하는 질환. 셀진은 사망을 포함한 중증 부작용은 24시간 이내에 FDA에 신속하게 보고됐다고 말했다. 레브리미드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 6백명 이상에 대한 임상도 시행됐으며 셀진은 2005년 상반기에 신약접수하고 하반기에 다발성 골수종에 대해 신약접수할 계획이다. 셀진은 임상에 참여한 일부 환자는 수혈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수혈로 인한 철독성으로 인해 사망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셀진은 레브리미드를 흑색종에 대해서도 임상을 시행했었으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을 중단했었다.
2004-11-19 12:57:24제약·바이오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